[2006/10/11] 우리말) 배추 뿌리, 배추꼬랑이

조회 수 5286 추천 수 118 2006.10.11 09:23:38
안녕하세요.

어머니가 집에 계시니 항상 반찬이 푸짐해서 좋습니다.
어제는 누나 집에서 배추 몇 포기 가져다가 김치를 담그셨네요.
아침에 어머니가 부엌에서 뭔가를 내 오시면서,
"이거 배추꼬랑지다 오랜만에 먹으면 맛있을 거다"라고 하시더군요.
그러면서 내 주시는 접시 위에 배추 뿌리 댓 개가 있더군요.
먹어보니 정말 달았습니다.
배추 뿌리가 단지, 어머니 정성이 단지는 모르지만...^^*

배추꼬랑지 아시죠? 배추 뿌리 말이에요.
실은 이 낱말은 '배추꼬랑이'가 표준말입니다.
배추 뿌리라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니겠지만, 그것은 한 낱말은 아니고,
배추 뿌리를 뜻하는 한 낱말은 '배추꼬랑이'입니다.
흔히 배추꼬랑지라고도 하지만 그것은 틀린 말입니다.

배추가 나온 김에 몇 가지 더 알아볼게요.
배추를 세는 단위가 뭐죠?
'포기'? '폭'?
우스겟소리로, '포기'는 배추를 셀 때나 쓴다는 말이 있죠?
맞습니다. 배추를 세는 단위는 '포기'입니다.
흔히, 한 폭, 두 폭 하지만,
한 포기, 두 포기가 맞습니다.

무청이 뭔지 아세요?
"무의 잎과 줄기"를 뜻합니다.
'뭇줄거리'라고도 하죠?

시래기는
"무청이나 배추의 잎을 말린 것."인데,
새끼 따위로 엮어 말려서 보관하다가 볶거나 국을 끓이는 데 쓰면 참 좋죠.

우거지는,
"푸성귀를 다듬을 때에 골라 놓은 겉대"를 말합니다.

우리말123


[어리숙하다 >> 어수룩하다]

안녕하세요.

날씨가 무척 덥죠?
이번 주말에 비가 온다니 기대를 해 보겠습니다.

오늘은 지난 주말에 어떤 분과 나눈 이야기를 소개드리겠습니다.

“사람은 약간 어리숙한 데가 있어야 남들과 어울릴 수 있다.
그런데 너는 그렇지 못하다.
너 같은 사람은 큰 고민이 있을 때 남과 풀지 못하고 혼자 힘들어한다.“
라는 말씀을 하시더군요.

맞습니다.
약간은 빈틈이 있어야 남들과 어울릴 수 있겠죠.
물이 너무 맑으면 고기가 살지 못한다고 하잖아요.

그런데 저는 너무 완벽하거나 너무 맑아서 그런 게 아니라,
오히려 너무 어수룩해서 힘든가 봅니다.

흔히,
“되바라지지 않고 매우 어리석은 데가 있다.”
또는 “말이나 행동이 순진하거나 좀 어리석다.”는 뜻으로,
‘어리숙하다’는 말을 많이 쓰는데요.
이는 틀린 겁니다.
‘어수룩하다’가 맞습니다.

호락호락 넘어갈 만큼 어수룩하지 않다.
보통 때는 그렇게 어수룩하던 그가 ... 처럼 씁니다.

오늘은,
작은 것에 너무 집착하지 마시고,
가끔은 그리고 약간은,
어수룩한 구석을 만들어 보세요.
남들이 기뻐할 겁니다.

오늘도 행복하게 보내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136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96957
56 [2015/05/12] 우리말) 채찍비 머니북 2015-05-12 2373
55 [2015/10/01] 우리말) 풋머리 머니북 2015-10-01 2372
54 [2013/06/20] 우리말) 99일 뒤... 머니북 2013-06-20 2372
53 [2010/06/21] 우리말) 물은 셀프 moneybook 2010-06-21 2372
52 [2014/12/12] 우리말) 놈팽이와 놈팡이 머니북 2014-12-12 2371
51 [2014/07/09] 우리말) 새집 머니북 2014-07-09 2371
50 [2013/06/24] 우리말) 혼신 머니북 2013-06-24 2371
49 [2009/06/26] 우리말) 실수 몇 개 id: moneyplan 2009-06-26 2371
48 [2010/10/18] 우리말) 있습니다와 있음 moneybook 2010-10-18 2369
47 [2015/10/13] 우리말) 찌푸리다 머니북 2015-10-15 2368
46 [2014/03/26] 우리말) 안중근 의사 어머니 편지 머니북 2014-03-26 2368
45 [2012/12/28] 우리말) 매무시와 매무새 머니북 2012-12-28 2368
44 [2013/12/31] 우리말) 일몰과 해넘이 머니북 2013-12-31 2368
43 [2014/07/08] 우리말) 너더댓새 머니북 2014-07-08 2367
42 [2014/04/21] 우리말) 참으로 가슴이 아픕니다 머니북 2014-04-21 2366
41 [2014/05/23] 우리말) 다이어트 머니북 2014-05-23 2364
40 [2009/04/24] 우리말) 탈크와 탤크, 그리고 식약청 답변 id: moneyplan 2009-04-24 2364
39 [2016/06/01] 우리말) 국보 1호? 머니북 2016-06-02 2363
38 [2015/08/24] 우리말) 풋낯과 풋인사 머니북 2015-08-25 2363
37 [2010/02/18] 우리말) 모도리 id: moneyplan 2010-02-18 2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