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9/29] 우리말) 이걸 처먹으라고?

조회 수 4595 추천 수 100 2006.09.29 09:25:20
안녕하세요.

어제는 밖에 나가서 점심을 먹었습니다.
제 배가 해장국을 애타게 찾더군요. ^^*
추어탕을 먹었는데요.
추어탕을 내오고, 그 옆에 들깨 가루가 있는데,
그걸 쳐 먹으면 좋다고 하더군요.

"손님, 들깨 가루를 쳐 먹는[처멍는] 것이 좋습니다."
"뭐라고요? 처먹으라고요?"
"아니, 그게 아니라, 이걸 쳐 드시라고..."
"처먹으나 처드시나... 이런..."

오늘은 '처먹다'와 '쳐 먹다'를 갈라보겠습니다.

먼저,
'처먹다'는
"욕심 사납게 마구 먹다."는 뜻입니다.
또, '먹다'를 속되게 이르는 말이기도 하죠.
발음은 [처먹어, 처먹으니, 처멍는]입니다.
여기에 쓴 '처'는
'함부로, 마구, 심히'의 뜻이 있습니다.

이와 달리,
'쳐 먹다'는 두 개의 동사로 만들어진 구입니다.
여기에 쓴 '쳐'는
"적은 분량의 액체를 따르거나 가루 따위를 뿌려서 넣다"는 뜻의 '치다'에서 온 말입니다.
곧, '쳐'는 '치-'의 활용형인 '치어'의 준말입니다.

따라서,
'들깨 가루를 쳐 먹다'는
'들깨 가루를 추어탕에 뿌려서(또는 넣어서) 먹다'는 뜻이고,
'들깨 가루를 처먹다'는
들깨 가루 먹는 것을 속되게 이르는 것입니다.

문제는,
'쳐 먹다'와 '처먹다'의 발음이 같다는 것입니다.
이건 뭐 어떻게 풀 방법이 없네요.
어른 앞에서는 조심스럽게 쓰는 수 밖에...^^*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경우가 바르다 >> 경위가 바르다]

안녕하세요.
지난 주말에는 정읍, 광주, 나주를 다녀왔습니다.
토요일 아침에 출발하여 월요일 저녁 늦게야 돌아왔습니다.
혼자 싸돌아다니니까 좀 심심하더군요.

지난 주말에 오랜만에 예의가 바른 젊은 친구를 만났습니다.
하긴, 저도 아직까지는 30대 끄트머리를 힘겹게 잡고 있는 젊은 사람입니다만...

주말에 만난 친구는 20대 초반인데,
어르신들을 모시는 예의가 참 바르더군요.

옆에 계시는 분들도,
“저 친구 참 경우 바르군”하면서 칭찬이 자자했습니다.
덩달아 저도 기분이 참 좋았습니다.

흔히,
사리에 옳고 그름과 시비의 분간이 뚜렷한 사람을,
‘경우가 바른 사람’이라고 하는데요.
이것은 ‘경위’를 잘못 쓴 겁니다.

경우(境遇)는
“(어떤 조건이 있는) 특별한 형편이나 사정”이라는 뜻으로,
‘만일 비가 올 경우에는 가지 않겠다.’처럼 씁니다.

경위(涇渭)는  
“사리의 옳고 그름과 시비의 분간”이라는 뜻으로,
‘경위 없이 행동하지 마라.’처럼 씁니다.

본래 경위는
중국 황하의 지류인 ‘경수(涇水)’와 ‘위수(渭水)’의 머리글자를 따서 만든 말입니다.
이 두 물은 서안 부근에서 만나 합쳐지는데,
경수는 항상 흐리고, 위수는 항상 맑아
두 물이 섞여 흐르는 동안에도 구별이 분명하다 해서 그런 뜻이 되었다고 합니다.

그럼,
‘경우가 바르다’의 반대말은 무엇일까요?
당연히 ‘경우가 바르지 않다’도 맞죠.
보통은,  
‘경위가 그르다’라고 하는데,
실은 ‘경위가 없다’라고 해야 맞습니다.

세상 모든 사람들이,
다 경위 바르게 살면 얼마나 좋을까요?

보태기)

경위(涇渭)와 발음이 같은 경위(經緯)는,
"일이 진행되어 온 과정"을 뜻하고 날 경(經) 자, 씨 위(緯) 자를 씁니다.
‘날’은 “천, 돗자리, 짚신 따위를 짤 때 세로로 놓는 실”을 말하고,
‘씨’는 “천, 돗자리, 짚신 따위를 짤 때 가로로 놓는 실”을 말합니다.

곧, “직물(織物)의 날과 씨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 경위인데요.
마치 날실과 씨실을 엇갈리게 해서 쫀쫀한 베를 짜듯이 “일이 진행되어 온 과정”을 ‘경위’라고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40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119
2456 [2013/09/06] 우리말) 자랑합니다 머니북 2013-09-09 2325
2455 [2016/06/29] 우리말) 눈바래다 머니북 2016-06-29 2325
2454 [2014/11/25] 우리말) 성대모사/성대묘사/목소리 흉내 머니북 2014-11-25 2327
2453 [2010/03/12] 우리말) 오지와 두메산골 id: moneyplan 2010-03-12 2328
2452 [2010/07/13] 우리말) 족집게 moneybook 2010-07-13 2328
2451 [2010/07/14] 우리말) 빠르면 오늘 소환? [1] moneybook 2010-07-14 2328
2450 [2016/01/28] 우리말) 일다/이다 머니북 2016-01-28 2328
2449 [2016/06/09] 우리말) 나라지다 머니북 2016-06-10 2328
2448 [2010/07/30] 우리말) 스리와 쓰리 moneybook 2010-07-30 2329
2447 [2010/10/01] 우리말) 빼닮다와 빼쏘다 moneybook 2010-10-01 2329
2446 [2016/06/21] 우리말) 꼬리는 말고 꽁지는 빠지고 머니북 2016-06-26 2329
2445 [2010/06/17] 우리말) 승패와 성패 moneybook 2010-06-17 2330
2444 [2010/07/02] 우리말) 굴지와 불과 moneybook 2010-07-02 2331
2443 [2010/07/05] 우리말) 무척 덥다 moneybook 2010-07-05 2331
2442 [2015/10/12] 우리말) 일자리 나누기와 잡 셰어링 머니북 2015-10-13 2331
2441 [2016/04/21] 우리말) 곡우 머니북 2016-04-22 2331
2440 [2009/07/10] 우리말) 예전 편지로... id: moneyplan 2009-07-10 2332
2439 [2014/07/07] 우리말) 사리 머니북 2014-07-07 2332
2438 [2015/07/20] 우리말) "농업, 일제용어 정리해야 진정한 광복" 머니북 2015-07-20 2332
2437 [2016/05/12] 우리말) 염두 머니북 2016-05-12 2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