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9/18] 우리말) 즐거운 비명

조회 수 6147 추천 수 86 2006.09.18 01:32:56
안녕하세요.

점심 맛있게 잘 드셨나요?
인터넷 뉴스를 보다가 그냥 넘어가기 싫은 게 있어서...

윤달에 묘를 옮기면 좋다는 속설 때문에,
이장업체를 운영하는 사람들이
'즐거운 비명'을 지르고 있다네요.

“윤달에 하면 좋다” 묘 옮기기 붐

조선일보 기사인데,
이 기자는 '비명'의 뜻을 모르고 기사를 쓴 겁니다.
아니면 흔히 남들도 쓰기에 그냥 아무 생각없이 썼거나...

비명은
슬플 비(悲) 자에 울 명(鳴) 자를 써서,
"슬피 욺, 또는 그런 울음소리, 일이 매우 위급하거나 몹시 두려움을 느낄 때 지르는 외마디 소리."라는 뜻입니다.
놀라거나 슬플 때 지르는 소리지
기뻐서 지르는 소리가 아닙니다.

기뻐서 지르는 소리는,
환성(歡聲)이나 환호성(歡呼聲)입니다.
환성이 기뻐할 환(歡) 자에 소리 성(歡) 자를 쓰잖아요.

'즐거운 비명'은
'즐겁다'와 '비명'이 어울리지 않아서 틀린 말이고,
'즐거운 환호성'이라고 해도,
즐겁다와 환호성의 뜻이 겹쳐서 틀린 말입니다.

그냥 '환호성을 지른다'고 하면 됩니다.
괜히 글을 쓰면서 멋을 부리려고 하다 보니 이렇게 말도 안 되는 기사를 쓰는 겁니다.

또 하나 꼭 짚고 넘어가고 싶은 게 납골당입니다.
며칠 전에 우리말편지에서 소개해 드렸듯이,
'납골당'이 아니라 '봉안묘'입니다.
기자가 기사를 쓰면서 그런 것도 확인하지 않고 쓰나요?

사람들이 흔히 쓰는 말이라고 해서 다 옳은 게 아니고,
또 그 말들이 다 사전에 오르는 게 아닙니다.
사람들이 잘못 쓰는 단어는 학자들이나 언론에서 바로잡아줘야 합니다.
그래서 기자는 단 한 줄의 기사를 쓰더라도 고민을 하면서 써야 합니다.

몇 번 강조하지만,
학자나 기자들은 자기들만의 전문용어로 '밀담'을 나누고,
전문학회에서는 어려운 말로 범벅이 된 논문을 발표하는 자기들만의 '잔치'를 벌이는 부류의 인간이 아닙니다.

내가 배운 것은 남과 함께 나누고,
사회에 있는 잘못된 곳을 꼬집을 줄 알아야 합니다.
비록 지금 당장은 어디선가 한 대 얻어맞더라도,
옳은 길이라면 꿋꿋하게 갈 용기를 가진 사람들이 학자이고 언론인입니다.

이제 곧 한글날입니다.
예전처럼 언론에서는 우리말 우리글을 쓰자고 난리를 치겠죠.
제발 이번만큼은 그런 말이 한글날로 그치지 않기를 빕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630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91886
36 [2014/12/12] 우리말) 놈팽이와 놈팡이 머니북 2014-12-12 2286
35 [2013/06/24] 우리말) 혼신 머니북 2013-06-24 2286
34 [2010/10/28] 우리말) 얼마큼 moneybook 2010-10-28 2286
33 [2016/07/06] 우리말) 어수룩해지려고 귀촌하는가? 머니북 2016-07-06 2285
32 [2015/08/07] 우리말) 일소현상? 머니북 2015-08-08 2285
31 [2015/03/20] 우리말) 이상한 병 머니북 2015-03-20 2285
30 [2014/12/02] 우리말) 추켜세우다/치켜세우다 머니북 2014-12-02 2285
29 [2012/12/28] 우리말) 매무시와 매무새 머니북 2012-12-28 2284
28 [2009/02/12]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2-12 2284
27 [2010/10/15] 우리말) 막장은 희망입니다 moneybook 2010-10-15 2283
26 [2016/01/29] 우리말) 난장판의 아수라 머니북 2016-02-01 2282
25 [2015/03/17] 우리말) 햇빛/햇살/햇볕 머니북 2015-03-17 2282
24 [2009/09/03] 우리말) 징크스 id: moneyplan 2009-09-03 2282
23 [2009/05/25] 우리말) 조문과 추모 id: moneyplan 2009-05-25 2282
22 [2013/12/31] 우리말) 일몰과 해넘이 머니북 2013-12-31 2281
21 [2010/10/18] 우리말) 있습니다와 있음 moneybook 2010-10-18 2281
20 [2016/07/08] 우리말) 깝살리다 머니북 2016-07-11 2280
19 [2015/05/01] 우리말) '말아요'라 하지 마요 머니북 2015-05-01 2280
18 [2010/07/09] 우리말) 틀린 낱말 몇 개 moneybook 2010-07-09 2279
17 [2010/02/12] 우리말) 설날에 예법에 맞는 세배 해보세요 id: moneyplan 2010-02-12 2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