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9/12] 우리말) 필자가 아니라 글쓴이!

조회 수 5586 추천 수 88 2006.09.12 09:50:00
안녕하세요.

저는 요즘 책 읽을 시간이 많네요.
병원에 있다 보면 딱히 뭐 할 게 없더군요. 그래서 어쩔 수 없이(?) 책을 많이 봅니다.

어떤 책이라고 꼭 집어서 이야기할 수는 없지만,
많은 책에서 보이는 잘못을 좀 지적해 볼게요.

첫째,
뭔가를 설명하면서 '즉'이라는 단어를 많이 쓰는데,
이는 '곧'으로 바꿔 쓰는 게 좋습니다.
뜻이 거의 같은데 굳이 한자인 즉(卽)을 쓸 까닭이 없죠.

둘째,
설명하면서 자주 나오는
"말할 것도 없음"이라는 뜻의 '물론'이라는 단어는 일본어 勿論(もちろん[모찌롱])에서 왔습니다.
두말할 것도 없이 '말할 것도 없음'으로 바꿔 쓰시면 됩니다.

셋째,
'필자'라는 말입니다.
사전에는
"글을 쓴 사람. 또는 쓰고 있거나 쓸 사람."이라고 풀어져 있지만,
그 뜻은
그 책을 쓴 사람이 자신을 가리키는 말이 아니라,
제삼자가 글을 쓴 사람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곧,
글쓴이가 "필자는 어떤 생각으로 이런 글을 썼고..."라는 것은 말이 안 되고,
글을 읽는 사람이 "필자는 어떤 생각으로 이런 글을 썼을 것이고..."라는 것만 말이 됩니다.

더 중요한 것은,
이 '필자'도 일본식 표현입니다.
筆者(ひっしゃ[핏샤])라는 일본어에서 왔거든요.

글을 쓴 사람이 자기 자신을 가리켜 필자라고 쓴 것은,
필자의 뜻을 제대로 몰랐거나,
가진 게 없어 뭔가 있는 것처럼 보이려고 한 것 일겁니다.

그냥 '글쓴이'라고 하면 누가 잡아가나요?
그 책의 값어치가 떨어질까요?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짜집기]

어제 한 잡지사에서 글을 좀 써 달라는 부탁을 받았습니다.
전화한 기자 말로는,
새로 쓸 것까지는 없고, 그동안 써 놓은 글을 독자 수준에 맞게 짜집기해 달라더군요.
시간 많이 들일 필요 없이 그냥 짜집기해 달라고...

“직물의 찢어진 곳을 그 감의 올을 살려 본디대로 흠집 없이 짜서 깁는 일”이나,
“기존의 글이나 영화 따위를 편집하여 하나의 완성품으로 만드는 일”을
말하는 단어는,
‘짜집기’가 아니라 ‘짜깁기’입니다.

“떨어지거나 해어진 곳에 다른 조각을 대거나 또는 그대로 꿰매다”라는 뜻의 단어는
‘깁다’이지 ‘집다’가 아니잖아요.
당연히, ‘짜집기’가 아니라 ‘짜깁기’로 써야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41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127
2656 [2017/10/26] 우리말) 제비 머니북 2017-11-06 3341
2655 [2017/10/25] 우리말) 너볏이/나볏이 머니북 2017-11-06 3267
2654 [2017/10/18] 우리말) 카카오톡 머니북 2017-11-06 2867
2653 [2017/10/17] 우리말) 자글거리다 머니북 2017-11-06 2904
2652 [2017/10/16] 우리말) 조쌀하다 머니북 2017-11-06 2844
2651 [2017/10/11] 우리말) 바람직한 국어 순화방향 학술대회 안내 머니북 2017-11-06 3299
2650 [2017/10/10] 우리말) 한글날 맞아 읽어볼만한 기사 머니북 2017-11-06 2805
2649 [2017/09/29] 우리말) 갯벌과 개펄 머니북 2017-11-06 3548
2648 [2017/09/27] 우리말) 광어와 넙치 머니북 2017-11-06 2912
2647 [2017/09/22] 우리말) 가족과 식구 머니북 2017-09-26 4004
2646 [2017/09/21] 우리말) '신문 읽기가 너무 힘들어요' 머니북 2017-09-21 3147
2645 [2017/09/20] 우리말) 땡깡(2) 머니북 2017-09-21 2870
2644 [2017/09/19] 우리말) 땡깡 머니북 2017-09-20 4037
2643 [2017/09/18] 우리말) 이력’과 ‘노총’ 머니북 2017-09-18 3848
2642 [2017/09/15] 우리말) 선지국밥과 선짓국 머니북 2017-09-15 4274
2641 [2017/09/14] 우리말) 절대감속? 머니북 2017-09-15 3105
2640 [2017/09/13] 우리말) "한글은 묶여있는 영웅.. 잠재력 무궁무진" 머니북 2017-09-13 3367
2639 [2017/09/11] 우리말) 염좌 머니북 2017-09-11 3126
2638 [2017/09/07] 우리말) 우리말 바로 쓰기에 앞장섭시다 머니북 2017-09-07 3499
2637 [2017/09/06] 우리말) 달걀과 계란 머니북 2017-09-07 3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