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드디어 오늘 농촌진흥청 잔치 대단원의 막을 내립니다.

흔히 어떤 행사를 시작할 때,
'대단원의 막이 올랐다'라고 하고,
그 행사가 끝날 때,
'대단원의 막이 내렸다'라고 합니다.

그러나 대단원은 행사가 끝날 때만 씁니다.
대단원(大團圓)은 대미(大尾)와 같은 뜻으로,
"연극이나 소설 따위에서, 모든 사건을 해결하고 끝을 내는 마지막 장면"을 말합니다.
단원의 막이 내렸다처럼 씁니다.

곧, 어떤 행사의 시작에는 대단원이라는 단어를 쓰면 안 됩니다.
끝낼 때만 '대단원'이라는 단어를 씁니다.

저도 이제 좀 쉴 수 있겠죠?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불초소생]

오늘은 ‘불초’에 대해서 말씀드릴게요.

흔히 자기 자신을 낮추어 말할 때,
“불초소생이 어쩌고저쩌고”라고 합니다.
“불초소생인 저를 뽑아주셔서 어쩌고저쩌고...”
“불초소생인 제가 막중한 임무를 맡아 어쩌고저쩌고...”
보통 정치인이나 고관대작들이 많이 쓰는 말입니다.

근데 이 ‘불초’라는 단어는 아무나 쓸 수 있는 게 아닙니다.
자식과 임금만 쓸 수 있는 말입니다.

불초(不肖)는
아니 불, 닮을 초 자를 써서,
자기의 아버지를 닮지 못했다는 말로,
자식이 부모에게 자기를 낮추어 말하는 것입니다.
또, 임금이 선왕을 닮지 못해 큰 뜻을 따르지 못한다는 겸손한 의미로만 씁니다.
맹자(孟子) 만장(萬章)편 상권에 있는 말이죠.

따라서,
‘불초소생’은,
‘제가 아버지의 큰 뜻을 따라가지 못해서 죄송하다’는 의미로 씁니다.
부모님께 드리는 이런 겸손한 말을,
시궁창에 처박혀 사는 정치인들이 세 치 혀로 언죽번죽 지껄이면 안 되죠.

돌아오는 일요일이 돌아가신 아버지 제사입니다.

아버지는 생전에 남에게 많은 것을 베풀도록 저를 가르치셨죠.
오죽했으면,
7대 독자인 제게,
“남들이 진정으로 원하면 네 XX도 떼 줘라.”라고 하셨으니까요. ^^*

자신에게 소중한 것도
남들이 필요하다면 뭐든지 내주라는
선친의 가르침을 저는 못 따르고 있습니다.
남을 챙겨주고 배려하기는커녕,
작은 것에 집착하고, 사소한 일에 짜증내고...
부질없는 욕심에 마음 아파하고...

이런 ‘불초소생’이
앞으로는 남들을 더 많이 사랑하고,
더 많이 배려하며 살겠다는 약속을 드리러
아버지를 뵈러 갑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78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464
36 [2015/05/12] 우리말) 채찍비 머니북 2015-05-12 2246
35 [2015/05/01] 우리말) '말아요'라 하지 마요 머니북 2015-05-01 2246
34 [2010/07/06] 우리말) 얼굴 moneybook 2010-07-06 2246
33 [2014/04/15] 우리말) 배지는 보람으로 머니북 2014-04-15 2245
32 [2016/10/04] 우리말) 부합하다 머니북 2016-11-01 2244
31 [2010/10/15] 우리말) 막장은 희망입니다 moneybook 2010-10-15 2243
30 [2016/05/19] 우리말) 씁쓸하다 머니북 2016-05-20 2242
29 [2015/02/10] 우리말) 메밀꽃 머니북 2015-02-10 2242
28 [2010/02/16] 우리말) 절 하는 방법에 대한 댓글 id: moneyplan 2010-02-16 2242
27 [2016/05/27] 우리말) 남자와 여자 머니북 2016-05-30 2241
26 [2013/12/31] 우리말) 일몰과 해넘이 머니북 2013-12-31 2241
25 [2009/04/29] 우리말) 구구단 id: moneyplan 2009-04-29 2241
24 [2012/03/05] 우리말) 돌잔치 머니북 2012-03-05 2240
23 [2015/11/09] 우리말) 이제야와 이제사 머니북 2015-11-09 2239
22 [2014/03/26] 우리말) 안중근 의사 어머니 편지 머니북 2014-03-26 2239
21 [2015/12/02] 우리말) 속박이 머니북 2015-12-02 2238
20 [2009/06/17] 우리말) 제비집 id: moneyplan 2009-06-17 2238
19 [2012/12/28] 우리말) 매무시와 매무새 머니북 2012-12-28 2237
18 [2015/02/02] 우리말) 되갚을 것은 없다 머니북 2015-02-02 2236
17 [2010/10/18] 우리말) 있습니다와 있음 moneybook 2010-10-18 2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