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9/02] 우리말) 저는 떠버리입니다

조회 수 6228 추천 수 102 2006.09.04 11:34:45
안녕하세요.

어제 제가 또 실수를 했네요.
'나염'이 아니라 '날염'이라는 것만 강조했지,
날염이 일본말에서 왔다는 것을 몰랐네요.
찾아보니,
날염(捺染, なっせん[낫셍])이 일본말이었네요.

어떤 분이 편지로 알려주셔서 알았습니다.
그 편지를 소개합니다.

1995년 문화체육부(지금의 문화관광부)에서 내놓은 "일본어투 생활용어 순화자료"에
'날염'을 '무늬찍기'로 다듬었고, 남영신의 <한+ 국어대사전>은 뜻풀이를 하지 않고 바로 '무늬찍기'를 보라고 했으며, <표준국어대사전>도 풀이 끝에 '무늬들임˙무늬박음˙무늬찍기'와 같은 말이라고 했군요.
'날염'보다는 '무늬찍기'로 쓰는 게 좋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오늘 이야기 시작하죠.

요즘 제가 지나치게 농촌진흥청 잔치를 소개했나요?
몇 분이 좀 심했다는 지적을 하셨네요.

제 삶의 언저리에 있는 내용을 써서 우리말편지를 쓰다 보니 그렇게 되었습니다.
제가 국어나 맞춤법에 아는 지식이 많다면,
다른 주제를 쉽게 잡을 수 있겠지만... 아는 게 별로 없어서...
어쩔 수 없이 제 주위에 있는 일에서...

이왕 말 나온 김에 오늘도 농촌진흥청 잔치를 좀 떠벌리겠습니다.
오늘은 그 '떠벌리다'와 '떠벌이다'를 갈라볼게요.

'떠벌리다'는
" 이야기를 과장하여 늘어놓다."는 뜻으로,
제가 날마다 농촌진흥청 잔치를 떠벌리고 다닌다처럼 쓸 수 있습니다.

'떠벌이다'는
"굉장한 규모로 차리다."는 뜻으로,
농촌진흥청에서 큰 잔치를 떠벌여 놓고 많은 사람을 초청했다처럼 쓸 수 있습니다.

며칠 전에 '벌리다'와 '벌이다'를 갈라봤었죠?
'벌리다'는 물리적인 간격이 떨어지는 것이고,
'벌이다'는 어떤 일을 시작하는 것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떠벌리다'도 입으로 떠드는 것이므로 '벌리다'와 잇고,
'떠벌이다'는 일을 시작하는 것이므로 잔치를 차리는 것과 이으면 될 것 같습니다.

한 가지 더,
"자주 수다스럽게 떠드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이 '떠버리'입니다.

이를 한꺼번에 써 보면,
농촌진흥청에서 떠벌인 잔치를
제가 여기저기 떠벌린 것입니다.
이러는 저는 떠버리입니다. ^^*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병충해가 많이 발생]

어제 논에 나갔더니 벌써 새끼치기를 시작했더군요.
실은 어제 아침 뉴스에
“예년보다 빨리 애멸구가 퍼지기 시작해서 병충해가 많이 발생했다”라는 소식을 듣고,
부랴부랴 나간 거였습니다.
다행히 제 눈앞에 있는 모들은 모두 잘 자라고 있더군요. ^^*

방송에서,
‘병충해’와 ‘병해충’을 잘못 갈라 헷갈리게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병해충’은 병(균)과 해충을 합친 말입니다.
“예년보다 빨리 병해충이 발생했다”라고 말할 수 있죠.

‘병충해’는 병해와 충해를 합친 말입니다.
“올해는 도열병이 심해 병충해가 컸다”라고 말할 수 있죠.

‘병충해’와 ‘병해충’을 같이 써 보면,
“올해는 병해충이 많이 발생해서 병충해가 클 것 같다”가 됩니다.

기자들이 이 쉬운 것도 구별하지 못하는 것을 보면,
기자도 별거 아니죠? ^^*

새로운 한 주가 시작했습니다.
이번 주도 좋은 일 많이 만드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733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92908
36 [2016/08/25] 우리말) 물, 말 머니북 2016-08-29 2299
35 [2016/03/29] 우리말) 바람만바람만 머니북 2016-03-30 2299
34 [2015/01/07] 우리말) 뽁뽁이 머니북 2015-01-07 2299
33 [2014/07/15] 우리말) 강담/죽담 머니북 2014-07-15 2299
32 [2014/05/30] 우리말) 안갚음 머니북 2014-05-30 2299
31 [2015/08/24] 우리말) 풋낯과 풋인사 머니북 2015-08-25 2298
30 [2010/03/25] 우리말) 가위 id: moneyplan 2010-03-25 2298
29 [2009/02/12]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2-12 2297
28 [2015/08/07] 우리말) 일소현상? 머니북 2015-08-08 2296
27 [2012/03/05] 우리말) 돌잔치 머니북 2012-03-05 2296
26 [2009/09/18] 우리말) 멧돼쥐 id: moneyplan 2009-09-18 2296
25 [2009/05/25] 우리말) 조문과 추모 id: moneyplan 2009-05-25 2295
24 [2016/02/19] 우리말) 철 머니북 2016-02-25 2294
23 [2010/10/18] 우리말) 있습니다와 있음 moneybook 2010-10-18 2294
22 [2009/09/03] 우리말) 징크스 id: moneyplan 2009-09-03 2292
21 [2009/07/08]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7-09 2292
20 [2013/12/31] 우리말) 일몰과 해넘이 머니북 2013-12-31 2291
19 [2016/07/08] 우리말) 깝살리다 머니북 2016-07-11 2290
18 [2015/03/17] 우리말) 햇빛/햇살/햇볕 머니북 2015-03-17 2290
17 [2014/12/02] 우리말) 추켜세우다/치켜세우다 머니북 2014-12-02 2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