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89/02/17(조선 성종 20)  도학자 화담 서경덕 태어남.

1600/02/17  지동설 주장했던 지오다노 브루노, 이단의 죄명으로 교황 앞에서 화형 당함.

1766/02/17  <인구론> 저자 맬더스 태어남.
                 “인구는 억제하지 않으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식량은 겨우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할 뿐이다.”

1827/02/17  스위스 교육자 페스탈로치 세상 떠남.

1856/02/17  독일 낭만파 시인 하이네 세상 떠남

1869/02/17(조선 고종 6)  독립운동가 이동녕 태어남.

1876/02/17(조선 고종 13)  최익현, 강화조약 교섭 반대 척사소 올림

1907/02/17  국채보상운동 시작.
                 부녀자들은 가락지, 비녀까지 헌납하면서 적극 가담하는 등 거국적으로 전개된 이 운동은
                 일본 통감부의 저지로 큰 결실을 맺지 못했다.
                 “2천만 동포가 담배를 석 달만 끊고… 국채 1300만원을 갚을 터인데…
                 어찌 힘 안드는 담배 석 달이야 못 끊을 자 있으며 설혹 못 끊더라도 1원에서 천백원까지 낼 사람이 많을지니
                 무엇을 근심하리요"-1907.2.17 <대한매일신보>에 실린 서상돈의 글

1988/02/17  남극과학기지인 세종기지 준공.

1992/02/17  미국의 뉴키즈온더블록 내한공연 중 1명 숨지고 40여명 부상.
                 서울 올림픽공원에서 열린 공연에서 10대 청소년 관객들의 열광으로 일어난 사건

1998/02/17  대만여객기 추락, 203명 목숨 잃음.

2007/02/17  파키스탄 법원에 폭탄테러, 13명 목숨 잃음.

2008/02/17  아프가니스탄 칸다하르서 자살폭탄 테러로 100명 이상 목숨 잃음.

2008/02/17  코소보, 세르비아로부터 독립선언



오늘은 정월대보름.

대보름의 풍습=부럼; 대보름날 아침에 일어나 밤, 호도, 잣, 은행 등을 깨물어 소리를 낸다. 나이 수대로 깨뜨리기도 하나 나이 먹은 이는 몇 개만 깬다. 일년 내내 까탈이 생기지 말라는 기원

대보름의 풍습=귀밝이 술; 대보름날 아침에 귀가 잘 들리라고 마시는 술, 좋은 소식을 잘 듣게 됨. 약밥; 14일이나 대보름날 아침에 찹쌀 대추 밤 잣 꿀을 섞어 찜. 오곡밥; 쌀 보리 콩 팥 조 다섯 가지 곡식으로 지은 밥. 세 집의 밥을 먹어야 좋다고

대보름의 풍습=더위팔기; 아침 일찍 더위를 판다. 그 해 무더위를 신선하게 보낼 수 있다. 지신밟기; 영남지방에서 지신을 위로하는 놀이. 여럿이 풍물 치며 뛰고 놈. 달맞이; 대보름날 저녁 뜨는 달 맞으며 횃불 꽂고 합장하고 소원을 빈다

대보름의 풍습=산제(동신제); 동리 수호신인 산신에 산제당에서 제사 지낸다. 답교; 종각의 종소리를 듣고 광통교나 수표교를 내왕한다. 일년 동안 다리가 아프지 않다고 함. 군중들은 퉁소를 불고 북을 쳐서 흥을 돋운다

대보름의 풍습=편싸움; 보름날 동서남대문밖 사람들과 애오개 사람들이 두 패가 되어 몽둥이나 돌을 들고 만리재에서 편싸움. 문밖사람들이 이기면 경기지방에 풍년이 들고 애오개편이 이기면 다른 지방에 풍년이 든다고. 고구려는 패수가에서 싸웠는데 임금이 친히 심판 봄

대보름의 풍습=줄다리기; 집집에서 짚을 내 줄을 만들어 두 패로 나누어 승패를 가른다. 횃불싸움; 홰를 들고 청소년이 두 패로 갈라져 전쟁 연습하듯이 싸우는 놀이. 사자놀이; 사자 탈을 쓰고 농악대를 앞세우고 마을 부잣집을 돌면서 대접받으며 추고 논다

대보름의 풍습=놋다리 놀이; 안동 지방에서 하는 놀이. 놋다리밟기, 기와 밟기, 여인들이 늘어서 허리 구부린 위로 걸어가는 놀이. 공민왕의 파천으로부터 비롯되었다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307 [역사 속 오늘] 12/06(1506) 가사문학의 대가 송강 정철 태어남 moneybook 2010-12-07 4108
306 [역사 속 오늘] 08/23(2001) IMF 차관 완전 상환 moneybook 2010-08-23 4109
305 [역사 속 오늘] 04/21(1852) 유치원창시자 프뢰벨 세상 떠남. moneybook 2011-04-21 4112
304 [역사 속 오늘] 2021(4354). 9. 9(목) 음력 8.3 경신 장기기증의 날 뜸의 날 치킨데이 머니북 2021-09-13 4123
303 [역사 속 오늘] 2021(4354). 8. 1(일) 음력 6.23 신사 머니북 2021-08-05 4129
302 [역사 속 오늘] 06/11(1993) <쥐라기공원> 뉴욕에서 개봉 머니북 2011-06-13 4133
301 [역사 속 오늘] 09/14(1321) 세계4대 시인으로 추앙 받는 단테 세상떠남. moneybook 2010-09-14 4140
300 [역사 속 오늘] 06/01(1270) 삼별초 의거 발생. moneybook 2011-06-01 4140
299 [역사 속 오늘] 06/07(1481) 국내지리서 '동국여지승람' 완간 머니북 2011-06-07 4147
298 [역사 속 오늘] 08/26(1789) 프랑스 인권선언 발표 머니북 2011-08-26 4162
297 [역사 속 오늘] 06/27(1880) 헬렌 켈러 태어남 머니북 2011-06-27 4187
296 [역사 속 오늘] 08/13(1952) 근로기준법 국회통과(53.5.13 공포) moneybook 2010-08-13 4201
295 [역사 속 오늘] 2019(4352). 2.15(금) 음력 1.11 계미 첫양날(상미일) 세계 소아암의 날(International Childhood Cancer Day) 머니북 2019-02-18 4226
294 [역사 속 오늘] 06/19(1846) 미국에서 첫 야구시합 머니북 2011-06-20 4227
293 [역사 속 오늘] 07/01(1948) 회에서 나라 이름을 대한민국으로 결정 머니북 2011-07-01 4227
292 [역사 속 오늘] 08/06(1945) 미국, 일본 히로시마에 최초의 원폭 투하. moneybook 2010-08-06 4257
291 [역사 속 오늘] 08/02(1920) 국제사법재판소설치. moneybook 2010-08-02 4265
290 [역사 속 오늘] 01/16(1988) 박종철군 고문치사은폐조작사건 관련 강민창 치안본부장 구속 moneybook 2011-01-16 4270
289 [역사 속 오늘] 2021(4354). 7.18(일) 음력 6.9 정묘 만델라데이 머니북 2021-07-19 4275
288 [역사 속 오늘] 08/02(1964) 통킹만사건 일어남 머니북 2011-08-02 4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