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방송 및 각종 언론에 나타나는 실생활에 밀접한 경제뉴스를 간단한 멘트와 함께 클리핑 해드립니다.

■ 전세대란에 ‘반월세살이’ 늘었다

국내 주거 형태가 전세에서 보증부월세로 급속히 재편되고 있는데 최근 전세대란을 전후로 임대수익을 기대하는 집 소유자가 늘어난 데다 전셋값 상승 부담으로 일부를 보증금으로 돌리는 사례가 늘면서 이 같은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고. 6일 국민은행의 5월 전국주택가격동향 조사에 따르면 국내 임대차계약 구성비 가운데 전세계약 비중이 점점 줄어드는 반면 일정액의 보증금을 내고 다달이 월세를 지급하는 보증부월세 비중은 증가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전세계약 비중은 지난 2008년 5월 58.2%를 차지하다가 2009년 58.1%에 이어 2010년 5월에는 55.9%로 급락했다. 이어 올 5월 기준으로는 54.2%를 기록했다고.

[파이낸셜뉴스] 기사 더 보기


■ 치아 보험 불만 급증…꼼꼼히 살펴보세요!

임플란트, 틀니 등 치과 치료 하려면 목돈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아 민영 치아 보험에 가입하는 경우가 많은데 보험사 광고만 믿고 섣불리 가입했다가 보장을 못 받는 경우가 많다고. 임플란트부터 브릿지, 틀니까지 모든 치과 치료를 보장하는 것처럼 광고하는 치아 보험이 기존에 치료 경력이 있는 치아는 보상에서 제외하거나 같은 치료라도 발치를 하지 않으면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 등 실제로 보험의 보장 혜택을 볼 수 있는 사례는 제한되어 있다고.

[KBS] 기사 더 보기


■ "외식하기 무서워" 점심메뉴 상승폭 무려..

삼겹살, 자장면, 설렁탕, 칼국수 등 서민들이 주로 찾는 외식품목의 가격 인상 폭이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2배를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6일 한국은행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외식품목 38개 가운데 가장 많이 가격이 오른 품목은 삼겹살로 1년 전에 비해14.5% 상승했다고. 서민들의 1등 식사메뉴인 자장면이나 짬뽕 등 중국음식 역시 올해 들어 상승폭이 계속 커지면서 지난달에는 8%가 넘는 높은 인상률을 보였다고.

[헤럴드경제] 기사 더 보기


■ 소비자들 유혹하는 '할인가'…충동소비 조심

소셜커머스 이용자 10명 가운데 3명은 매주 한차례 이상 소셜커머스를 통해 뭔가를 산다고 답했으며 심지어 100명 중 5명은 매일 뭔가를 사고 있고, 이중 절반 가까이는 충동 구매한다고 털어놨다고. 전문가들은 소셜커머스 운용 방식이 일종의 게임과 비슷한데다, 젊은 층의 차별화 욕구까지 자극해 소비 중독으로 이어지기 쉽다고 진단하기도.

[SBS] 기사 더 보기


■ 보험금 청구했더니 되레 소송당해?

금융감독원이 최근 발표한 금융회사의 1분기 소(訴) 제기건의 금융권별 비중을 보면 손해보험사가 압도적인데 전체 소 제기 총 171건 중 손해보험사의 소 제기건이 140건으로 전체의 81.9%를 차지하고 있다고. 분쟁조정 신청 관련 소 제기 비율을 보면 에르고다음이 18.9%로 소 제기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더케이손보 17.2%로 뒤를 이었고 그린손보는 13.8%라고. 손보사들이 소비자들과 다툼이 잦은 이유는 근본적으로 손해보험 상품의 특성에 기인한 측면이 있는데 업계 관계자는 "생보사들은 지급해야 할 보험금이 명확한 '확정형 상품'을 판매하는 반면, 손보사들은 손해율을 따져 보상하는 특성상 다툼의 여지가 많다"고 따라서 단순히 다툼 건수만으로 비난의 대상이 되는 것은 불합리하다는 지적이지만 문제는 중소형 손보사들을 중심으로 악의성 소송이 남발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는 점이라고.

[머니투데이] 기사 더 보기


■ 은행들, 신용대출 '고금리 장사' 맛들였나

신용대출과 주택담보대출 간 금리 격차가 역대 최고로 벌어졌고 대기업과 중소기업대출간 금리 차이도 32개월 만에 최고수준으로 확대됐는데 은행들이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높은 신용대출과 중기대출 취급을 확대하면서, 이 쪽에서 고금리 영업을 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한국은행에 따르면 예금은행이 4월 새로 취급한 가계대출 가운데 신용대출의 금리는 평균 연 6.67%로 전달보다 0.09%포인트 상승했는데 신용대출 금리는 올 들어 줄곧 상승세를 이어가며 작년 연말 대비 0.86%포인트 급등했다고.

[한국일보] 기사 더 보기


■ 딸 결혼식까지 온 '사채업자'…빚독촉 금지시간은?

금융감독원이 소개하는 대표적 불법채권추심 유형을 보면 결혼식에 찾아와 빚 갚으라고 요구하면 불법인데 채권추심법 제12조 제1호는 '혼인, 장례 등 채무자가 채권추심에 응하기 곤란한 사정을 이용하여 채무자 또는 관계인에게 채권 추심의 의사를 공개적으로 표시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다고. 채권추심을 할 수 있는 시간도 정해져 있는데 밤 9시부터 아침 8시까지는 빚 독촉을 할 수 없다고. 채권추심자가 소속과 성명을 밝히지 않아도 불법이고 채무사실을 가족이나 회사 동료 등 제3자에게 직·간접적으로 알려서도 안 되며 채무자 또는 채무자의 가족·친지 등에게 연락해 대위변제를 강요하거나 유도하는 행위도 불법이라고. 불법채권추심으로 피해를 당했거나 채권추심행위의 적정성 여부 등의 상담을 원할 경우 금융감독원 서민금융종합지원센터(☎1332)를 이용.

[머니투데이] 기사 더 보기


■ 부모사망 해야 학자금? 이런 보험 아세요

현재 GS홈쇼핑에서 판매 중인 동양생명의 `(무)수호천사꿈나무미래보장보험' 광고 시 보장이 성립되는 핵심적인 보장 전제 조건을 명확히 전달하지 않고 있다는데 이 상품은 초등교육자금 매년 50만원, 중등교육자금 매년 100만원, 고등교육자금 매년 200만원, 대학 학자금 매년 1000만원, 어학 캠프자금 등 17년간 다양한 학자금을 보장한다고 소개하고 있고 보험료 또한 1만원 안팎으로 저렴해 홈쇼핑을 본 고객의 상담 문의가 줄을 잇고 있다고. 그러나 제시하고 있는 모든 학자금 보상은 `부모가 사망 시'라는 전제가 붙는다. 부모 사망 보험금을 분할해 아이의 학자금으로 관리해주는 일종의 생명보험 상품인 셈.

[디지털타임스] 기사 더 보기


■ '반값 등록금' 촛불집회, 모르는 일이라는 KBS·MBC

최근 대학생들이 '조건 없는 반값 등록금 실현'을 촉구하는 집회를 8일째 진행하는 등 등록금 문제가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지만, 정작 지상파 방송사들은 이를 주요 뉴스로 처리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됐는데 수십 명의 대학생들이 경찰에 '강제 연행'이 되고, 보수신문들이 대학생 등록금 문제를 집중 조명하고 있는 등 논란이 커지고 있지만, 오히려 지상파의 등록금 보도는 갈수록 줄어들거나 여전히 단신에 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미디어오늘] 기사 더 보기


계좌통합 기능으로 가계부를 대신 써 주는 머니북(MoneyBook) www.moneybook.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498 [07/04(월)] 가정경제뉴스 - 월세 지출 증가폭 15년새 ‘최고치’ 머니북 2011-07-04 4539
497 [07/01(금)] 가정경제뉴스 - 버스·지하철 요금 150원 올라‥서민가계 부담 증폭 머니북 2011-07-01 5240
496 [06/30(목)] 가정경제뉴스 - '가격 파괴' 대형 마트‥'미끼 판매' 논란 머니북 2011-06-30 5912
495 [06/29(수)] 가정경제뉴스 - 한국의 중산층은…임금↓ 물가↑ 집값↓…사실상 빈곤층 전락 머니북 2011-06-29 4716
494 [06/28(화)] 가정경제뉴스 - 잠 못드는 아빠들 머니북 2011-06-28 4840
493 [06/27(월)] 가정경제뉴스 - '동네 물가' 한번 오르면 꿈쩍 않는 3가지 이유 머니북 2011-06-27 5059
492 [06/24(金)] 가정경제뉴스 - [금리에 우는 서민] '리볼빙 서비스'의 덫 머니북 2011-06-24 5172
491 [06/23(木)] 가정경제뉴스 - 울고 싶은 '하우스푸어'(house poor)… 더 울고픈 '하우스리스'(houseless) 머니북 2011-06-23 6640
490 [06/22(水)] 가정경제뉴스 - 금리에 우는 서민... 은행의 배신 머니북 2011-06-22 5583
489 [06/21(火)] 가정경제뉴스 - 월급쟁이가 봉 머니북 2011-06-21 6207
488 [06/20(月)] 가정경제뉴스 - 한국경제 마이너스 시대 … 신도시 아파트 프리미엄 ‘-’ 실질금리 6개월째 ‘-’ 머니북 2011-06-20 4441
487 [06/17(金)] 가정경제뉴스 - 부동산 거래 '실종'…집 값 하락에 가계 '신음' 머니북 2011-06-17 5267
486 [06/16(木)] 가정경제뉴스 - 정부가 가계빚 키워…저소득층·자영업자 위험하다 머니북 2011-06-16 4209
485 [06/15(水)] 가정경제뉴스 - 인생 고비마다 ‘빚의 굴레’…평생 빚쟁이 머니북 2011-06-15 5265
484 [06/14(火)] 가정경제뉴스 - 내달 ‘100원 인하’ 끝나면 기름값 ‘폭탄’ 될라 머니북 2011-06-14 4239
483 [06/13(月)] 가정경제뉴스 - '너도나도 1등급 한우'에 숨겨진 불편한 진실 머니북 2011-06-13 4482
482 [06/10(金)] 가정경제뉴스 - “장사 안된다” 강남권 중개업소 폐업 속출 머니북 2011-06-10 5554
481 [06/09(木)] 가정경제뉴스 - 학자금 대출 대학생 신용불량자 3만명 넘어 머니북 2011-06-09 5126
480 [06/08(水)] 가정경제뉴스 - '신용 묻지마' 카드발급 급증‥경제위기 복병 머니북 2011-06-08 4732
» [06/07(火)] 가정경제뉴스 - 전세대란에 ‘반월세살이’ 늘었다 moneybook 2011-06-07 4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