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방송 및 각종 언론에 나타나는 실생활에 밀접한 경제뉴스를 간단한 멘트와 함께 클리핑 해드립니다.

홈쇼핑과 텔리마케팅에서 판매하는 보험상품의 소비자피해가 설계사의 6배이상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사별로는 우리아비바생명의 TM 불완전 판매비율이 16.8%로 가장 높고, 흥국생명이 15.42%, 신한생명이 11.58%로 최악의 실적을 나타냈다. 소비자는 상품 공시와 유의사항을 제대로 숙지하여 피해보지 않도록 해야할 것이라고 밝혔다.

보험소비자연맹(www.kicf.org)은 홈쇼핑과 텔리마케팅(TM)에서 판매하는 보험상품의 불완전판매비율이 설계사 판매보다 생명보험 상품은 텔리마케팅(TM)은 6.2배, 홈쇼핑은 3.8배, 손해보험상품은 텔리마케팅(TM)은 12배, 홈쇼핑은 13배 높은 불완전판매 비율을 보여, 홈쇼핑과 텔리마케팅(TM)으로 보험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채널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금융당국은 이에 대한 획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며, 소비자는 홈쇼핑과 텔리마케팅(TM)으로 보험을 가입할 때에는 이런 점을 특히 유의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불완전판매비율은 상품설명이 불완전해 품질보증으로 해지하거나 민원이 발생하여 해지되거나 무효시킨 계약건수를 전체 신계약건수로 나눈 비율로 우리아비바의 TM판매를 예로들면 100건의 계약에서 16.8건이 부실판매로 계약이 무효 해지된것으로 심각한 소비자피해가 발생한 것을 알수 있다.

생명보험사의 TM,홈쇼핑의 불완전판매비율은 TM은 업계평균이 8.08%로 가장 높은 우리아비바생명은 16.8%로 2배를 넘고 있으며, 설계사와 비교해볼 때 12.8배로 상당히 심각한 수준을 보이고 있음. 이어 흥국생명이 15.42%, 신한생명이 11.58%를 보이고 있음. 또한 홈쇼핑은 흥국이 9.58%, 신한 7.12%, 동양 6.62% 순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났다.

손보사의 TM,홈쇼핑의 불완전판매비율은 TM은 업계평균이 3.7%로 가장 높은 LIG손보는 7.9%로 업계평균 대비 2배를 넘고 있으며 설계사와 비교해볼 때 25배로 상당히 심각한 수준을 보이고 있고, 이어 롯데손보가 3.76% 를 높음. 또한 홈쇼핑은 TM과 마찬가지로 LIG손보 7.32% 에 이어 롯데손보가 4.94%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소비자는 보험가입시 판매채널 별로 각 보험사의 불완전판매비율을 감안하여 선택하는 게 유리하며, 만약 상품이 마음에 안들거나 다른 것을 가입하고자 할 때에는 일반보험의 청약철회기간이 가입일로부터 15일이나, 홈쇼핑이나 전화, 컴퓨터 등의 통신판매로 가입한 보험은 청약철회 기간이 30일로 본인 마음대로 철회하는 제도를 적극 활용하면 된다. 이 기간이 지났다 해도, 자필서명(통신판매는 음성녹음으로 대체)을 안 했거나 보험약관을 못 받았거나 약관의 중요내용 설명을 못들은 경우 가입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계약 취소 할 수 있는 품질보증제도를 활용하면 된다.

또한, 보험업감독규정의 개정에 따라 “통신 판매시 보험사는 최초 통화내용부터 청약이 완료될 때까지 모든 과정을 음성 녹음하고 이를 보관해야 한다”라고 되어 있고 금년7월부터는 음성 녹음한 것을 보험계약자 및 피보험자가 전화 또는 인터넷 홈페이지, 문서화된 확인서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문서화된 확인서는 보험계약자 및 피보험자가 요청한 경우에 한하며 보험모집자는 보험계약자 및 피보험자에게 보험계약 체결 전에 문서화된 확인서를 요청할 수 있음을 알리도록 개정된다. 보험사가 특정부분만 녹음하거나 누락 등으로 피해를 보는 경우가 있어 문서로 받아두거나 음성으로 확인한다면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보험소비자연맹(www.kicf.org) TM,홈쇼핑의 불완전판매비율이 다른 판매채널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은 빠르고,일방적인 설명과 궁금한 점등을 문의할 여지가 없으며, 내용이 어려워 제대로 알지 못한 상태에서 가입하기 때문으로 보험사는 이런점에 대해 충분한 대책을 세워 판매해야 되며 금융당국은 TM과 홈쇼핑 판매에 대해 지속적인 감독을 해야 한다. 또한, 소비자는 각 보험사의 불완전판매비율을 확인하고, 가입시 각종 유익한 제도를 적극 활용하여 피해를 입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머니북 money@moneybook.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58 [10/04(火)] 가정경제뉴스 - 버스·지하철 이어 시외 택시요금 인상 움직임 머니북 2011-10-04 4160
257 [01/21(금)] 가정경제뉴스 - 같은 조건이라도 車 보험료 최대 68만 원 차이 moneybook 2011-01-21 4160
256 [04/16(土)] 가정경제뉴스 - 텅빈 집 쌓였는데 또…준공 후 미분양 '심각' 머니북 2011-04-16 4160
255 [03/09(수)] 가정경제뉴스 - CD금리 뜀박질..서민들 이자 폭탄 현실화 머니북 2011-03-09 4160
254 [02/29(水)] 가정경제뉴스 - 카드업계 부가서비스 대거 없애거나 줄인다 머니북 2012-02-29 4159
253 [01/16(月)] 가정경제뉴스 - 증시에 한탕주의 극성…도박ㆍ로또 뺨친다 머니북 2012-01-16 4159
252 [12/22] 가정경제뉴스 - 연말정산, 미리 준비해야 2월 월급통장 액수가 달라진다 머니북 2010-12-22 4159
251 [12/21(水)] 가정경제뉴스 - 연말정산 효과 … 체크카드 시장 1년 새 38% 커져 머니북 2011-12-21 4158
250 [9/27] 가정경제뉴스 - 교통사고시 꼭 보험으로 처리해야 하나? file 머니북2 2010-09-27 4158
249 [01/31(火)] 가정경제뉴스 -주거도 인권… 소유자 우선서 거주자 보호로 전환 머니북 2012-01-31 4157
248 [01/08(토)] 가정경제뉴스 - 원산지 눈속임’ 비싼 호텔이 더 심했다 moneybook 2011-01-08 4157
247 [05/07(土)] 가정경제뉴스 - "5.1대책 약효 없나"…수도권 아파트값 추가 하락 머니북 2011-05-07 4157
246 [04/08(金)] 가정경제뉴스 - “기름값 안 내렸잖아”… 일선 주유소 대 혼선 머니북 2011-04-08 4157
245 [03/30(水)] 가정경제뉴스 - 돼지고기 값, 한국이 제일 비싸다 머니북 2011-03-30 4157
244 [12/09] 가정경제뉴스 - MB정권, 예산안 3년째 날치기…무상급식 0원, 4대강 9조 머니북 2010-12-09 4157
243 [11/05] 가정경제뉴스 - ‘컵라면 10원’ 주문한 사람들은 받을 수 있었을까? 머니북 2010-11-05 4157
242 [12/29(木)] 가정경제뉴스 - 대기업 승진 잔치, 자영업 ‘파탄’직전…양극화 막장까지 갔다 머니북 2011-12-29 4156
241 [03/31(木)] 가정경제뉴스 - 수도권 중대형 아파트값 ‘뚝뚝’ 5년만에 최저치 moneybook 2011-03-31 4156
240 [03/10(목)] 가정경제뉴스 - 서민들 비은행권 대출 급증…‘빚 폭탄’ 우려 moneybook 2011-03-10 4156
239 [10/18] 가정경제뉴스 - 전셋값에 좀 더 보태서 집 사라고? 위험천만한 선동 보도… 집값 폭락의 신호 moneybook 2010-10-18 4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