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그곳엔 아무 것도 없네/원래 아무 것도 없었다는 듯이/아무 것도 없네/그곳은 텅 비었고/인적 없는 평지가 되었고....불길에 검게 그을리고 피와 살점이 묻은/학살의 증거들/학살 이후의 나날들/탄원들, 기도들, 투쟁들을...”-심보선 ‘거기 나지막한 돌 하나라도 있다면-2011년 1월 20일 용산참사 2주기에 부쳐’

1월 20일 오늘은 대한, 겨울 매듭짓는 날, 이날 밤을 해넘이라고 함, 겨울 추위는 입동에서 시작해 소한 때까지 추워지며 소한 지나면 추위가 수그러들기 시작해서 ‘대한이 소한의 집에 가서 얼어 죽는다’고 할 만큼 푸근한 것이 보통

1890(조선 고종 26) 전국 호구수 1,569,642호 인구 6,510,955명

1904 고종 황제 대한제국의 영세중립 선언

1910 종로 청년회관에 사진과 설치

1923 조선물산장려회 창설

1939 낙랑 고분 발굴

1944 일제 조선학생을 학병으로 첫 동원

1954 중앙우체국 업무 개시

1955 울릉도 폭설 150.9cm(남한 극최심신적설) 교통 완전 두절

1969 한글전용 반대한 유정기 교수 파면

1971 주 오스트리아 한국대사관 소련인 학자에 첫 비자 발급

1972 『동국정운』 원본 전6권 발견(2월22일 국보 지정)

1975 김영삼 신민당 총재 4개국(미-소-일-중)에 의한 남북상호승인 제안

1979 박정희 대통령 연두기자회견에서 북한에 대화 제의 “때와 장소에 관계없이 그 사이 남북한이 상호 제시하여 온 모든 분야의 제문제에 대하여 직접 협의하기 위한 대화의 장을 설치할 것”

1986 북한의 경제회담 대표단-적십자회담 대표단-국회회담 대표단 성명

-- 팀 스피리트 훈련 비난하고 지금까지 남북회담은 군사훈련 종료 후 회담 분위기가 호전된 시점에서 계속한다는 입장 밝힘

1987 서울대에서 박종철 열사 추모제 열림 “오늘 우리는 뜨거운 눈물을 삼키며/솟아오르는 분노의 주먹을 쥔다/차가운 날/한 뼘의 무덤조차 없이/언 강 눈바람 속으로 날려진/너의 죽음을 마주하고/죽지 않고 살아남아/우리 곁을 맴돌/빼앗긴 형제의 넋을 앞에 하고/우리는 입술을 깨문다/누가 너를 앗아갔는가/감히 누가 너를 죽였는가/눈물조차 흘릴 수 없는 우리/그러나 모두가 알고 있다/너는 밟힌 자가 될 수 없음을/끝까지 살아남아 목청 터지도록/해방을 외칠/그리하여 이 땅의 사슬을 끊고/앞서 나아갈/너는 결코 묶인 몸이 될 수 없음을”-‘추도시’(서울대 언어학과 일동)

1992 최호중 통일부총리 남북합의서 채택의 후속조치 보고, 늦어도 상반기 안에 남북 군사당국자 간 직통전화 설치, 군사력균형 실현 남북협상 착수, 남북 직교역항 지정수송로 연결, 청산결제은행 개설 등 추진

1994 국악의 해 선포식. 한국은행 새 10,000원권 지폐 발행

1995 미 국무부 대북 경제제재 완화조치 발표

1998 노사정위원회 공동선언문 5개항 타결

2006 순천만 우리나라 연안습지 최초로 람사르협약에 등록

2009 용산참사 일어남, 용산 재개발지역 점거시위 중인 철거민을 경찰이 무리하게 강경진압하다 철거민 5명 경찰 1명 숨짐, 2010년 11월 대법원은 이충연 용산철거대책위원장 등 7명 징역 4-5년형 확정 “달동네주민들이 추운 겨울날 철거용역원들의 위협에 피눈물을 흘리며 떠나야 했습니다. 가난한 사람을 더 가난하게 만들고 그들 눈에서 피눈물이 나게 하면서 도시를 아름답게 꾸민들 그것이 참된 아름다움이겠습니까? 가난한 이들을 쫓아내고 세운 도시는 아름답지 않습니다.”-김수환 추기경

2010 서울중앙지법 MBC ‘PD수첩’ 제작진들의 광우병 위험보도 명예훼손혐의 무죄선고, 2심(12.2)도 무죄

2016 경기도 성남시 ‘청년배당’ 지급 시작

- 성남에 3년 이상 거주한 만24세 청년 1만1,300명에게 분기별 12만5천원씩 연50만원 지역화폐‧전자화폐로 지급

2018 IOC, 북한 평창겨울올림픽 참가 최종 승인

BC331 알렉산드리아 건설 시작됨

1875 프랑스 화가 밀레 세상 떠남

1924 중국 국민당-공산당 제1차 국공합작 합의

1925 일본-소련 수교조약 조인

1942 독일 나치 지도자 15명 베를린 근교 반제 호숫가에서 유대인학살(홀로코스트) 결정

1965 존슨 미대통령 취임 “나는 제국을 건설하거나 영토를 넓힌 대통령이 되기를 원치 않는다. 나는 어린이를 교육한 대통령이 되기를 원한다. 배고픈 사람이 먹도록 돕고, 가난한 사람들이 살길을 찾게 하며, 모든 사람들이 투표를 할 수 있게 하고...”

1969 닉슨 미대통령 취임

1980 카터 미대통령 소련의 아프간 침공으로 모스크바올림픽 불참선언

1981 이란, 미국인 인질 52명 444일 만에 풀어줌

1983 브라질 축구영웅 가린차(1933-) 세상 떠남, 1962 칠레 월드컵 득점상, 가린차는 ‘불쌍한 새’라는 뜻, 소아마비 가난 문맹 등을 딛고 아직도 그를 넘을 사람이 없다는 ‘환상의 드리블'로 두 차례 브라질을 월드컵 정상으로 이끈 인간승리의 표상으로 브라질국민의 추앙 받고 있음

1991 다국적군이 이라크 원자로 4기 파괴

1993 빌 클린턴 미대통령 취임. 미국 배우 오드리 햅번 세상 떠남

2001 에스트라다 필리핀 대통령 사임으로 아로요 부통령이 대통령직 승계. 부시 미대통령 취임, 역사상 두 번째 부자 대통령 탄생

2009 버락 오바마 미대통령 취임

2018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부분 업무정지, 미국 상.하원이 1.22 3주간의 임시예산안 가결함으로써 69시간 만에 연방정부 업무 개시

2018 탈레반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의 호텔에서 인질극 사망 29명 이상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3513 [역사 속 오늘] 10/08(1895) 명성황후 일본인에게 시해 당함. 머니북 2014-10-08 2472
3512 [역사 속 오늘] 10/09(1446) 훈민정음반포(조선 세종28) 머니북 2014-10-10 2471
3511 [역사 속 오늘] 10/10(1932) 독립운동가 이봉창 일본 이치가야형무소 순국 머니북 2014-10-10 2105
3510 [역사 속 오늘] 10/11(1996) OECD 한국가입 초청 결정(29번째로 가입) 머니북 2014-10-13 1912
3509 [역사 속 오늘] 10/12(1920) 독립운동가 유관순(18세) 서대문형무소에서 세상 떠남 머니북 2014-10-13 2207
3508 [역사 속 오늘] 10/13(1990) 노태우 대통령 ‘범죄와의 전쟁’ 선포 머니북 2014-10-13 2536
3507 [역사 속 오늘] 10/14(2006) 반기문 외통부장관 한국인 최초로 유엔사무총장에 뽑힘 머니북 2014-10-14 2031
3506 [역사 속 오늘] 10/15(1844) 독일 실존철학선구자 프리드리히 니체 태어남 머니북 2014-10-15 2134
3505 [역사 속 오늘] 10/16(1979) 부마민주항쟁 시작됨 머니북 2014-10-16 2522
3504 [역사 속 오늘] 10/17(1972) 10월유신, 박정희 대통령 특별선언 통해 전국에 비상계엄 머니북 2014-10-17 2570
3503 [역사 속 오늘] 10/18(1931) 미국발명가 토마스 에디슨 세상 떠남 머니북 2014-10-20 2059
3502 [역사 속 오늘] 10/19(1933) 조선어학회, 한글맞춤법통일안 마련 머니북 2014-10-20 2215
3501 [역사 속 오늘] 10/20(1920) 청산리대첩에서 독립군 대승. 머니북 2014-10-20 2067
3500 [역사 속 오늘] 10/21(1994) 성수대교 붕괴 32명 사망 17명 부상 머니북 2014-10-21 1868
3499 [역사 속 오늘] 10/22(1938) 세계최초의 건조식 복사기 탄생 머니북 2014-10-22 2245
3498 [역사 속 오늘] 10/23(1996) 김구 암살범 안두희 피살 머니북 2014-10-23 2064
3497 [역사 속 오늘] 10/24(1929) 뉴욕 주가폭락으로 대공황 시작 머니북 2014-10-24 2280
3496 [역사 속 오늘] 10/25(1915) 아인슈타인 일반상대성이론 발표 머니북 2014-10-27 2517
3495 [역사 속 오늘] 10/26(1909) 안중근의사 하얼빈역서 이또 히로부미 사살 머니북 2014-10-27 2204
3494 [역사 속 오늘] 10/27(1987) 대통령직선제 헌법개정안 국민투표 찬성 93.1% 머니북 2014-10-27 2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