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대기'는 일본말 'tata[叩]ki)'에서 왔으므로 '다짐' 또는 '다진 양념'으로 다듬어서 쓰라고 나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곧 점심 시간입니다. 
칼국수나 설렁탕 등을 먹을 때 칼칼한 맛을 돋우고자 넣는 양념을 뭐라고 하시나요?

다대기라고 하시나요?
표준국어대사전을 보면 '다대기'는 일본말 'tata[叩]ki)'에서 왔으므로 '다짐' 또는 '다진 양념'으로 다듬어서 쓰라고 나와 있습니다.
그러나 저는 '다지기'가 더 좋다고 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다지기'를 찾아보면 "파, 고추, 마늘 따위를 함께 섞어 다진 양념의 하나."라고 나오거든요.

'다진 양념'이라 하건 '다지기'를 쓰건 '다대기'만 안 쓰면 되지 않을까요? ^^*
어제 점심때 한 식당에서 '다대기'라고 쓴 것을 보고 제가 제 카카오스토리에 쓴 글을 공유합니다.

https://story.kakao.com/urimal123/gJUZJhx0CA0

고맙습니다.

아래는 2010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신기록 경신]



안녕하세요.

날씨가 무척 춥습니다. 건강 조심하시길 빕니다.

박태환 선수가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을 쓸고 있네요. 좋은 소식입니다.
어제는 자기가 세운 아시아 신기록을 갈아치우면서 금메달을 땄다고 합니다.

오늘은 신기록 경신과 갱신을 알아보겠습니다.

'경신'과 '갱신'은 모두 한자로 更新입니다.
같은 한자를 어떻게 읽는가에 따라 뜻이 달라집니다.
更 자는 '다시 갱'과 '고칠 경'으로 읽는데, 
更 자를 '다시 갱'으로 읽어
'경신'이라고 하면
"이미 있던 것을 고쳐 새롭게 함"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운동 경기의 기록을 '경신'한다고 하는 게 바릅니다.

更 자를 '고칠 갱'으로 읽어
'갱신'이라고 하면
"법률관계의 존속 기간이 끝났을 때 그 기간을 연장하는 일"과
"기존의 내용을 변동된 사실에 따라 변경˙추가˙삭제하는 일"을 말합니다.
계약 갱신, 비자 갱신, 면허 갱신, 시스템의 갱신 따위로 씁니다.

정리하면,
'경신'은 내용을 새로 바꾸는, 한 단계 올라가는, 신기록 경신에 쓰이고,
'갱신'은 계약 기간을 연장하는, 수평으로 연장하는 데 쓴다고 기억하시면 됩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경신'은 '고침'으로
'갱신'은 '새로 고침'으로 바꿔 쓰자고 권했습니다.

박태환 선수가 아시아 신기록을 고치듯이,
다른 선수들도 신기록을 고치는 일이 자주 일어나면 좋겠습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819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3878
2456 [2011/06/22] 우리말) 뼛속과 뱃속 머니북 2011-06-22 4974
2455 [2006/12/29] 우리말) 하일라이트가 아니라 하이라이트 id: moneyplan 2006-12-29 4947
2454 [2017/11/20] 우리말) 롱 패딩 머니북 2017-11-20 4925
2453 [2007/02/26] 우리말) '이력'은 순 우리말입니다 id: moneyplan 2007-02-27 4897
2452 [2017/11/03] 우리말) 제가 누구냐고요? 머니북 2017-11-06 4896
2451 [2013/02/01] 우리말) 거나하다/건하다 머니북 2013-02-01 4890
2450 [2015/06/12] 우리말) 부딪힐 때와 부딪칠 때 머니북 2015-06-12 4866
2449 [2006/12/27] 우리말) 책을 구입하고 책 값을 지불하신다고요? id: moneyplan 2006-12-27 4853
2448 [2011/10/14] 우리말) 휭하니와 힁허케 머니북 2011-10-14 4852
2447 [2006/09/29] 우리말) 이걸 처먹으라고? id: moneyplan 2006-09-29 4842
2446 [2006/11/15] 우리말) 택도없긴... 턱도없지... id: moneyplan 2006-11-15 4830
2445 [2006/11/26] 우리말) 가엾고 설운 어린아이 id: moneyplan 2006-11-27 4828
2444 [2017/06/19] 우리말) 미닫이와 빼닫이 머니북 2017-06-22 4826
2443 [2017/11/17] 우리말) 패러다임 머니북 2017-11-17 4825
2442 [2017/03/16] 우리말) 나가다와 나아가다 머니북 2017-03-17 4815
2441 [2011/10/05] 우리말) 먹거리와 먹을거리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05 4814
2440 [2013/09/16] 우리말) 시키다 머니북 2013-09-16 4810
2439 [2006/11/21] 우리말) 첫과 처음 id: moneyplan 2006-11-21 4806
2438 [2017/11/08] 우리말) 제기? 머니북 2017-11-08 4791
2437 [2012/11/23] 우리말) 시럽다 -> 시리다 머니북 2012-11-23 4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