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5/26] 우리말) 가차 없다

조회 수 2319 추천 수 0 2016.05.26 17:28:49

.

안녕하세요.

오전에 좀 바빴습니다.
예전에 보낸 편지로 오늘 치 우리말 편지를 갈음합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가차 없다]



안녕하세요.



아침에 일터에 나오면서 라디오를 들었습니다.

이번에 가을 개편이 있었는데 혹시 맘에 들지 않는 게 있으면 가차없이 말씀을 해 달라더군요.(7:40, MBC)

오늘은 '가차'를 알아보겠습니다.



가차는 거짓 가(假) 자와 빌릴 차(借) 자를 써서 "정하지 않고 잠시만 빌리는 것"이라는 뜻입니다.

국립국어원에서 '임사로 빌림'으로 다듬었습니다.(저는 별로 맘에 들지 않습니다.)



사실 이 '가차'는

한자의 구성과 쓰임에 관한 여섯 가지 분류에서 왔습니다.

상형(象形), 지사(指事), 회의(會意), 형성(形聲), 가차(假借), 전주(轉注) 가운데 하나가 가차입니다.

여기에 쓰인 가차는

어떤 뜻을 나타내는 한자가 없을 때 뜻은 다르나 음이 같은 글자를 빌려 쓰는 방법을 뜻합니다.



來, 이 한자가 무엇을 닮았나요?

요즘 들판에 나가면 볼 수 있는 벼 이삭을 닮지 않았나요?

이 글자는 곡식의 이삭을 뜻하는 상형문자입니다.

그러나 지금은 '오다'를 뜻하는 글자로 쓰이고 있습니다.

오다는 뜻의 한자가 없어서 음이 같은 來자에 '오다'라는 뜻을 빌려 쓴 겁니다.

바로 '가차'한 거죠.

산스크리트어의 [Buddha]를 글자의 본디 뜻과 상관없이 발음만 따와

'佛陀'(부처)로 쓴 것도 가차의 한 보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차 없다'고 하면 임시로 빌어 오는 것도 안 된다는 것이니, 

전혀 고려의 대상이 되지 못한다는 뜻으로 쓰이게 된 겁니다.

그 뜻이 더 넓어져 "사정을 봐 주거나, 용서가 없다."는 뜻으로도 씁니다.



날씨가 추워지는 가을 다가옵니다.

지난가을에 별로 입지 않는 옷을 '가차 없이' 버렸더니,

이번 가을에 입을 옷이 별로 없네요. ^^*



오늘도 많이 웃으시고,

이번 주도 좋은 생각 많이 하시면서 보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보태기)

1.

'가차'는 명사이고, '없다'는 '없다'는 용언이니까 이 둘은 띄어 쓰는 것이 바릅니다.

'가차 없다'가 맞죠.

'가차없다'는 아직 한 낱말로 인정받아 사전에 오르지 못했습니다.



2.

'지난가을'은 한 낱말로 사전에 올라 있으니 붙여 쓰고,

'이번 가을'은 한 낱말로 사전에 오르지 못했으니 띄어 써야 바릅니다.

'지난주/이번 주'고 같은 경우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54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251
2556 [2015/04/01] 우리말) 누룽지튀각과 눌은밥튀각 머니북 2015-04-01 2292
2555 [2015/07/30] 우리말) 줄다와 준 머니북 2015-08-02 2292
2554 [2016/05/20] 우리말) 조으다 -> 좋다 머니북 2016-05-20 2292
2553 [2015/11/06] 우리말) 싸가지와 거시기 머니북 2015-11-09 2293
2552 [2016/07/01] 우리말) 감격해하다 머니북 2016-07-06 2293
2551 [2010/09/20] 우리말) 한가위를 맞아 넉넉하게 보내시길 빕니다. moneybook 2010-09-20 2294
2550 [2015/02/11] 우리말) 모밀국수와 메일국수 머니북 2015-02-11 2294
2549 [2015/03/26] 우리말) 2014년 새 낱말 머니북 2015-03-26 2294
2548 [2015/07/29] 우리말) 무슨과 몇 머니북 2015-08-02 2294
2547 [2016/03/11] 우리말) '화두'와 '촌스럽다' 머니북 2016-03-14 2294
2546 [2015/09/23] 우리말) '구경하다'와 '좋은 구경 하다' 머니북 2015-09-23 2295
2545 [2014/03/28] 우리말) 뜨게부부와 새들꾼 머니북 2014-03-28 2297
2544 [2015/05/18] 우리말) 마침표와 온점 머니북 2015-05-18 2297
2543 [2016/06/20] 우리말) 관청은 알기 쉬운 용어를 써야 한다 머니북 2016-06-21 2297
2542 [2014/11/10] 우리말) 어겹되다 머니북 2014-11-10 2298
2541 [2016/04/12] 우리말) 발표할 때... 머니북 2016-04-16 2298
2540 [2009/04/16]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04-16 2299
2539 [2014/12/30] 우리말) 소나기술과 벼락술 머니북 2014-12-30 2299
2538 [2015/05/22] 우리말) 코르크 머니북 2015-05-26 2299
2537 [2009/03/24] 우리말) 나라비 id: moneyplan 2009-03-24 2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