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4/29] 우리말) 주접스럽다

조회 수 2612 추천 수 0 2016.04.29 19:16:34

우리말 ‘주접’은 이런저런 탓으로 생물이 잘 자라지 못하는 일을 표현하는 말이다.

안녕하세요.

반가운 주말입니다. ^^*

오늘도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보겠습니다.


[주접스럽다]
우리말 ‘주접’은 이런저런 탓으로 생물이 잘 자라지 못하는 일을 표현하는 말이다. “아기가 주접 한번 끼는 법 없이 무럭무럭 잘 자랍니다.”라고 쓸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주접’은 또, 옷차림이 초라하고 너절한 것을 가리키는 말로도 쓰인다. “오랜 노숙 생활에 코트며 바지에 주접이 가득 끼었다.” 하고 말한다.
이 말이 동사로 쓰이면 ‘주접부리다’고 하는데, 추하고 염치없는 짓을 한다는 뜻이다. 이런 행동을 흔히 ‘주접떨다’라고 말하기도 한다. 재미있는 것은, ‘주접대다’라고 표현하면 조금 색다른 뜻이 된다는 것이다. 잔칫집이나 뷔페에 가면 먹다 남은 음식을 눈치껏 비닐봉지에 싸서 손가방에 챙겨가는 사람이 있는데, 그러한 행동을 ‘주접대다’라고 말할 수 있다. 이 말은 “음식에 지나치게 욕심을 부리는 짓을 한다.”는 뜻이다.
주접이 형용사로 쓰인 ‘주접스럽다’도 가령, “그 아주머니는 잔칫집만 가면 주접스럽게 뭘 싸가지고 온다.”처럼 음식에 지나치게 욕심을 부리는 짓을 나타내기도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남편 옷차림이 주접스러워서 같이 못 다니겠다.”처럼, 볼품이 없고 어수선한 모습을 ‘주접스럽다’고 한다. 이 말에 더럽다는 뜻이 강조되어 ‘추접스럽다’란 말이 쓰이게 된 것이다. 그러나 경상도 지방에서 쓰고 있는 ‘추접다’라는 말은 표준말이 아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목메다와 목매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헷갈리기 쉬운 낱말 하나 갈라볼게요.

'목매다'와 '목메다'입니다.

소리가 비슷하고 쓰는 것도 비슷해서 저도 늘 헷갈립니다.

하긴, 헷갈릴 때는 사전 찾아보는 게 으뜸이죠. ^^*



'목매다'는 죽거나 죽이려고 끈이나 줄 같은 것으로 높은 곳에 목을 걸어 매다는 것과, 어떤 일이나 사람에게 전적으로 의지한다는 뜻이 있습니다.

'목메다'는 기쁨이나 설움 따위의 감정이 북받쳐 솟아올라 그 기운이 목에 엉기어 막히다는 뜻입니다.



쉽게 갈라,

'목매다'는 죽는 것이고, '목메다'는 기쁜 겁니다. ^^*

한 끗 차이로 삶과 죽음을 오가네요.



우리말 속담에

'목맨 송아지'라는 게 있습니다.

남의 제어를 받아 끌려다니는 처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오늘은 왠지

'목매다'는 잊고 '목메다'만 외우고 싶습니다. ^^*



오늘도 기쁘고 즐거운 일이 많이 일어나 목메고 싶네요.(말이 되나요?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보내기)



밑에서 둘째 줄 '목메고 싶네요'라고 '-네요'를 썼는데요.

그 자리에 '네요'를 쓰지 않고 '싶습니다'를 쓰니 좀 어색하네요.

바로 앞에서도 썼고... 그래서 그냥 '네요'를 썼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877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4478
2516 [2014/11/25] 우리말) 성대모사/성대묘사/목소리 흉내 머니북 2014-11-25 2625
2515 [2009/03/24] 우리말) 나라비 id: moneyplan 2009-03-24 2627
2514 [2016/03/11] 우리말) '화두'와 '촌스럽다' 머니북 2016-03-14 2627
2513 [2015/06/22] 우리말) 유월 머니북 2015-06-22 2630
2512 [2016/04/18] 우리말) 쓰임새 많은 바둑 용어 머니북 2016-04-19 2630
2511 [2009/08/19] 우리말) 마음눈과 마음자리 id: moneyplan 2009-08-19 2631
2510 [2015/07/15] 우리말) 온종일 머니북 2015-07-15 2631
2509 [2015/09/23] 우리말) '구경하다'와 '좋은 구경 하다' 머니북 2015-09-23 2631
2508 [2015/12/27] 우리말) 차지다/찰지다 머니북 2015-12-28 2631
2507 [2014/04/11] 우리말) 멋쟁이를 만드는 멋장이 머니북 2014-04-11 2632
2506 [2014/12/30] 우리말) 소나기술과 벼락술 머니북 2014-12-30 2632
2505 [2009/09/29] 우리말) 햇감자와 해땅콩 id: moneyplan 2009-09-29 2633
2504 [2015/01/13] 우리말) 에라, 잘코사니라 머니북 2015-01-13 2633
2503 [2015/08/11] 우리말) 입때껏 머니북 2015-08-11 2633
2502 [2016/01/18] 우리말) 안틀다 머니북 2016-01-19 2633
2501 [2014/12/31] 우리말) 요즘 쓸 말 머니북 2014-12-31 2634
2500 [2009/01/30] 우리말) 예탐과 여탐 id: moneyplan 2009-01-30 2635
2499 [2014/09/03] 우리말) 과자 봉지에 우리글보다 외국어를 더 크게 쓴다고? 머니북 2014-09-03 2635
2498 [2015/05/06] 우리말) 이팝나무 머니북 2015-05-06 2635
2497 [2014/12/01] 우리말) 도 긴 개 긴 머니북 2014-12-01 2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