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방송 및 각종 언론에 나타나는 실생활에 밀접한 경제뉴스를 간단한 멘트와 함께 클리핑 해드립니다.

부자되는 가계부 머니북(MoneyBook)

www.moneybook.co.kr      070 - 4122 - 2637

2013. 05. 09 (木)      |      vol. 692

 

■ 상가 투자수익률 학원>PC방>병원>편의점

어떤 업종이 입주하느냐에 따라 상가 투자 수익률이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에 따라 많게는 30% 가까이 수익률 차이가 벌어졌다. 상가정보업체인 에프알인베스트먼트가 최근 서울?수도권 주요 상권(33곳)의 3000여 개 점포를 21개 업종으로 분류해 연간 투자수익률을 조사한 결과다. (영업기간 길수록 수익률 높아) (치킨?피자, 폐업 잦아 수익률도 뚝) (평균 임대료는 은행이 가장 높아) (“첫 임차인 업종 잘 따져 선택해야”) [최현주 기자]

[중앙일보] 기사 더 보기

 

■ 전세가율 77%… “집값 싸도 살 생각은 없어요”

매매가 대비 전셋값 비중이 일부 지역에서 80%를 넘어서는 등 주택시장은 예전과 크게 달라진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서울 곳곳에서 전세가율 80%에 육박하는 아파트를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다. 해당 아파트 중개업소들을 찾아보니 매수하려는 심리는 도통 살아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높은 전셋값을 주고 살면서도 매수하려 하지 않는 원인은 내집으로 전환한 이후 얻을 차익을 기대하기 힘들다는 이유가 작용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안소형 닥터아파트 부동산거래팀장은 "관악구는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해 실수요자들이 위주의 매매가 이뤄지는 지역"이라며 "개발호재가 있어야 매매가 늘어나는데 이 지역은 개발호재나 개발 추진 중인 것이 눈에 띄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한진주 기자]

[아시아경제] 기사 더 보기

 

■ 나홀로 맥 못 추는 코스피… 구조적 한계?

각국 경기부양책 힘입어 다우?닛케이 등 연일 최고 국내 증시만 디커플링 여전 / 전문가들 "일시적 현상" 불구 "제조업 의존도 지나치게 높아 소프트 산업 육성해야" 지적 / 유가증권(코스피) 시장이 부진의 늪에서 좀처럼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다. 새 정부 출범과 경기부양, 해외증시 강세 등 호재가 잇따르지만 코스피 지수는 1,900선에 머물러 있는 상황이다. "저평가된 측면이 커 상승할 것"이라는 낙관론도 여전하지만 대규모 설비가 필요한 제조업 종목의 의존도가 높다는 구조적 한계 때문에 반등이 어렵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박관규 기자]

[한국일보] 기사 더 보기

 

■ 여보, 승진했어요? 수당이 왜 이렇게 늘었지

"정기상여금도 통상임금에 포함" 대법원 판결後 소송 쓰나미 / 통상임금, 야간?휴일수당 기준… 퇴직금까지 자동으로 늘어나 야근 많은 車?造船업계 비상 / 고용부는 상여금 포함 안시켜… 근로기준법 명확한 기준 없어 / 시간 외 근무 수당 등 법정 수당의 산정 근거가 되는 통상임금에 상여금을 포함하는 문제를 놓고 재계와 노동계가 시끄럽다. 작년 3월 대법원이 정부 방침과 달리 상여금을 통상임금으로 인정하는 판결을 내린 이후 각 기업 노조들이 수당 인상분을 돌려달라는 소송을 잇따라 내고 있다. 소송을 당한 한 기업은 근로기준법의 관련 조항에 문제가 있다며 위헌법률심판제청 신청까지 냈다. ◇통상임금 왜 논란이 됐나 ◇자동차?조선업계 직격탄 ◇노동전문가들도 헷갈려 [신은진 기자]

[조선비즈] 기사 더 보기

 

■ 행복기금 신청자 대부분이 채무 2천만원 이하

국민행복기금 신청자 채무가 대부분 2천만원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40대 수도권 거주 남성으로 연소득 2천만원 이하가 주로 신청해 행복기금을 둘러싼 도덕적 해이 우려를 상당 부분 불식시킬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원회 등에 따르면 국민행복기금이 지난달 22~30일에 가접수한 채무 조정 신청 9만4천36건을 분석해보니 총채무액이 500만원 미만이 전체의 27.4%였고 1천만~2천만원이 25%, 500만~1천만원 미만이 21.4%였다. [심재훈, 고유선 기자]

[연합뉴스] 기사 더 보기

 

■ 홍보하거나 외면하거나 금리인하 요구권 은행들 ‘입맛대로’

지난해 본격화한 ‘금리인하 요구권’이 현장에서 제대로 활용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금리인하요구권이 적용된 대출액이 은행별로 최대 60배에 이를 정도로 차이가 컸다. 금리인하요구권은 취업?승진?소득상승 등 채무자의 신용도가 개선될 경우, 이를 은행에 알려 대출금리 인하를 요구하는 제도다. 2002년 도입됐지만 서류 속에 잠자고 있다가 지난해 하반기 금융소비자 보호 흐름을 타고 본격화됐다. [최현준 기자]

[한겨레] 기사 더 보기

 

■ "행복은 소득에 비례…韓 소득 대비 행복도 낮아"

소득이 많을수록 행복이 커지며 충분한 소득은 존재할 수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전미경제조사국(NBER)은 최근 발표한 '행복과 소득, 둘 간의 포화점은 있는가?'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소득이 특정 수준을 넘어서면 행복과 소득이 비례하지 않게 된다는 기존 관념을 뒤집었다. 인간의 행복은 소득과 정비례한다는 것이다. 인구 기준 세계 상위 25개국 국민의 소득별 행복도를 분석한 결과 가구 소득과 행복은 정비례했다. 소득 증가에 따라 행복도가 커진다는 점은 모든 국가에서 일치했다. 다만 같은 소득이라도 국가별로 느끼는 행복도는 다르게 나타났는데 한국은 다른 분석 대상 국가에 비해 동일한 소득에서 상대적으로 행복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종훈 기자]

[연합뉴스] 기사 더 보기

 

■ 세븐일레븐 이어 CU·GS25까지 남양유업 불매운동 확산

우리나라 3대 편의점인 씨유(CU), 세븐일레븐, 지에스(GS)25의 가맹점주들이 8일 ‘욕설영업’ 파문을 일으킨 남양유업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에 나섰다. 전날 세븐일레븐?바이더웨이 가맹점주들이 불매운동을 시작한 것에 이어 불매운동이 갈수록 확산되는 모양새다. [유신재 기자]

[한겨레] 기사 더 보기

 

계좌통합 기능으로 가계부를 대신 써 주는 머니북(MoneyBook)      www.moneybook.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078 [11/01] 가정경제뉴스 - 일본서 마트에 밀린 골목 상점들이 문 닫으며 생긴 치명적인 부작용 머니북 2010-11-01 4111
1077 [11/12] 가정경제뉴스 - 자동차 충동구매 부르는 ‘독한’ 마케팅 moneybook 2010-11-12 4111
1076 [02/01(水)] 가정경제뉴스 - 카드시장에 다시 빨간불…카드론은 `시한폭탄' 머니북 2012-02-01 4112
1075 [11/08] 가정경제뉴스 - 몇 천원 밀린 통신요금이 신용등급 떨어뜨려 moneybook 2010-11-08 4113
1074 [11/26] 가정경제뉴스 - "강남도 별 수 없다" 파격 미분양 마케팅 moneybook 2010-11-26 4113
1073 [01/14(月)] 가정경제뉴스 - 내 월급, 어디에 맡겨야 이자 많이 주나? 머니북 2013-01-14 4113
1072 [12/20] 가정경제뉴스 - ’덤 증정’ 왜 안하나 했더니…우유업체 담합 적발 moneybook 2010-12-20 4114
1071 [9/28] 가정경제뉴스 - 52개 생필품 조사해봤더니 33개 품목이 가격 상승 머니북 2010-09-28 4115
1070 [10/13] 가정경제뉴스 - 1년새 이직한 `철새`보험설계사 1만6000명 머니북 2010-10-13 4115
1069 [01/20(목)] 가정경제뉴스 - 공짜 다운로드 이용권에 컴퓨터 골병 든다 머니북 2011-01-20 4115
1068 [02/24(목)] 가정경제뉴스 - 자동차 보험료 아끼는 7가지 방법은? 머니북 2011-02-24 4115
1067 [10/27] 가정경제뉴스 - 신용불량 위험 높은 여성들, 꼭 지켜야 할 3가지 신용관리법 moneybook 2010-10-27 4115
1066 [12/03] 가정경제뉴스 - 치솟는 전셋값.. 전세가율 4년6개월만에 최고 moneybook 2010-12-03 4115
1065 [01/27(목)] 가정경제뉴스 - 신용카드 인터넷카페서 신청 마세요 머니북 2011-01-27 4116
1064 [10/14] 가정경제뉴스 - 올해 6조4천억 쏟아붓는 4대강, 새 일자리 1222개 moneybook 2010-10-14 4116
1063 [04/06(水)] 가정경제뉴스 - 밀가루?설탕 가격 오르자..가공 식품도 인상 도미노 moneybook 2011-04-06 4116
1062 [01/17(火)] 가정경제뉴스 - 카드사, 카드론 거절신청 접수 개시 머니북 2012-01-17 4116
1061 [10/08] 가정경제뉴스 - 강남부자 위한 감세 현실로…종부세 확 줄어 머니북 2010-10-08 4117
1060 [04/13(水)] 가정경제뉴스 - 식품 '업그레이드' 통한 가격인상 잇따라 moneybook 2011-04-13 4117
1059 [03/29(木)] 가정경제뉴스 - "보험금 돌려드려요"... 유혹에 속지 말자 머니북 2012-03-29 4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