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새로운 한 주가 시작되었습니다.
이번 주도 행복하게 보내시길 빕니다.

다음 달에 저희 일터에서 사람을 한 명 뽑는데요.
주위 분들이 한결같이 하시는 말씀이,
"사람은 실력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중요한 게 싸가지다."라는 말씀이었습니다.
요즘 직장에서는 개인의 실력보다 조화를 더 먼저 보죠.

싸가지...
'싸가지'는 '싹수'의 사투리입니다.
'싹수'는
"어떤 일이나 사람이 앞으로 잘될 것 같은 낌새나 징조"를 말하죠.

그래서 싸가지 없다고 하면,
앞으로 잘될 것 같은 낌새가 없는, 곧 별볼일 없는 사람을 말하고,
싹수가 노랗다고 하면,
잘될 가능성이나 희망이 애초부터 보이지 아니한 사람을 말합니다.
요즘은 버릇없는 사람을 말하기도 하는데 그 뜻은 아직 사전에 오르지는 못했습니다.

싸가지와 비슷한 말이 '소갈머리'입니다.
"마음이나 속생각을 낮잡아 이르는 말."이죠.

아침부터 욕 이야기를 하려니 조금 거시기 하네요.
앞에서 보기를 든 싸가지에 견줄 우리말이 '늘품'입니다.

늘품은
"앞으로 좋게 발전할 품질이나 품성"으로
늘품이 있어 보인다처럼 씁니다.

또 '늧'이라는 낱말도 있습니다.
"앞으로 어떻게 될 것 같은 일의 근원" 또는 "먼저 보이는 빌미"라는 뜻으로,
늧이 사납다, 그 녀석은 늧이 글렀다처럼 씁니다.

이번에 새로 들어오시는 분이,
늘품이 있고 늧이 좋기를 빕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으시대다 >> 으스대다]

어제는 비가 왔는데, 지금은 참 맑은 날씨네요.
맑고 깨끗한 날씨만큼 기분도 좋은 하루가 펼쳐질 것 같습니다.

곧 고향에 간다고 생각하니
지금 떨어져 살고 있는 딸내미 생각이 부쩍 더 나네요.
지난 주말에 딸을 만났는데,
이제 말을 좀 할 줄 안다고,
아빠인 저에게 어깨를 으쓱 추어올리며,
이것저것 자랑하고 어찌나 까불고 뽐을 내던지...
그 모습이 눈에 선합니다.
그 작은 엉덩이를 깝죽거리며 신나게 춤도 추고...
그 녀석 기분 맞춰주려고 제가 뭘 모른다고 하면,
그것도 모르느냐고 핀잔을 주면서 얼마나 으스대던지...
하루빨리 달려가서 보고 싶네요.

오늘은,
‘으스대다’에 대해서 말씀드릴게요.
“잘난 것도 없으면서 돈 좀 있다고 으시대고 다니다간 망신당한다”라는 말을 가끔 쓰죠.
“어울리지 않게 우쭐거리며 뽐내다”는 뜻으로 ‘으시대다’는 낱말을 쓰는데요.
이는 ‘으스대다’가 맞습니다.

얼마 전에 말씀드린,
잠자리에서 막 일어났을 때의 머리도,
‘부시시’한 게 아니라 ‘부스스’한거고,
차거나 싫은 것이 몸에 닿았을 때 크게 소름이 돋는 모양도,
‘으시시’한 게 아니라 ‘으스스’ 한 겁니다.

이처럼 흔히 ‘스’를 ‘시’로 잘못 발음하는 까닭은
‘ㅅ, ㅈ, ㅊ’처럼 혀의 앞쪽에서 발음되는 자음(전설자음)에는,
혀의 앞쪽에서 발음되는 모음(전설모음)
‘ㅣ’가 오는 게 발음하기 편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국어학자들은 전설모음화 현상이라고 하더군요.

전설모음화 현상이 굳어져 어엿한 표준어가 된 것도 있습니다.
‘넌지시, 나직하다, 나지막하다’가 바로 그런 녀석들인데요.
본래는 ‘넌즈시, 나즉하다, 나즈막하다’가 맞았는데,
지금은 그것들을 물리치고
‘넌지시, 나직하다, 나지막하다’가 표준어입니다.

저야 가진 게 없으니, 으스댈 것도 없지만,
뭔가를 가진 사람도 남들 속 긁어놓으려고 일부러 으스대면서 살 필요는 없는 것 같습니다.
그렇지 않나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830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3992
76 [2015/10/01] 우리말) 풋머리 머니북 2015-10-01 2533
75 [2015/10/28] 우리말) 푸른/푸르른 머니북 2015-10-29 2532
74 [2014/07/09] 우리말) 새집 머니북 2014-07-09 2532
73 [2015/03/20] 우리말) 이상한 병 머니북 2015-03-20 2531
72 [2016/05/18] 우리말) 알맹이와 알갱이 openmind 2016-05-18 2529
71 [2014/07/15] 우리말) 강담/죽담 머니북 2014-07-15 2527
70 [2015/12/14] 우리말) 사랑을 쓸려거든 머니북 2015-12-15 2526
69 [2015/05/12] 우리말) 채찍비 머니북 2015-05-12 2526
68 [2015/04/27] 우리말) 춘향과 춘양 머니북 2015-04-27 2526
67 [2013/06/20] 우리말) 99일 뒤... 머니북 2013-06-20 2526
66 [2016/10/04] 우리말) 부합하다 머니북 2016-11-01 2525
65 [2016/08/05] 우리말) 드디어 헤어졌나? 끝내 헤어졌나? 머니북 2016-08-10 2525
64 [2015/08/26] 우리말) 붓다(2) 머니북 2015-08-26 2525
63 [2014/04/21] 우리말) 참으로 가슴이 아픕니다 머니북 2014-04-21 2525
62 [2012/03/05] 우리말) 돌잔치 머니북 2012-03-05 2525
61 [2014/12/12] 우리말) 놈팽이와 놈팡이 머니북 2014-12-12 2524
60 [2015/04/17] 우리말) 피로연 머니북 2015-04-17 2523
59 [2014/06/02] 우리말) 들차다 머니북 2014-06-02 2521
58 [2010/06/21] 우리말) 물은 셀프 moneybook 2010-06-21 2521
57 [2009/09/03] 우리말) 징크스 id: moneyplan 2009-09-03 2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