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흔히,
애들은 네 살까지 평생 부모에게 할 효도를 다 한다고 하죠?
그 말이 맞지 않기를 빕니다.
왜냐하면,
제가 요즘 그 행복의 한가운데 있거든요.
35개월 된 네 살배기 딸과,
15개월 된 두 살배기 아들의 재롱을 보고 있으면 시간가는 줄 모릅니다.

집에서 애들 노는 꼴을 좀 보면,
밥을 먹다가 딸내미가 한 숟가락 떠먹고 그 숟가락을 바닥에 떨어뜨립니다.
그러면 아들은 그걸 주워서 그 숟가락에 붙은 밥알 한두 개 떼어먹고 숟가락은 누나에게 줍니다.
그걸 받아든 누나와 동생이 서로 마주보고 깔깔대며 웃습니다.
딸내미가 또 한 숟갈 떠서 먹고, 그 숟가락을 바닥에 떨어트립니다.
그러면 아들은 또 그걸 주워서 밥알 몇 개 떼어먹고 숟가락은 누나에게 줍니다.
그걸 들고 둘이 마주보고 깔깔대며 웃고......
제가 보기에는 하나도 재미 없을 것 같은데
애들은 그게 그리도 재밌나 봅니다.

숟가락이 바닥에 떨어지면,
방바닥에 있는 먼지도 묻어 위생상 별로 좋지 않을 것인데 그걸 그리 재밌게 즐기고 노네요.
그렇게 노는 걸 넋 놓고 보는 저는 참 행복합니다.
애들이 조금만 커도 그렇게 놀지 않겠죠?

애들이 네 살까지 평생 부모에게 할 효도를 다 해버리면,
저는 그 효도가 거의 끝나가잖아요.
그래서 그 말이 틀리길 빈 겁니다. ^^*

오늘은 애들 노는 것을 생각하면서,
숟가락을 '떨어뜨리다'와 '떨어트리다'를 알아볼게요.
"위에 있던 것을 아래로 내려가게 하다."는 뜻의 단어는
'떨어뜨리다'가 맞을까요 '떨어트리다'가 맞을까요?

답은 둘 다 맞다입니다.
'무너뜨리다'와 '무너트리다',
'깨뜨리다'와 '깨트리다'도 모두 복수 표준어로 둘 다 맞습니다.

빠뜨리다, 빠트리다.................

제 딸이 숟가락을 떨어뜨리는 것도 맞고 떨어트리는 것도 맞습니다. ^^*

우리말123


보태기)
흔히,
'말없이 고개를 떨구고 있다.'처럼 '떨구다'는 표현을 쓰는데요.
'떨구다'는 '떨어뜨리다'나 '떨어트리다'의 사투리입니다.
많이 쓰는 단어이긴 하지만 아직 표준어는 아닙니다.

따라서,
'낯선 바람은 꽃잎 떨구고 눈물이 되어 고여라'라는 노랫말도 틀린 겁니다.
이런 것을 다 생각하면 노래 못하는데......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자문을 구하다]

저는 언어생활은 습관이라는 생각을 참 많이 합니다.
말을 할 때,
말을 하고 나면 곧바로 잘못된 것인 줄 아는데,
그게 습관적으로 입에서 튀어나오거든요.
틀린 말을 걸러주는 거름망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나 봅니다.

어제도 누군가와 이야기하다가,
“그래, 그러면 그 문제는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해보자”라고 이야기 했습니다.

자문(諮問)은
어떤 일을 좀 더 효율적이고 바르게 처리하려고 그 방면의 전문가나
전문가들로 이루어진 기구에 의견을 묻는 것을 말합니다.
자문 위원/자문에 응하다/정부는 학계의 자문을 통해 환경 보호 구역을 정하였다.
처럼 씁니다.

따라서,
‘자문하다’고 하면 되지,
‘자문을 구하다’고 하면 안 됩니다.

자문은 말 그대로 묻는 일이므로
답을 받거나 구할 수는 있지만
묻는 일 자체를 구할 수는 없잖아요.

굳이 ‘구하다’를 쓰고 싶으면,
‘조언(助言)을 구하다’라고 쓰시면 됩니다.

항상 건강조심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828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3963
36 [2009/05/25] 우리말) 조문과 추모 id: moneyplan 2009-05-25 2490
35 [2014/09/24] 우리말) 산득 머니북 2014-09-24 2489
34 [2016/04/25] 우리말) 선물과 물선 머니북 2016-04-26 2488
33 [2016/06/27] 우리말) 백상어의 공포 머니북 2016-06-29 2487
32 [2015/01/06] 우리말) 개개다와 개기다 머니북 2015-01-06 2487
31 [2016/01/29] 우리말) 난장판의 아수라 머니북 2016-02-01 2486
30 [2015/01/12] 우리말) 우리는 한국인인가?(박남 님 편지) 머니북 2015-01-12 2485
29 [2016/02/19] 우리말) 철 머니북 2016-02-25 2484
28 [2013/12/02] 우리말) 녘 머니북 2013-12-02 2484
27 [2015/02/10] 우리말) 메밀꽃 머니북 2015-02-10 2483
26 [2009/06/01] 우리말) 안녕과 앞날 id: moneyplan 2009-06-01 2483
25 [2016/07/08] 우리말) 깝살리다 머니북 2016-07-11 2481
24 [2015/10/13] 우리말) 찌푸리다 머니북 2015-10-15 2480
23 [2010/02/16] 우리말) 절 하는 방법에 대한 댓글 id: moneyplan 2010-02-16 2479
22 [2009/01/09]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1-09 2479
21 [2016/03/29] 우리말) 바람만바람만 머니북 2016-03-30 2478
20 [2009/07/08]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7-09 2478
19 [2014/12/02] 우리말) 추켜세우다/치켜세우다 머니북 2014-12-02 2477
18 [2015/03/11] 우리말) 무수다 머니북 2015-03-11 2476
17 [2010/03/11] 우리말) 숨탄것 id: moneyplan 2010-03-11 24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