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매지다'의 경우 '까'의 'ㅏ'를 뒤의 '매(ㅁ+ㅏ+ㅣ)'가 따라가 'ㅐ'가 되고, '꺼메지다'는 '꺼'의 'ㅓ'를 따라 'ㅔ'가 됩니다.

안녕하세요.

날씨가 참 좋죠?

저는 지난 주말에 고향에 가서 벌초를 했습니다.
어차피 혼자서 하는 일이라 제가 시간 내서 틈틈이 하는 것이지만,
나이가 들수록 벌초하는 게 버겁습니다.
같이 벌초할 아들을 더 만들든지, 봉안당을 만들든지 해야 할 것 같습니다. ^^*

오랜만에 밖에 나가서 일을 하다 보니 얼굴이 벌겋게 탔습니다.
아침에 일어나니 어제는 벌겋던 얼굴이 이제는 꺼매졌네요. ^^*

가맣다(밝고 엷게 검다), 거멓다(어둡고 엶게 검다), 까맣다(가맣다보다 센 느낌), 꺼멓다(거멓다보다 센 느낌) 모두 비슷한 뜻입니다.
문제는 이를 활용할 때
가매지다/가메지다, 거매지다/거메지다, 까매지다/까메지다, 꺼매지다/꺼메지다가 서로 헷갈린다는 겁니다. 어떤 게 바른지...

바른 표기는 모음조화 원칙에 따라 가매지다, 거메지다, 까매지다, 꺼메지다입니다.
모음조화는 두 음절 이상의 단어에서 뒤의 모음이 앞 모음의 영향으로 그와 가깝거나 같은 소리로 되는 언어 현상입니다.
곧, ㅏ, ㅗ같은 양성모음은 양성모음끼리, ㅓ, ㅜ와 같은 음성모음은 음성모음끼리 어울리는 현상을 일컫죠.

'까매지다'의 경우 '까'의 'ㅏ'를 뒤의 '매(ㅁ+ㅏ+ㅣ)'가 따라가 'ㅐ'가 되고, '꺼메지다'는 '꺼'의 'ㅓ'를 따라 'ㅔ'가 됩니다.

어제 벌초하면서 얼굴이 꺼메졌습니다
옆에 있는 동료도 얼굴이 까매진걸 보니, 그 친구도 지난 주말에 벌초하고 왔나 봅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지난 2009년에 보냈던 편지입니다.

 

[웨하스와 웨이퍼]

안녕하세요.

어제저녁에 집에서 저녁을 들면서 텔레비전을 봤는데, 여전히 제 눈을 피곤하게 만드네요.
6:56, KBS1, '우리 사는 세상'이라는 방송이었는데, 
출연자는 포크레인이라고 했는데, 자막은 굴삭기라고 나왔습니다.
국립국어원에서 굴삭기를 굴착기로 다듬었습니다.
포클레인은 회사의 상표 이름에서 왔지만 지금은 이름씨로 쓰이고 있습니다. 국어사전에도 올라 있습니다.
곧이어 6:59, 같은 방송에서 '외가집'이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어머니의 친정은 '외갓집'이라 쓰고 [외:가찝]이나 [웨:갇찝]으로 읽습니다.

어제는 오후에 주전부리를 좀 했습니다.
같이 일하는 주향 씨가 과자를 사 와서 같이 나눠 먹었습니다.
오늘은 과자 이야기나 해 볼게요.

먼저 영어 낱말 하나 보죠.
wafers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뉴스에서 보면 가끔 전자회사 사람들이 하얀 옷을 입고 마스크 쓰고 금색의 둥그런 원판을 만지는 것을 보셨을 겁니다.
그게 바로 웨이퍼입니다. 
제가 알기에는 그 원판에 반도체 회로를 올리고 그걸 아주 잘게 잘라서 반도체를 만드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웨이퍼에는 "살짝 구운 얇은 과자"라는 뜻도 있습니다.
전자산업에서 반도체를 만들 때
마치 한 덩어리의 빵을 얇게 써는 것과 비슷해서 실리콘 원판을 그렇게 불렀는지도 모릅니다.

문제는 이 웨이퍼가 왜 웨하스가 되었냐는 겁니다.
이는 일본에서 wafers 를 ウェハ-ス[웨하즈]라 쓰기 때문입니다.
wafers를 일본에서 웨하즈라 쓴 것을 우리는 웨하스로 받아서 쓰는 겁니다.

'산도'라는 과자도 이런 경우입니다.
'sandwich'에서 앞부분인 'sand'만을 잘라 내 サンド라 쓰고 '산도'라 읽은 데서 온 겁니다.

누군가 그러더군요.
산도를 만드는 회사에서 과자 이름을 샌드로 바꾸려고 했으나
이름을 바꾸자마자 매출이 뚝 떨어져서 다시 산도로 쓴다고... 

우리가 흔히 먹는 과자에도 이런 가슴 아픈 과거가 있답니다. 

주향 씨!
어제 과자 잘 먹었습니다.
오늘도 기대해도 되나요?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보태기)
어머니 '친정'은 '외가'가 맞지만
'외갓집'도 표준어로 인정하여 사전에 올라 있습니다.

'처가'도 마찬가지입니다.
'처가집'이 아니라 '처갓집'으로 '처가'와 함께 사전에 올라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820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3891
2216 [2015/09/22] 우리말) 한가위 뫼돌보기 머니북 2015-09-23 3189
2215 [2015/09/21] 우리말) 물나팔과 물방귀 머니북 2015-09-21 2787
2214 [2015/09/18] 우리말) 물속에서 숨을 내쉬어 꾸르륵 소리 내는 것 머니북 2015-09-18 2823
2213 [2015/09/17] 우리말) 수치레 머니북 2015-09-17 2570
2212 [2015/09/16] 우리말) 정의 -> 뜻매김 머니북 2015-09-16 3091
2211 [2015/09/15] 우리말) 덕분/때문, 누출/배출 머니북 2015-09-15 2799
» [2015/09/14] 우리말) 꺼메지다와 까매지다 머니북 2015-09-14 3057
2209 [2015/09/11] 우리말) 빌다와 빌리다 머니북 2015-09-11 2754
2208 [2015/09/10] 우리말) 거덜나다 머니북 2015-09-11 3210
2207 [2015/09/09] 우리말) 여탐과 예탐 머니북 2015-09-11 2746
2206 [2015/09/08] 우리말) 리터 단위 머니북 2015-09-08 2949
2205 [2015/09/01] 우리말) 어영부영 머니북 2015-09-02 2575
2204 [2015/08/31] 우리말) 아들이삭 머니북 2015-08-31 3146
2203 [2015/08/28] 우리말) 백중 머니북 2015-08-31 2992
2202 [2015/08/27] 우리말) 쾨쾨하다와 쾌쾌하다 머니북 2015-08-31 2832
2201 [2015/08/26] 우리말) 붓다(2) 머니북 2015-08-26 2524
2200 [2015/08/25] 우리말) 간이 크다와 붓다 머니북 2015-08-25 3185
2199 [2015/08/24] 우리말) 풋낯과 풋인사 머니북 2015-08-25 2505
2198 [2015/08/21] 우리말) 쫀쫀한 사람이 필요해! 머니북 2015-08-24 2563
2197 [2015/08/20] 우리말) 배지 머니북 2015-08-20 2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