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8/18] 우리말) 쓰면 안 될 일본말

조회 수 2731 추천 수 0 2015.08.19 13:05:15

.

안녕하세요.

오늘은 경향신문에 난 기사 하나를 함께 보겠습니다.
'광복 70주년, 절대 써서는 안 될 일본말 찌꺼기'라는 제목입니다.

http://sports.khan.co.kr/news/sk_index.html?cat=view&art_id=201508170800003&sec_id=560101


우리말의 7할이 한자말입니다. 따라서 한자말을 쓰지 않고서는 국어생활을 하기가 힘듭니다. 그러다 보니 일본에서 만들어진 한자말이 우리말 속에 쉽게 녹아들기도 했습니다. 이는 일본이 우리보다 선진 문물을 먼저 받아들이면서 그에 합당한 말을 먼저 만들어 쓴 때문이기도 합니다.

이 때문에 국립국어원도 흔히 일본식 한자말로 불리는 말 상당수를 국어의 틀 안으로 들여 놓았습니다. 그러지 않으면 국민들이 언어생활을 하는 데 큰 혼란을 겪을 우려가 큰 때문이지요.

실제로 국민들은 너나없이 쓰는데, 국어학자나 우리말 지킴이들이 ‘그런 말을 써서는 안 된다’고 주장해 많은 사람들이 혼란스러워한 낱말도 적지 않습니다. 그래서 국립국어원은 지난 1995년 <일본어투 생활용어 순화집>을 펴내면서 꽤 많은 일본식 한자말을 순화 대상에서 제외했습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이 우리 국어의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듯이 그들 말도 이제 국어가 됐다고 본 것이죠.

그러나 아직도 꽤 많은 일본식 한자말이 순화 대상에 올라 있습니다. 이들 말 중에는 우리와 상관 없이 오직 일본의 생활환경을 뿌리로 하는 것도 있고, 우리식 한자말이 있는데 이를 외면하고 별 생각 없이 일본식을 자주 쓰는 것도 있습니다.

이런 말들이 문제입니다. 우리말로 대체할 수 없다면 모를까, 멀쩡한 우리말을 놓아 두고 굳이 일본식 한자말을 쓸 까닭이 없습니다. 게다가 일본의 정신이 깃든 낱말을 아무 생각 없이 쓰는 것은 부끄러운 일입니다.

■18번

초등학생 때 일인데요. 선생님께서는 출석을 부를 때 ‘18번’에 이르면 ‘열여덟 번’이라고 했고, 그러면 우리는 킥킥거리며 웃었습니다. ‘18번’ 아이는 얼굴이 벌게져서는 금방이라도 눈물을 터트릴 듯 울먹이기도 했지요. 그렇게 우리는 ‘18’이라는 숫자를 별로 좋아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노래를 부르거나 장기자랑을 할 때면 ‘너는 18번이 뭐니’라거나 ‘내 18번 곡은 ○○야’ 등으로 말합니다. 참 묘하지요.

결론부터 말하면 ‘18번’은 순전히 일본의 문화입니다. 이 말은 일본의 대중 연극인 가부키에서 유래했습니다. 장(場)이 여럿으로 나뉘는 가부키는 장(場)이 바뀔 때마다 작은 공연을 합니다. 그 단막극 중에서 크게 성공한 18가지 기예(技藝)를 이치가와 단주로라는 가부키 배우가 정리했는데, 사람들이 이를 가리켜 ‘가부키 광언(狂言:재미있는 말) 십팔번’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또 18가지 기예 중 18번째 기예가 가장 재미있었다고 해서 ‘십팔번’이라는 말이 생겨났다고도 합니다.

아무튼 그런 ‘18번’을 우리가 쓸 이유는 없습니다. 그런데요. 국립국어원은 이 ‘18번’을 ‘단골 노래’ 또는 ‘단골 장기’로 순화해 쓰도록 권하고 있습니다. 이 대목에서 ‘헐~’ 하고 숨이 막힙니다. ‘단골 노래’라…. 이 말을 쓸 사람이 있을까요? 없다고 봅니다. 그래서 제 생각에 ‘18번 곡’은 ‘애창곡’으로 쓰는 게 좋을 듯합니다. 그리고 ‘저의 18번은 춤입니다’ 따위에서의 ‘18’번은 ‘장기’로 고쳐 쓰면 충분하고요. 


■기라성

일본 사람들은 우리말의 ‘반짝반짝’을 ‘기라기라(ぎらぎら)’라 하고, 이를 적을 때는 한자에서 ‘기라(綺羅)’를 빌려다 씁니다. 여기에 ‘보시(ぼし)’로 읽히는 한자말 ‘성(星)’을 갖다 붙여 ‘기라보시(ぎらぼし)’라 읽고 ‘기라성(綺羅星)’이라 적는 말을 만들었습니다. 중국에서 코카콜라를 [커커우커러]로 소리 내면서 ‘可口可樂(가구가락)’으로 적는 것과 같은 표기입니다.

이처럼 제 나라 말로 제 생각을 다 펼칠 수 없는 일본말의 한계 속에서 불구적으로 태어난 것이 ‘기라성’인데,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언어로 말하고 적는 우리가 그 불구의 말을 그대로 좇아 쓴다는 것은 정말 부끄러운 일입니다.

그런데요. 이 말 역시 <표준국어대사전>은 ‘빛난별’을 순화어로 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빛난별 같은 선배들이 다 모였다’처럼 쓸 사람은 없을 듯합니다. 그보다는 동사 ‘내로라하다’를 활용해 쓰는 게 훨씬 낫습니다. ‘내로라하는 선배들이 다 모였다’처럼요.

■고수부지

우리나라의 젖줄인 ‘한강’ 하면 ‘고수부지’가 먼저 떠오를 정도로 ‘고수부지’는 아주 익숙한 말입니다.

그런데요. ‘고수부지(高水敷地)’는 한자 그대로 보면 “높은 물”을 뜻하는 ‘고수’와 “비어 있는 곳”을 의미하는 ‘부지’의 합성어입니다. 즉 큰물이 날 때면 물에 잠기는 하천 언저리의 터를 말하는 거지요.

이 말은 1980년대 한강 주변을 정리하고 시민공원 등을 조성할 때 우리말을 잘 모르는 공무원들이 무심코 가져다 붙인 것인데요. 그 뿌리는 순전히 일본말입니다. ‘고수’는 일본어 ‘고스이코지[高水工事:こうすいこうじ]’의 줄임말이고, ‘부지’는 빈 터를 뜻하는 일본어 ‘시키지(しきち)’에서 온 말이거든요.

그래서 1986년 ‘한국땅이름학회’가 서울시에 시정을 건의해 현재 ‘한강 고수부지’는 ‘한강시민공원’으로 개정됐습니다. 아울러 국립국어원은 ‘고수부지’를 ‘둔치’로 순화해 쓰도록 권하고 있답니다.


■현해탄

현해탄(玄海灘)은 대한해협 남쪽, 일본 후쿠오카 현 서북쪽에 있는 바다입니다. 우리나라와 규슈를 잇는 통로로, 수심이 얕고 풍파가 심합니다. 이곳은 의심의 여지 없이 일본 해역입니다. 일본 발음으로는 [겐카이나다]라고 하지요. 따라서 현해탄을 쓰는 것은 별 문제가 없다고 말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일본의 도쿄(東京)를 한자음 ‘동경’으로 쓰는 게 무슨 잘못이냐는 얘기죠.

그러나 그런 주장은 하나는 알고 둘은 모르는 소리입니다. 왜냐하면 일본이 우리의 대한해협을 ‘조선해협’이나 ‘대마(쓰시마)해협’ ‘현해탄’ 등으로 다양하게 쓰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독도를 ‘죽도(竹島)로 적고 [다케시마]로 부르는 것처럼요.

우리의 시각 혹은 관점에서 얘기를 하면서 현해탄을 쓰지 말아야 하는 사실은 간단한 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독도 저쪽이 일본해다’와 ‘죽도(다케시마) 저쪽이 일본해다’ 중 뭐를 써야 할까요?

지리학적으로 현해탄은 쓰시마해협에 속하고, 또 쓰시마해협은 대한해협에 속합니다. 따라서 대한해협 인근을 현해탄으로 쓸 까닭이 눈곱만큼도 없습니다.


■구좌와 잔고

은행에 돈을 맡기려면 통장부터 만들어야 합니다. 그러면 고유의 통장번호가 생깁니다. 흔히들 ‘구좌(口座)’라고 하는 것이지요. 그러나 ‘구좌’는 우리식 한자말이 아닙니다. 일본말 ‘こう-ざ[고우좌]’의 한자를 그대로 가져다 쓴 것입니다.

주변에서 보면 통장 번호를 얘기할 때 다들 ‘계좌번호’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상하게 ‘계좌번호’에서 ‘번호’를 뺀 표현이나, “시우리 주말농장 분양 1구좌 10만 원” “모금은 1구좌당 1만 원 이상의 구좌 후원이 가능하도록 했다” 등처럼 어떤 몫을 의미할 때는 ‘구좌’가 꽤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이래서는 안 됩니다. ‘철학’ ‘물리’ 따위처럼 우리말로 대처할 것이 없으면 그대로 써야 하겠지만, 우리말 ‘계좌’가 있는데도 ‘구좌를 쓰는 것은 부끄러운 일입니다.

통장 거래에서 많이 쓰는 ‘잔고(殘高)’도 마찬가지입니다. 이것 역시 일본식 한자말로, 우리말로는 ‘나머지’로 쓰면 충분합니다. 꼭 한자를 써야 한다면 ‘잔액(殘額)’으로 적으면 되고요.

이 밖에 ‘무주택 세대’ 따위로 많이 쓰이는 ‘세대(世帶)’도 순전히 일본식 한자말로, 우리말로는 ‘가구(家口)’라고 해야 합니다. ‘세대주’도 당연히 ‘가구주’로 써야 하지요. “이자나 세금 따위를 내는 시기나 기한”을 뜻하는 ‘납기(納期)’ 또한 ‘내는 날’과 ‘기한(期限)’으로 쓰는 것이 우리말을 아끼는 길입니다.

‘이서(裏書)’는 ‘배서(背書)’나 ‘뒷보증’, ‘고지(告知)’는 ‘알림’, ‘회람(回覽)’은 ‘돌려 보기’ ‘견습(見習)’은 ‘수습’, ‘고참(古參)’은 ‘선임(자)’이나 ‘선참(자)’, ‘기합(氣合)’은 ‘기 넣기’와 ‘얼차려’, ‘시말서(始末書)’는 ‘경위서’로 순화해 쓰도록 국립국어원이 권하고 있다는 것도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지난 2009년에 보냈던 편지입니다.

 

[어제 낸 문제 답은 워낭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낸 문제 답은 '워낭'입니다.
문제를 맞히신 분께 갈피표를 보내드리겠습니다.
실은 이번에 갈피표 천 개를 주문했는데 아직 받지 못했습니다. 다음 주 초에 갈피표가 오면 바로 보내드리겠습니다.
이번에 만든 것까지 갈피표를 모두 4천 개나 만들었습니다. 그런데도 아직 갈피표 구경 못하신 분이 계시죠?
되도록 자주 문제를 내서 선물을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제 주머니 사정이 허락하는 한... ^^*

오늘은 토요일입니다.
우리말 편지가 아닌 쓸데없는 이야기나 좀 할게요.

1. 갈피표를 제 돈으로 만드느냐고 물으시는 분이 많으십니다.
 예, 제 용돈으로 만듭니다. 어느 누구의 도움도 받지 않고 제 용돈 모아서 만듭니다.

2. 저는 오늘 화천산천어축제에 갑니다. '축제'라는 낱말은 맘에 안 들지만 애들에게는 재밌는 추억이 될 것 같아 지금 막 떠나려던 참입니다. 

3. 그래도 우리말편지인데 우리말 이야기는 좀 하고 마무리해야겠죠?  ^^*
- 제가 가장 좋아하는 우리말은? 마중물(펌프에서 물이 잘 나오지 아니할 때 물을 끌어 올리기 위하여 위에서 붓는 물)
 여러분의 마음속 깊은 곳에 있는 우리말을 사랑하는 뜨거운 마음을 밖으로 끄집어내는 마중물이 되고 싶습니다.
- 사전에 없는 말 가운데 꼭 살려 쓰고 싶은 말은? 살사리꽃(코스모스꽃)
 가을바람에 살랑거리는 꽃이 떠오르지 않나요? ^^*
- 없어져서 안타까운 낱말은? 새한마높
 동서남북에 해당하는 우리말이 새한마높입니다.
 동풍은 샛바람이고, 서풍은 하늬바람이며, 남풍은 마파람, 북동풍은 높새바람입니다.
- 사전에서 빼버리고 싶은 낱말은? 낭만
 낭만은 영어 romance를 일본 사람들이 소리 나는 대로 '浪漫'이라고 쓰고, 'ろうまん[로우망]'이라고 읽습니다.
 그걸 가져다 우리가 '낭만'이라고 하는 겁니다.
- 사람 이름으로 쓰기에 좋은 낱말은? 윤슬
 "햇빛이나 달빛에 비치어 반짝이는 잔물결"이라는 뜻으로 뜻도 좋고, 부르기도 좋은 것 같아 추천합니다.   
- 이 낱말만 생각하면 눈물이 난다. 그 낱말은? 어머니
   아무 조건 없이 제가 내리사랑을 주시는 어머니가 생각나고, 하지 못하는 치사랑이 생각하서 안타까운 마음에 눈시울이 뜨거워집니다.
- 싫어하는 낱말은? 걸태질
 "염치나 체면을 차리지 않고 재물 따위를 마구 긁어모으는 짓"이라는 뜻으로 뜻도 더럽고 소리도 더러워서 싫어합니다.

이제 정리하고 화천에나 가야겠네요.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38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103
2196 [2015/08/19] 우리말) 농업용어도 광복을 맞이해야 한다 머니북 2015-08-19 2712
» [2015/08/18] 우리말) 쓰면 안 될 일본말 머니북 2015-08-19 2731
2194 [2015/08/17] 우리말) 투잡 머니북 2015-08-17 2356
2193 [2015/08/13] 우리말) 광복과 해방 머니북 2015-08-13 2383
2192 [2015/08/12] 우리말) 책 소개 머니북 2015-08-12 2715
2191 [2015/08/11] 우리말) 입때껏 머니북 2015-08-11 2331
2190 [2015/08/10] 우리말) 일소현상? (2) 머니북 2015-08-11 2940
2189 [2015/08/07] 우리말) 일소현상? 머니북 2015-08-08 2231
2188 [2015/08/06] 우리말) 밤을 지새우다(2) 머니북 2015-08-06 3085
2187 [2015/08/05] 우리말) 밤을 지새우다 머니북 2015-08-05 2924
2186 [2015/08/04] 우리말) 그러거나 말거나 머니북 2015-08-04 2202
2185 [2015/08/03] 우리말) 각단, 두동지다 머니북 2015-08-03 3244
2184 [2015/07/31] 우리말) 주둥이와 아가리 머니북 2015-08-02 2320
2183 [2015/07/30] 우리말) 줄다와 준 머니북 2015-08-02 2288
2182 [2015/07/29] 우리말) 무슨과 몇 머니북 2015-08-02 2274
2181 [2015/07/28] 우리말) 짜증 머니북 2015-07-28 2342
2180 [2015/07/27] 우리말) 억장이 무너지다 머니북 2015-07-28 2849
2179 [2015/07/24] 우리말) young鷄 50% 할인! 머니북 2015-07-27 2619
2178 [2015/07/23] 우리말) 뒷심 머니북 2015-07-23 2359
2177 [2015/07/22] 우리말) 치덕치덕 머니북 2015-07-22 3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