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3/18] 우리말) 향년

조회 수 2521 추천 수 0 2015.03.18 08:19:10

'향년'은 
"한평생 살아 누린 나이"로 흔히 죽을 때의 나이를 말할 때 씁니다.
'향년 83세를 일기로 별세하다'처럼 쓰는 거죠.
살아 계신 자기 어머니께는 결코 쓸 말이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봄비가 내리네요. 차분하게 내리는 비가 참 좋습니다. ^^*

저는 거의 아침마다 어머니와 통화를 합니다.
자주 전화를 드리다 보니 한 번에 그리 오래 통화하는 것은 아니지만, 어쨌든 자주 목소리라도 듣는 게 좋은 것 같습니다.
오늘은 아침 일찍 머리하러 장에 가신다네요.

어떤 글에서
자기 어머니 나이를 소개하면서 '향년 여든둘' 이라고 쓴 것을 봤습니다.
'향년'은 
"한평생 살아 누린 나이"로 흔히 죽을 때의 나이를 말할 때 씁니다.
'향년 83세를 일기로 별세하다'처럼 쓰는 거죠.
살아 계신 자기 어머니께는 결코 쓸 말이 아닙니다.

억지로 한자를 섞어 써서 있는척하려다 망신당하기 십상입니다.
깨끗한 우리말이 으뜸입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있습니다와 있음]

안녕하세요.

하늘이 참 맑고 깨끗하네요. ^^*
이렇게 기분 좋은 소식이 신문에 났네요.
정운찬 서울대 전 총장님이 하신 말씀입니다.
http://media.daum.net/society/people/view.html?cateid=1011&newsid=20080823033307540&cp=hankooki&RIGHT_TOPIC=R10

오늘은 좀 쉬운 것으로 시작할게요.
대부분이 아시는 내용인데도 '읍니다'와 '습니다'를 잘못 쓰시는 분이 뜻밖에 많네요.
어제 받은 편지에서도 '읍니다'와 '있슴'을 봤습니다.

다 하시는 것처럼 예전에는 '읍니다'였지만 1989년부터는 '습니다'가 표준어입니다.
비슷한 발음의 몇 형태가 쓰일 경우, 그 의미에 아무런 차이가 없고 그 가운데 하나가 널리 쓰이면, 그 가운데 한 형태만을 표준어로 삼는다는 규정에 따라
'읍니다'를 버리고 '습니다'를 표준어로 삼았습니다.
여기까지는 거의 다 아십니다.

그런데 '읍니다'를 버리고 '습니다'를 표준어로 삼고 보니,
많은 사람이 이름꼴(명사형) 씨끝(어미) '음'을 '슴'으로 쓰는 엉뚱한 잘못을 저지르고 있습니다.
'있습니다'고 쓰고 이를 줄여 '있슴'이라고 쓰는 겁니다.

'-음, -ㅁ'은
자음 밑에서는 '-음'을, 
모음 밑에서는 '-ㅁ'을 써 낱말을 이름씨(명사)로 만드는 씨끝(어미)입니다.
'읍니다/습니다'와는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읍니다'를 '습니다'로 바꿨으니까 '-음'도 '-슴'으로 적어야 한다고 생각하시는 것은 아니죠?
움직씨(동사) 먹다의 이름씨꼴은 '먹음'이지 '먹슴'이 아니고,

움직씨 없다 이름씨꼴은 '없음'이지 '없슴'이 아닐고,
'있다'의 이름씨꼴은 '있음'이지 '있슴'이 아닙니다.
이런 기본이 틀리면 좀 창피하지 않을까요? 저라면 창피할 것 같습니다.

설마하니...
맞춤법이 너무 자주 바뀌니까 공부한 게 다 소용없어졌다고요? 그래서 헷갈리신다고요?
1989년에 바뀌고 1954년에 바뀌었으며, 그전에는 1920년대에 바뀐 적이 있습니다.
몇년에 태어나셨는데 맞춤법이 '자주' 바뀐다고 하시나요? ^^*

누군가 그러시더군요.
좋은 일이 많아서 자주 웃는 게 아니라,
자주 웃어서 좋은 일이 많이 생긴다고...

오늘도 많이 웃으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29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016
2116 [2015/04/14] 우리말) 짬짜미/담합/카르텔 머니북 2015-04-14 2697
2115 [2015/04/13] 우리말) 차출과 착출 머니북 2015-04-13 5154
2114 [2015/04/10] 우리말) 데다 머니북 2015-04-10 2238
2113 [2015/04/07] 우리말) 본디와 본시 머니북 2015-04-07 2710
2112 [2015/04/06] 우리말) 여미다 머니북 2015-04-06 2333
2111 [2015/04/03] 우리말) 지반침하와 땅꺼짐 머니북 2015-04-03 2433
2110 [2015/04/02] 우리말) 누도와 눈물길 머니북 2015-04-02 2988
2109 [2015/04/01] 우리말) 누룽지튀각과 눌은밥튀각 머니북 2015-04-01 2280
2108 [2015/03/31] 우리말) 파머 가뭄 지수 머니북 2015-03-31 2787
2107 [2015/03/30] 우리말) 환절기와 간절기 머니북 2015-03-30 3080
2106 [2015/03/27] 우리말) 발코니/베란다/테라스 머니북 2015-03-27 2579
2105 [2015/03/26] 우리말) 2014년 새 낱말 머니북 2015-03-26 2269
2104 [2015/03/25] 우리말) 조글조글 머니북 2015-03-25 2324
2103 [2015/03/24] 우리말) 꽃샘과 잎샘 머니북 2015-03-24 2370
2102 [2015/03/23] 우리말) 정짜 머니북 2015-03-23 2354
2101 [2015/03/20] 우리말) 이상한 병 머니북 2015-03-20 2230
2100 [2015/03/19] 우리말) 사료는 먹이로 머니북 2015-03-19 2787
» [2015/03/18] 우리말) 향년 머니북 2015-03-18 2521
2098 [2015/03/17] 우리말) 햇빛/햇살/햇볕 머니북 2015-03-17 2229
2097 [2015/03/16] 우리말) 불과 뒷불 머니북 2015-03-16 2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