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8/23] 우리말) 중국어식 우리말

조회 수 3734 추천 수 0 2013.08.24 10:16:04

오늘은
중국 소식을 전해 주시는 '내 사랑 중국카페에 실린 글을 소개합니다.
좀 길지만여러 가지 생각을 하게 만드는 글입니다.

안녕하세요.

비가 오니 좀 낫죠?
처서에 비가 오면 흉년이라지만가뭄을 달래주는 이번비는 고맙네요.
오늘부터 모기 입도 삐뚤어진다고 하니 더위는 이제 한풀 꺾이나 봅니다. ^^*

오늘은
중국 소식을 전해 주시는 '내 사랑 중국카페에 실린 글을 소개합니다.
좀 길지만여러 가지 생각을 하게 만드는 글입니다.


우리말의 재발견한국 아이들 '중국어식우리말 
박정태 | 선양세무외국어학원 원장

우리 아이들 '바른말 고운말쓰고 있나?
중국 현지에서 태어나 자란 한국 아이들또는 어린 시절부터 죽 중국 학교에 다닌 한국 아이들은 일단은 바이링걸(bilingual)이긴 한데 일상에서 대체로 중국어로 표현하기를 손쉬워하는 반면 한국어 사용을 어렵고 불편하게 여긴다여기서 몇 세대를 거친 재중동포 아이들은 두말 할 것도 없다.

이들이 평소에 하는 이야기를 듣다 보면 매우 중국어스러운(혹은 조선어스러운한국어 표현을 하고 있음을 종종 발견하게 된다“오늘 비 온다 그랬어?”를 “오늘 비 있다(그랬어?”로“아무도 없어”를 “누구()도 없어”로 표현한다생활환경이 이들을 그렇게 만드는 것 같다청소년 유학생들이나 재중동포와 오래 같이 생활한 일부 성인들의 말투에서도 가끔은 이런 식의 표현을 들을 수 있다

중국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이런 아이들은 한국어와 중국어의 상황별 표현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어떻게 대답해야 할지 몰라 우물쭈물할 때도 꽤 많다중국어에서는 ‘셰셰(謝謝)’에 예외없이 상대방이 ‘부커치(不客氣혹은 비에커치/타이커치러)’로 대답하는데 반해 한국어에서는 ‘별 말씀을’‘뭘요’로 대답하기도 하지만 상황에 따라 그저 ‘감사합니다(고맙습니다)’로 되풀이해 회답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즉각적인 답변이 나오지 않는 사이 상대방으로부터 예의가 부족한 아이로 지레 오해를 사기도 한다.

“나랏 말쌈이 듕귁에 달아 서르 사맛디 아니할 새 이런 전차로 어린 백셩이 니르고자 홀 배 이셔도 제 뜻을 시러펴디 못하니……” 아마 세종대왕님께서는 한글 창제 이후 600년의 세월이 훌쩍 지난 지금 이곳 듕귁땅 선양에서 새삼스레 한글과 중국어가 마구 뒤섞이는 이런 웃지 못할 일이 벌어질 줄은 모르셨을 게다한글도 기미독립선언문 ‘오등(吾等)은 자()에 아(조선(朝鮮)의 독립국(獨立國)임과……’ 같은 시절을 겪기도 했지만 그건 100년 전의 이야기이고외래어를 들여와 어휘를 풍부하게 하는 것과 표현 방법 자체가 왜곡되는 건 전혀 다른 사안이다

한국어를 외국어로 열심히 배워 비교적 매끈하게 구사하는 중국 학생이 이야기한다한국어의 경어체가 정말 어렵다고……중국어에 없는 어미변화만 해도 익히기가 쉽지 않은데 그 어미변화의 상당부분이 경어체와 엮여 있으니 힘들기도 할 것이다외국인이 존칭어미인 ‘-()십시오’-()세요’를 비롯해 상대적 존칭인 ‘-//나’를 거쳐 반말어미 ‘-/어라’-/어’를 모조리 익혀 상황에 맞춰 쓰기란 참으로 어려운 일일 것이다

아이들이 중국어로혹은 중국어식으로 표현하는 걸 쉽게 여기는 가장 큰 이유는 그것이 뜻글자이기 때문이다.하나의 글자 하나의 발음만으로도 의사 전달이 가능하기 때문에 한자나 중국어를 익힌 친구사이라면 충분히 알아들을 수 있는 것이다그러다 보니 극단적으로는 “바빠?”가 “망(?”로 처절하게 변신하기도 한다물론 영어를 사용해 “계속 고(go) 해” 하는 것과도 같지만 뜻글자는 훨씬 더 보편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언젠가 함께 식사하는 자리에서 어떤 삐딱한(?) 재중동포 지식인으로부터 한글을 폄하하는 이야기를 들었다한글 문장에서 한자로 바꿀 수 있는 단어를 몽땅 다 한자로 바꾸고 나면 기껏 조사 외에 뭐가 남느냐는 것이었다.그냥 듣고만 있을 수는 없어서 소리글자는 뜻글자처럼 요리 자체가 아니라 요리를 담는 그릇에 비유할 수 있어서 영어든 중국어든 스페인어든 뭐든 다 담을 수 있는 이치이니 뜻글자의 틀에다 소리글자를 꿰어 맞추지 마시라고 점잖게 일러 주었다그리고 한글 시 한 편을 소개해 주었다

꽃이 피는 건 힘들어도 
지는 건 잠깐이더군

골고루 쳐다볼 틈 없이 
님 한 번 생각할 틈 없이 
아주 잠깐이더군

그대가 내 속에 피어날 때처럼 
잊는 것 또한 순간이면 좋겠네

멀리서 웃는 그대여
산 넘어 가는 그대여

꽃이 지는 건 쉬워도 
잊는 건 한참이더군
영영 한참이더군.

최영미 님의 ‘선운사에서’이다그에게 예로 들려준 내 뜻은 한글은 한자를 포함한 외래어를 거의 또는 전혀 쓰지 않아도 되는 기능을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지만즉 자체로 충분히 요리가 되기도 하지만 어휘의 풍성을 위해 그릇이 되기도 하는 한글의 유연성이었다.

외국인이 배우기 어려운 언어는 결코 과학적이지 않다거나 정형화되어 있지 않아서가 아니다오히려 그 언어 고유의 표현체계가 다양하게 잘 발달되어 있다는 뜻이고 그런 까닭에 단순하지가 않아서 익히기가 어려울 뿐이다.그리고 언어 간 친근성의 문제도 있다한국인이 러시아어나 아랍어보다는 일본어를 상대적으로 익히기 쉬운 이치이다한국어와 중국어는 언어 자체의 친근성은 없지만 두 나라가 긴 세월 어깨를 겯고 역사를 공유하다 보니 한국어 안에 한자어라는 무시할 수 없는 분량의 어휘 공간이 생겼다

이미 내장된 공간을 새삼스레 구태여 거부할 필요는 없다충분히 활용하면서 어휘의 풍요로움을 만끽할 수 있다그러나 한글 고유의 언어체계나 일정한 표현방식에 어긋나는 표현은 아무래도 어색하다‘어느 선생님’을 ‘누구 선생님’‘약을 먹었다’를 ‘약을 마셨다’로 표현하는 일본어식 표현은 일본어로 구사할 때는 정상이지만 한글로는 이상할 수밖에 없다

모름지기 한국 아이라면 ‘고생을 먹었다()’가 아니라 ‘고생을 했다’‘감동을 먹었다’가 아니라 ‘감동을 받았다/했다’로 표현할 때 정상적인 한국어 언어체계를 가진 한국 아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외국환경에서 외국어에 매달리다 보니 불안정해진 한국어 언어체계를 가지게 되었거나 별 생각없이 그저 습관적으로 중국어스러운 표현을 하는 아이들을 위해 내가 해 줄 수 있는 것이 무엇일까?

이런 글을 쓰고 있는데 복도 저편에서 또 이런 한국말이 들려온다“우리 내일 빤톈(半天, half time)이야?” 하아,그것 참얘들아이럴 땐 될 수 있는 대로 ‘오전수업’이나 ‘단축수업’이란 말을 쓰렴그래야 중국어를 배우지 않은 한국 친구들도 알아들을 수 있지 않겠니?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
씨 띄어쓰기]

비가 오네요.
이 비는 맞으면 안 된다는데...

며칠 전에 '싸 군이야기할 때,
'
성과 이름은 붙여 쓰고 호칭은 띄어 씁니다.
홍길동박길동이라 쓰고,
김 씨김 군처럼 씁니다.'라고 했습니다.

오늘은 이것을 좀더 풀어볼게요.

쉽게,
씨는 
호칭일 때는 띄어 쓰고,
성씨 자체일 때는 붙여 씁니다.

,
그 일은 김 씨가 맡기로 했네홍길동 씨길동 씨희빈 장 씨에서는 띄어 쓰고,
박씨 부인최씨 문중그의 성은 남씨입니다에서는 붙여 씁니다.
뭐 그리 어려운 것도 아닙니다.
다만좀 헷갈리죠.

우리말우리의 삶과 넋을 담은 우리말이 좀 쉬우면 좋으련만
이렇게 경우에 따라 쓰임이 달라 자주 헷갈리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것저것 안 따지고 그냥 대충 쓰게 되고...
그래서 우리말이 바로 서지 못하고...
제 생각이 그렇다는 겁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7846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4120
1796 [2013/09/25]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3-09-25 2251
1795 [2013/09/24] 우리말) 압화와 누름꽃 머니북 2013-09-25 5791
1794 [2013/09/23] 우리말) 설레다와 설렘 머니북 2013-09-23 2707
1793 [2013/09/16] 우리말) 시키다 머니북 2013-09-16 4575
1792 [2013/09/13] 우리말) 고객관리 머니북 2013-09-13 5837
1791 [2013/09/12] 우리말) 슬다 머니북 2013-09-12 6662
1790 [2013/09/11] 우리말) 바른말 표어 공모 머니북 2013-09-11 6005
1789 [2013/09/10] 우리말) 부나비 머니북 2013-09-10 7169
1788 [2013/09/09] 우리말) 고운때 머니북 2013-09-09 6259
1787 [2013/09/06] 우리말) 자랑합니다 머니북 2013-09-09 2178
1786 [2013/09/05] 우리말) 부딪치다/부딪히다 머니북 2013-09-05 3592
1785 [2013/09/04] 우리말) 어제 받은 댓글 머니북 2013-09-04 2816
1784 [2013/09/03] 우리말) 재미 머니북 2013-09-03 2465
1783 [2013/09/02] 우리말) 가슬가슬과 고슬고슬 머니북 2013-09-02 2639
1782 [2013/08/30] 우리말) 교포와 동포 머니북 2013-08-30 2432
1781 [2013/08/29] 우리말) 점잔과 점잖 머니북 2013-08-29 5517
1780 [2013/08/28] 우리말) 거섶 머니북 2013-08-28 2959
1779 [2013/08/27] 우리말) 넘늘이 머니북 2013-08-27 2678
1778 [2013/08/26] 우리말) 곁땀 머니북 2013-08-26 2955
» [2013/08/23] 우리말) 중국어식 우리말 머니북 2013-08-24 37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