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10/25] 우리말) 나침판과 나침반

조회 수 3620 추천 수 0 2012.10.25 13:13:17

차를 운전할 때 운전석 앞에 차의 상태를 알려주는 눈금이 많이 나와 있습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계기판(計器板)과 계기반을 모두 표준어로 받아들였습니다.
어떤 것을 쓰셔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예전에 보낸 편지로 갈음합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
나침판과 나침반]

안녕하세요.

서해바다가 걱정이네요

요즘 고등학교 3학년의 고민이 많을 겁니다.
교육은 백 년 앞을 내다봐야 한다는데 그러지 못한 현실이 안타깝고,
죄없이 흔들리는 학생들이 불쌍합니다.

뭐가 뭔지 보이는 게 없어 지금은 바잡을 수밖에 없지만,
(
바잡다 : 조마조마하고 두렵고 염려스럽다.)
그렇다고 두 손 놓고 자글대고 있을 수만도 없습니다.
(
자글대다 : 걱정스럽거나 조바심이 나거나 못마땅하여 마음을 졸이다.)

어떤 대학을 갈 것인가 보다
앞으로 어떤 일을 할 것인가를 더 크게 생각하며 앞날을 설계하길 바랄 뿐입니다.
산에서 길을 잃으면 나침반을 써서 방향을 찾습니다.
학교에서는 선생님이 여러분의 나침반입니다.
아무쪼록 좋은 말씀 많이 듣고 바른 결정 내리길 빕니다.

자침이 남북을 가리키는 특성을 써서 만든,
"
항공항해 따위에 쓰는 지리적인 방향 지시 계기" '나침반'이라고 합니다.
소리도 '나침반'입니다그런데도 많은 이들이 '나침판'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국립국어원에서 1998년에 사전을 만들면서 나침판도 표준어에 넣었습니다.
지금은 나침반과 나침판 모두 표준어입니다.
다만나침반은 羅針盤이지만 나침판은 羅針板이 아닌 그냥 '羅針판'입니다.

우리말에서 "판판하고 넓게 켠 나뭇조각"을 판자(板子)라고 합니다.
널빤지라는 우리말을 쓰면 좋겠지만많은 이들이 판자라고 합니다.
이것을 떠올리셔서 넓은 것은 다 ''을 쓴다고 생각하셔서 나침판이라고 하시나 봅니다.

여러분 운전하세요?
차를 운전할 때 운전석 앞에 차의 상태를 알려주는 눈금이 많이 나와 있습니다.
그걸 뭐라고 하세요?
계기판계기반?

그건 계기반(計器盤)이 맞습니다.
밑받침 반(자를 써서 "계량기에 눈금이나 문자나 숫자가 들어 있는 면"이라는 뜻입니다.
그러나 이 또한 계기판이라고 하지 계기반이라고는 별로 하지 않습니다.
그에 따라 국립국어원에서는 계기판(計器板)과 계기반을 모두 표준어로 받아들였습니다.
어떤 것을 쓰셔도 됩니다.

좀더 나갈까요?
계기판을 영어로 dashboard[대시보드] dash panel[대시 패널]이라고 합니다.
dash
는 물 따위가 튀기다는 뜻입니다바퀴 뒤에 있는 흙받이가 dash입니다
따라서 dashboard는 흙받이 판 정도 되겠죠말 뿌리가 그렇다는 뜻입니다. ^^*

이제 계기반과 dashboard를 합쳐서 일본말로 읽어볼게요.
일본어로 보면 dash를 ダッシュ[닷슈]로 쓰고 계기반의 盤을 ばん[]이라 쓰고 읽습니다.
한꺼번에 읽어보면 [닷슈방정도 됩니다.
다시 보면,
dash[
대시] [다시]로 읽고 盤을 ばん[]이라 읽으면 '다시방'이 됩니다.
어디에도 나와있지 않지만 
제 생각에 다시방이 이렇게 해서 나온 것 같습니다.
별로 좋은 뿌리는 아닌 것 같죠?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진로를 이야기하면서 나침반을 꺼냈다가 여기까지 왔네요. ^^*

아무쪼록 많이 고민하고 깊게 고민하시길 빕니다.
고민을 많이 하면 하는 동안은 힘들지만 나중에는 도움이 됩니다. ^^*

지금보니 서해바다에서 문제를 일으킨 배도 나침반 문제였나요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32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034
» [2012/10/25] 우리말) 나침판과 나침반 머니북 2012-10-25 3620
1575 [2012/10/24] 우리말) 캐롤과 캐럴 머니북 2012-10-24 2545
1574 [2012/10/23]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2-10-23 2346
1573 [2012/10/22] 우리말) 텡쇠 머니북 2012-10-22 2660
1572 [2012/10/19]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2-10-19 3484
1571 [2012/10/18] 우리말) 촌놈과 촌스럽다 머니북 2012-10-18 2513
1570 [2012/10/17] 우리말) 편지 두 개 소개 머니북 2012-10-17 2949
1569 [2012/10/16] 우리말) 피로회복 머니북 2012-10-16 2367
1568 [2012/10/15] 우리말) 과일주와 과실주 머니북 2012-10-15 3479
1567 [2012/10/12] 우리말) '열락조' -> '연락 줘' 머니북 2012-10-12 3072
1566 [2012/10/11] 우리말) 총각 머니북 2012-10-11 3005
1565 [2012/10/10] 우리말) '한글의 날'과 '한글날' 머니북 2012-10-10 2370
1564 [2012/10/09] 우리말) 오늘은 한글날 머니북 2012-10-09 5708
1563 [2012/10/08] 우리말) 인터넷 기사 '한글과 더불어' 머니북 2012-10-08 3360
1562 [2012/10/05] 우리말) 한글문화연대 소개 머니북 2012-10-05 2700
1561 [2012/10/04] 우리말) 밀리는 길과 막히는 길 머니북 2012-10-04 5140
1560 [2012/09/27] 우리말) 부저와 단추 머니북 2012-09-27 6917
1559 [2012/09/26] 우리말) 햅쌀과 오려쌀 머니북 2012-09-26 6582
1558 [2012/09/25] 우리말) 양생은 굳히기로 머니북 2012-09-25 3425
1557 [2012/09/24] 우리말) 착한 남자 머니북 2012-09-24 8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