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박이말을 살려 쓴 예쁜 이름을 소개합니다.

안녕하세요.

벌써 금요일입니다.
주말에 뭐하실 건가요?
저는 애들과 같이 강화도에 놀러 갑니다. ^^*

집 앞에 있는 가게는 늘 보는 곳이다 보니 간판을 잘 보지 않지만,
다른 지방에 가면 가게 이름을 보고 길을 찾는 때가 잦습니다.
그런 간판을 보면 애써서 우리말을 찾아 고운 이름을 지은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참으로 기분이 좋습니다.
내일 강화도에서도 그런 간판을 자주 보고 싶습니다.

토박이말을 살려 쓴 예쁜 이름을 소개합니다.
http://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21637 
에서 따온 겁니다.

모르고 지나치곤 하지만 알고 보면 우리 둘레에 토박이말을 살려 쓴 이름들이 적지 않습니다
이런 이름들을 모아 보고그런 이름을 지은 분들을 추어올려 드리는 자리가 되었으면 합니다
여러분과 함께 만들어 가는 뜻깊은 일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많은 분이 함께했으면 합니다

1. 
더좋은집
경남 창원시 의창구 도계동에 있는 높무리집(아파트)이름입니다. '원창건설'에서 지었다고 하는데 아직도 집 짓는 일을 하고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그 옆에 '밝은집'도 있었답니다

2. 
돌실나이
고쳐 지은 우리옷(생활한복가게 이름입니다전남 곡성 돌실(석곡)에서 만든 것으로 으뜸 삼베 하면 '돌실'이고 돌실에서 낳았다 하면 알아주었다고 합니다돌실+낳이>돌실나이

3. 
수레와 바퀴
'
수레()를 고쳐 주는 가게 이름입니다바퀴도 손봐 준다는 것 아시겠지요? '00카센타'라는 이름이 많이 쓰이는데 남다른 생각을 하고 지은 이름이 아닐까 싶습니다

이게 다가 아닙니다.
이런 멋진 이름을 98개나 소개합니다.

꼭 한번 읽어보세요.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
보신탕 ==>> 개장국]

점심 맛있게 드셨나요?

초복인 오늘,
사람을 위해서,
아니 사람 때문에,
얼마나 많은 멍멍이가 사라졌을까요?
인간 때문에 사라져간 멍멍이를 생각하면서 글을 씁니다

사전에서 보신탕을 찾아보면,
"
허약한 몸에 영양을 보충해 주는 국이라는 뜻으로, '개장국'을 이르는 말."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다시 '개장국'을 찾아보면,
"
개고기를 여러 가지 양념채소와 함께 고아 끓인 국"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삼복에 몸보신용으로 먹는 것은 '개장국'입니다.
요즘은 주로 보신탕이라고 하지만
본래는 개장국입니다.

보신탕이라는 말은,
아마도 장사꾼들이 補身湯으로 지은 게 아닌가 라는 사람도 있고,
한방에서 쓰는 낱말이라는 사람도 있고...

이 보신탕이라는 이름은,
88
올림픽 때 잠시 다른 이름으로 바뀌게 됩니다.
외국의 동물 애호가들이 인간의 친구인 개를 먹는 것은 야만 행위라고 트집을 잡고 나서자,
정부에서 보신탕을 혐오 식품이라면서,
큰길가에 있던 보신탕집을 단속하고,
보신탕이라는 말을 사용하지 못하게 했죠.
그때 상인들이 억지로 만들어낸 말이 
'
영양탕' '사철탕'입니다.
'
영양탕'은 영양이 많거나 좋다는 뜻이고,
'
사철탕'은 몸에 좋은 이런 식품을 여름에만 먹지 말고 사시사철 일년내내 먹자는 뜻으로 지었다고 합니다.
당연히 상인들이 만들어낸 말이죠.
거기에 한 술 더 떠 ‘보양탕’이라고까지 합니다.

그러나
개장국보신탕만 국어사전에 올라 있고,
사철탕보양탕영양탕은 사전에 없습니다.
어떻게 보면 점잖지 못한 그런 말은 없어지는 게 맞죠.

재밌는 것은,
'
개장국'의 낱말 뜻입니다.
개장국에서 '' ''은 한글이고 ''은 한자인데,
된장 장(자를 씁니다.
따라서,
'
개장국',
개에다 된장을 발라 국을 끓였다는 말이 되겠죠.
좀 거시기 하긴 하지만,
그래도 딱 어울리는 말 아닌가요

보태기)
1. 
오늘 편지는,
개장국을 많이 먹자거나,
아니면 개장국을 먹지 말자거나 하는 뜻으로 보내드리는 게 아닙니다.
다만,
그 이름을 두고,
어떻게 생기게 되었고어떤 뜻이 있다는 것을 말씀드린 것뿐입니다.

2.
참고로,
저는 개장국을 먹지 않습니다.
먹어본 적도 없습니다.
그리고 앞으로도 먹지 않을 겁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38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105
1516 [2012/07/11] 우리말) 왔다리 갔다리 머니북 2012-07-11 5656
1515 [2012/07/10] 우리말) 주니 머니북 2012-07-10 3002
1514 [2012/07/09] 우리말) 빈소와 분향소 머니북 2012-07-09 2887
1513 [2012/07/06] 우리말) 장대비와 작달비 머니북 2012-07-06 2667
1512 [2012/07/05] 우리말) 오늘도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2-07-05 3152
1511 [2012/07/04]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2-07-04 2865
1510 [2012/07/03] 우리말) 천장과 천정(2) 머니북 2012-07-03 3195
1509 [2012/07/02] 우리말) 천장과 천정 머니북 2012-07-02 3000
1508 [2012/06/29] 우리말) 같이 읽고 싶은 글 머니북 2012-06-29 2929
1507 [2012/06/28] 우리말) '안타깝다' 머니북 2012-06-28 2808
1506 [2012/06/27] 우리말) '쿨비즈'는 '시원차림'으로 머니북 2012-06-27 2667
1505 [2012/06/26] 우리말) '폭염'과 '불볕더위' 머니북 2012-06-26 2788
1504 [2012/06/25] 우리말) '엉큼하다'와 '응큼하다' 머니북 2012-06-25 3396
1503 [2012/06/22] 우리말) 암호같은 복지 용어 머니북 2012-06-22 3243
1502 [2012/06/21] 우리말) 노인은 어르신으로 머니북 2012-06-21 2807
1501 [2012/06/20] 우리말) 수탉과 수캉아지도 있습니다 머니북 2012-06-20 2700
1500 [2012/06/19] 우리말) 수키와 머니북 2012-06-19 2703
1499 [2012/06/18] 우리말) 미어지다와 메어지다 머니북 2012-06-18 3401
» [2012/06/15] 우리말) 토박이말 살려쓴 이름 머니북 2012-06-15 4392
1497 [2012/06/14] 우리말) 관심은 가지는 게 아니라 두는 것 머니북 2012-06-15 2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