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4/02] 우리말) 잔불과 뒷불

조회 수 2579 추천 수 0 2012.04.02 19:33:04

 

산불이 꺼진 뒤에 타다 남은 것이 다시 붙어 일어난 불이나,
가마에서 독을 구울 때 독 밑을 말리는 바깥 불을 뜻하는 우리말은
'
뒷불'입니다.

안녕하세요.

벌써 4월입니다.
해 놓은 일은 없으면서 왜 이리 시간은 잘 가는지 모르겠습니다.

4
월은 나무 심기에 좋은 때입니다.
근데 안타깝게도 4월에 산불이 가장 자주 일어납니다.
나무를 심는 면적보다 불에 타는 면적이 더 많은 것 같아 제 가슴도 타들어갑니다.

며칠 전에 산림청 산불감시원들을 만나뵙고 왔습니다.
산불을 볼 수 있는 곳곳에 계시면서 산불이 나면 바로 신고할 수 있게 되어 있었습니다.
그리고 산불진화대원들도 뵙고 왔습니다.
큰불은 헬리콥터로 끄지만, 그 뒷마무리는 일일이 사람들이 끈다고 합니다.
그것을 설명하시면서 '뒷불은 사람들이 직접 마무리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예전에는 타고 남은 불은 '잔불'이라고 했습니다.
그러나 '잔불' "화력이 약한 총알"이라는 뜻으로 작은 짐승을 잡는 데 쓰는 총알입니다.

산불이 꺼진 뒤에 타다 남은 것이 다시 붙어 일어난 불이나,
가마에서 독을 구울 때 독 밑을 말리는 바깥 불을 뜻하는 우리말은
'
뒷불'입니다.

그러나
언제부터인가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
잔불(-)'을 올리고 "타고 남은 불"이라는 뜻풀이를 달았습니다.
친절하게 '≒잔화01(殘火)'라는 설명도 붙였습니다.

좋은 우리말 '뒷불'을 두고 굳이 '잔불(-)'을 만들어 쓸 까닭은 없다고 봅니다.

산림청에서 저에게 설명해주시는 분은
잔불이라 하지 않으시고 뒷불이라고 하셨습니다. ^^*

오늘 저녁에 비가 내린다고 합니다.
슈룹 꼭 챙기시길 빕니다.
슈룹이 뭔지 모르신다고요? ^^*

며칠 전 우리말 편지에서 소개해 드렸습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
촌지]

웬만하면 우리말편지를 하루에 두 번 보내지 않으려고 저 나름대로 노력합니다.
그러나 오늘은 꼭 하고 싶은 말이 있어서 또 보냅니다.

어젯밤 뉴스에서 한 여교사가 학부모 앞에서 무릎을 꿇은 것을 봤습니다.
인터넷 뉴스에서 보니,
아이가 점심을 늦게 먹었다고 벌을 주고 반성문까지 쓰게 했다는 이유로,
학부모가 선생님의 집에 찾아가 따지고, 학교 안에서 기어코 선생님 무릎을 꿇게 했군요.
가슴이 답답해집니다.

꼭 그렇게까지 해야 했을까요?
군사부일체를 떠나서 스승이고 선생님인데......
이런 사실을 아는 학생들은 얼마나 당황할까요.

선물 사기 어렵다고 어린이날을 없앨 수 없고,
고향에 계신 부모님께 가기 힘들다고 어버이날을 없앨 수 없습니다.
그러나 며칠 전 우리는,
'
촌지'가 무서워 스승의 날 학교 문을 걸어 잠갔습니다.
우리가 어쩌다 이 지경이 되었는지 모르겠네요.

'
촌지'도 없어지고,
'
촌지'라는 낱말도 없어지길 빌면서 오늘 우리말편지를 하나 더 보냅니다.

"
마음이 담긴 작은 선물" '촌지'라고 합니다.
'
촌지'
(
손가락) 마디 촌() 자와 뜻 지() 자를 써서,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손가락 마디만 한 (작은) "입니다.
아주 작은 정성 또는 마음의 표시를 말하죠.
저는 그런 정성을 선생님께 표시하는 것은 좋다고 봅니다.
아니 당연히 그런 정성을 가져야죠.
그게 돈이어서 문제지......

'촌지(寸志, すんし)'는 일본어투 한자입니다.
'
작은 정성'이나 '작은 선물'이라고 바꿔서 써야 합니다.

국립국어원 표준대사전에 따르면,
'
촌지'
"
정성을 드러내기 위하여 주는 돈. 흔히 선생이나 기자에게 주는 것을 이른다."라고 풀어놓고,
아직 우리말로 다듬지는 않았습니다.
제 생각에는 '꾹돈‘도 좋을 것 같은데......

'
촌지'라는 낱말도 없어지고,
더불어 돈을 넣은 '촌지'도 없어지길 빌며...

우리말123


보태기)
저는 개인적으로 교사라는 직업을 참 좋아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유난히 선생님을 존경하죠.
그래서 한때나마 교직에도 있었고......
지금 여든이 넘으신 초등학교 담임선생님도 찾아뵙고 있습니다.
이런 제가,
무릎 꿇은 선생님을 보고 무척 당황했습니다.
속도 쓰리고...
이럴 때 쓰는 말이,
애끓고, 애끊는 아픔이겠죠. ...
우리가 어쩌다가 여기까지 오게 되었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548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91086
1456 [2012/04/12] 우리말) 농업 속 우리말 머니북 2012-04-12 2506
1455 [2012/04/10] 우리말) 광어가 아닌 넙치 머니북 2012-04-10 2492
1454 [2012/04/09] 우리말) 낼모레 머니북 2012-04-09 3060
1453 [2012/04/06] 우리말) 퍼센트 포인트 머니북 2012-04-09 3301
1452 [2012/04/05] 우리말) 한식 머니북 2012-04-05 2430
1451 [2012/04/04] 우리말) 서식과 자생 머니북 2012-04-04 2980
1450 [2012/04/03] 우리말) 꽃샘잎샘 머니북 2012-04-03 2660
» [2012/04/02] 우리말) 잔불과 뒷불 머니북 2012-04-02 2579
1448 [2012/03/30] 우리말) 비거스렁이 머니북 2012-03-30 2447
1447 [2012/03/29] 우리말) 한글날을 공휴일로 머니북 2012-03-29 2698
1446 [2012/03/28] 우리말) 봄 내음 머니북 2012-03-28 2451
1445 [2012/03/27] 우리말) 먼산바라기 머니북 2012-03-27 2624
1444 [2012/03/26] 우리말) 느지막하다 머니북 2012-03-26 3129
1443 [2012/03/23] 우리말) 곤달걀 머니북 2012-03-23 5419
1442 [2012/03/22] 우리말) 사이시옷 머니북 2012-03-22 6722
1441 [2012/03/21] 우리말) 보라 머니북 2012-03-21 2732
1440 [2012/03/20] 우리말) 냉이국이 아니라 냉잇국 머니북 2012-03-20 2611
1439 [2012/03/19] 우리말) 돋우다와 돋구다 머니북 2012-03-19 2963
1438 [2012/03/16] 우리말) 일쩝다 머니북 2012-03-16 2431
1437 [2012/03/15] 우리말) 싱싱하다와 안슬프다 머니북 2012-03-15 2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