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9/06] 우리말) 쉰둥이와 마흔둥이

조회 수 2977 추천 수 96 2010.09.06 10:42:32
'쌍동이'가 아닌 '쌍둥이'가 맞다는 것은 다 아실 겁니다.
끝가지(접미사) '-둥이'는 일부 이름씨(명사)에 붙어
"그러한 특징을 가진 어린아이" 또는 "그러한 성질을 지닌 사람이나 동물"을 뜻합니다.
귀염둥이, 업둥이, 칠삭둥이, 깜둥이, 바람둥이, 흰둥이, 순둥이 따위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침에 회의가 있어서 편지가 좀 늦었습니다.

'쌍동이'가 아닌 '쌍둥이'가 맞다는 것은 다 아실 겁니다.
끝가지(접미사) '-둥이'는 일부 이름씨(명사)에 붙어
"그러한 특징을 가진 어린아이" 또는 "그러한 성질을 지닌 사람이나 동물"을 뜻합니다.
귀염둥이, 업둥이, 칠삭둥이, 깜둥이, 바람둥이, 흰둥이, 순둥이 따위가 있습니다.

쉰이 넘어 애를 낳으면 '쉰둥이'라고 합니다.
'마흔둥이'라는 낱말이 사전에 오르지 않은 것을 보면,
마흔둥이는 쉰둥이에 견줘 더 흔했던 것 같습니다.

요즘은 애들이 예전에 비해 적게 태어난다고 합니다.
마흔둥이건 쉰둥이건 애가 태어난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으면 좋겠습니다.

고맙습니다.


보태기)
우리말편지를 보내는 저를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많으십니다.
오늘치 예전에 보낸 편지는
제가 누군지를 소개하는 내용입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제가 누구냐고요?]

안녕하세요.

오늘도 제 이야기 하나 할게요.
많은 분이 궁금해하시는 것으로...^^*
제가 언제부터, 왜 우리말 편지를 보내는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저는 2003년 여름부터 우리말 편지를 보내고 있습니다.
그때는 지금처럼 날마다 보내는 게 아니라 일주일에 한 번 정도 보냈습니다.
우리말 편지를 보내게 된 계기는 여러 가지입니다.
그 가운데 하나를 소개할게요.

우리말 편지를 처음 보낸 2003년은 제가 미국에서 공부하고 있을 때입니다.
저는 연구원이다 보니 외국 책이나 논문을 자주 봅니다.
그래서 제 전공분야만큼은 웬만한 영어 원서나 논문, 일본어 원서나 논문은 사전 없이도 별 지장없이 봅니다.
아무래도 전공분야다 보니 보는 대로 눈에 잘 들어옵니다. 뜻도 쉽게 파악되죠.
미국에서 살다 보면 길 지나가며 보는 것도 꼬부랑글자요, 책상 앞에 와도 꼬부랑글자만 있습니다.
처음에는 헷갈리지만 좀 지나면 그게 오히려 자연스럽습니다.
가끔 우리말로 된 책을 보면 그게 더 이상할 정돕니다.

2003년 여름 어느 날,
학과사무실에서 영어로 써진 보고서를 봤는데 최신 내용으로 제가 일했던 한국으로 보내면 많은 사람에게 도움이 될 것 같더군요.
그래서 학과장 허락을 받고 그 보고서를 받아와서 번역에 들어갔습니다.
이왕이면 보기 쉽게 해서 보내드리는 게 좋잖아요.

자리에 와서 보고서를 전체적으로 죽 훑어보니 정말로 좋은 내용이고 최신정보가 많았습니다.
숨 고를 틈도 없이 바로 번역해 나갔습니다.
키보드 왼쪽에 보고서를 놓고 눈으로 읽으면서 바로 타자를 쳐 나갔죠.
제가 타자치는 속도가 좀 빠릅니다. 대학 때는 1분에 500타까지도 쳤으니까요. ^^*

문제는 그때부터입니다.
눈으로 보고 내용을 파악하는 데는 술술 잘 나갔는데,
이를 막상 우리말로 바꾸려고 하니 말이 잘 안 풀리는 겁니다.
영어 문장을 몇 번씩 봐도, 우리말로 번역한 것을 몇 번씩 읽어도 이게 영 어색한 겁니다.
영어 보고서를 한 문장 한 문장 읽고 이해하는 데는 몇 시간 걸리지 않았는데,
이 보고서를 번역하여 우리말로 바꾸는 데는 열흘이 넘게 걸렸습니다.
그렇게 고생해서 번역을 했는데도 말이 어색합니다. 매끄럽지 않아요. 맘에 안 들고...
아무리 읽어봐도 차라리 영어 원문을 그냥 보내주는 게 받는 사람이 이해하기 더 편할 것 같았습니다.
결국 저는 제가 번역한 내용을 보내지 않고 영어 원문을 그대로 한국으로 보냈습니다.

그때 느꼈습니다.
내가 늘 쓰는 우리말과 글이지만 내 머릿속에 든 것을 글로 나타내기가 이리도 힘들구나...
평소에는 별 생각 없이 지껄이고 싶은 대로 지껄이고,
쓰고싶은 대로 끼적거렸지만 그게 제대로 된 게 아니었구나...
그저 내가 뭐라고 하건 남들이 대부분 알아들었기에 문법이나 체계도 없이 지껄였구나...
그러고 보니 내가 우리말을 공부한 적이 없네... 학교다니면서 국어시간에 문법을 공부한 게 다네...

그날 바로 인터넷으로 국어책을 주문했습니다.
미국에서 한국으로 책 주문하면 무척 비쌉니다. ^^*
그래도 주문했죠. 남에게 보이고자 해서가 아니라, 내 스스로 내가 창피해서 얼굴 벌게진 채 인터넷으로 책을 주문했습니다.
그때 주문한 책이 우리말 죽이기 우리말 살리기, 우리말답게 번역하기, 우리말의 속살 이렇게 세 권입니다.

며칠 기다려 배달된 책을 읽는데
책을 보면 볼수록 얼굴이 달아오르더군요.
어찌 이런 것도 모르고 함부로 나불거렸나... 예전에 나와 말을 섞은 사람들이 나를 얼마나 흉봤을까...
아는 만큼 보인다고,
책 세 권을 읽고 나니 이제는 말하기가 겁나고, 글을 쓰는 게 두려웠습니다.
오히려 더 못쓰겠더군요.
그동안 내가 전공용어라고 떠들고 다닌 게 거의 다 일본말 찌꺼기였다는 것을 알고 받은 충격은 장난이 아니었습니다.

그 신선한 충격을 동료와 나누고 싶었습니다.
책을 읽고 무릎을 탁 치는 부분이 나오면,
그 부분을 따서 한국으로 보냈습니다.
제가 있었던 연구실 직원 세 명에게 이메일로 보낸 거죠.

이게 우리말 편지를 보낸 한 계기입니다.

다른 이야기는 다음에...^^*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904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4755
1076 [2010/09/10] 우리말) 가르치다 moneybook 2010-09-10 2673
1075 [2010/09/09] 우리말) 히히덕거리다와 시시덕거리다 moneybook 2010-09-09 2855
1074 [2010/09/08] 우리말) 비껴가다 moneybook 2010-09-08 2818
1073 [2010/09/07] 우리말) 속도 단위 moneybook 2010-09-07 2904
» [2010/09/06] 우리말) 쉰둥이와 마흔둥이 moneybook 2010-09-06 2977
1071 [2010/09/03] 우리말) 도복 moneybook 2010-09-04 2653
1070 [2010/09/02] 우리말) 풍력계급 moneybook 2010-09-02 3070
1069 [2010/09/01] 우리말) 해포 moneybook 2010-09-01 2822
1068 [2010/08/31] 우리말) 밍밍하다와 닝닝하다 moneybook 2010-08-31 2957
1067 [2010/08/30] 우리말) 선떡부스러기 moneybook 2010-08-30 3103
1066 [2010/08/25] 우리말) 산토끼의 반대말 moneybook 2010-08-25 2805
1065 [2010/08/24] 우리말) 아무게 => 아무개 moneybook 2010-08-24 2911
1064 [2010/08/23] 우리말) 댓글 두 개 moneybook 2010-08-23 2728
1063 [2010/08/20] 우리말) 올림과 드림 moneybook 2010-08-20 10932
1062 [2010/08/19] 우리말) 민얼굴과 맨얼굴 moneybook 2010-08-19 2806
1061 [2010/08/18] 우리말) 언어예절 moneybook 2010-08-18 2693
1060 [2010/08/17] 우리말) 흙감태기 moneybook 2010-08-17 2793
1059 [2010/08/16] 우리말) 약오르다 moneybook 2010-08-16 3217
1058 [2010/08/13] 우리말) 거방지다 moneybook 2010-08-13 2740
1057 [2010/08/12] 우리말) 야코 moneybook 2010-08-12 26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