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2/19] 우리말) 커텐과 커튼

조회 수 3226 추천 수 90 2010.02.19 08:59:14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빛을 막는 데 쓰는 가림막은 '커튼'입니다. curtain에서 왔죠.
이를 커텐이라고 많이 하십니다. 그러나 맞춤법에 따르면 '커튼'이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이 대동강 물도 풀린다는 우수네요
.
눈 대신 비가 내리면서 겨우내 얼었던 땅이 녹고
,
겨울 추위가 가시고 봄기운이 나니 산과 들에 새싹이 돋겠네요
.
다음 절기는 개구리가 깨어난다는 경칩입니다
.

오늘은 창가 커튼을 활짝 열어야겠습니다
. ^^*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빛을 막는 데 쓰는 가림막은 '커튼'입니다. curtain에서 왔죠
.
이를 커텐이라고 많이 하십니다. 그러나 맞춤법에 따르면 '커튼'이 맞습니다
.

외래어표기법이 좀 어렵긴 합니다
.
그래서 많은 분이 헷갈리죠
.
프라이팬을 후라이팬이라고 하고
,
헬멧을 헬맷이라고 잘못 쓰며
,
플래카드를 프랭카드나 프랑카드라고 틀리게 쓰는 분도 계십니다
.
금속재로 된 창틀인 sash의 바른 표기인 '새시'보다 '샷시'가 더 눈에 익어 있습니다
.

다른 나라 말을 전혀 안 쓰고 살 수는 없겠지만
,
우리 문화를 담아 우리말로 만들어 쓰는 것도 좋다고 봅니다
.

새시는 국립국어원에서 창틀로 다듬었습니다
.

고맙습니다
.


보태기
)

1.
자동차 따위의 뼈대인 chassis '섀시'라고 써야 바릅니다
.
2.
다른 나라에서 온 말인 커튼을 '창너울'로 바꾸자는 분도 계십니다
.
'
너울'

조선시대에 부녀자들이 밖에 나갈 때 얼굴을 가리고자 쓰던 쓰개로 햇볕을 가리개입니다
.
이 낱말에 창을 붙여 '창너울'이라는 새로운 낱말로 커튼을 갈음하자는 말씀이십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
닦달하다
]

요즘 시쳇말로 정말 죽을 맛입니다
.
국정감사가 며칠 남지 않다 보니

여기저기서 닦달하는 게 보통이 아니네요.
제발 빨리 끝나길 빌면서 오늘은 '닦달'을 알아볼게요
.

닦달[닥딸]

다 아시는 것처럼 '남을 단단히 윽박질러서 혼을 냄.'이라는 뜻입니다.
저 무자비한 것들의 표독스러운 닦달에 입을 벌리지 않을 수가 없을 것이고
...,
돈을 어서 갚으라고 닦달을 하다처럼 씁니다
.

이것은 우리가 다 알고 있는 뜻이고

닦달에는 이것 말고 다른 뜻도 있습니다.
'
물건을 손질하고 매만짐.'이라는 뜻도 있습니다
.
이 가구가 그래도 닦달만 잘하면 다시 새것처럼 깨끗해질 것 일세처럼 쓸 수 있습니다
.
그래서 '갈고 닦아서 다듬는 일' '닦달질'이라고 합니다
.
당연히 '집 안을 깨끗이 치우는 일' '집안닦달'입니다
.
설마 그런 낱말이 진짜 있느냐고요
?
사전 찾아 보세요. 있습니다
. ^^*
http://www.korean.go.kr/uw/dispatcher/bbs/search/dictionary/dic_sear_detail.appl?att1=집안닦달&count=0&pcount=0&attr_oid=@81331|4|4&old_in=0

,
'
음식물로 쓸 것을 요리하기 좋게 다듬음.'이라는 뜻도 있습니다
.
꿩과 닭의 닦달은 아저씨에게 맡기고, 너는 어서 아궁이에 불을 지펴라처럼 쓸 수 있죠
.

제가 고향에 가면 가끔 어머니가 이런 말씀을 하십니다
.
'
저기 달기새끼 한 마리 잡아서 닦달해놔라, 저녁에 삶아 먹자
!'

닦달이 들어간 낱말 중
,
'
몸닦달'이라는 게 있습니다
.
'
몸을 튼튼하게 단련하기 위하여 견디기 어려운 것을 참아 가며 받는 몸의 훈련'을 말합니다
.

'
닦달'이 여러 가지 뜻이 있고, 그중에는 좋은 뜻도 있지만
,
저는 '닦달'이 싫습니다
.
제가 닦달 당하기도 싫고, 남을 닦아세우기도 싫고
...
제발 오늘은 닦달 당하지 않고 잘 넘어가길 빕니다
.

우리말
123

보태기
)
'
달기새끼'는 사전에 없는 낱말입니다
.
'
달기'는 닭의 사투리인데
,
저희 어머니는 꼭 '달기새끼'라고 하시더군요
.
그래서 어머니 생각에 저도 한번 써 봤습니다
. ^^*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892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4625
956 [2010/03/15] 우리말) 세단기와 세절기 id: moneyplan 2010-03-15 3238
955 [2010/03/12] 우리말) 오지와 두메산골 id: moneyplan 2010-03-12 2865
954 [2010/03/11] 우리말) 숨탄것 id: moneyplan 2010-03-11 2496
953 [2010/03/10] 우리말) 잔다리밟다 id: moneyplan 2010-03-10 3289
952 [2010/03/09] 우리말) 독장수셈 id: moneyplan 2010-03-09 3012
951 [2010/03/08] 우리말) sunglass는 선글라스 id: moneyplan 2010-03-08 3062
950 [2010/03/05] 우리말) 난이도가 높은 => 꽤 까다로운 id: moneyplan 2010-03-05 2719
949 [2010/03/04] 우리말) Yuna와 Yun-a id: moneyplan 2010-03-04 2809
948 [2010/03/03] 우리말) 학부모와 학부형 id: moneyplan 2010-03-03 2798
947 [2010/03/02] 우리말) 물끄러미와 풀리다 id: moneyplan 2010-03-02 2810
946 [2010/02/26] 우리말) 헝겁과 헝겊 id: moneyplan 2010-02-26 3065
945 [2010/02/25] 우리말) 허겁지겁과 헝겁지겁 id: moneyplan 2010-02-25 2849
944 [2010/02/24] 우리말) 육교 id: moneyplan 2010-02-24 3148
943 [2010/02/23] 우리말) 초주검 id: moneyplan 2010-02-23 2741
942 [2010/02/22] 우리말) 우와기와 한소데 id: moneyplan 2010-02-22 2845
» [2010/02/19] 우리말) 커텐과 커튼 id: moneyplan 2010-02-19 3226
940 [2010/02/18] 우리말) 모도리 id: moneyplan 2010-02-18 2480
939 [2010/02/17] 우리말) '바' 띄어쓰기 id: moneyplan 2010-02-17 3157
938 [2010/02/16] 우리말) 절 하는 방법에 대한 댓글 id: moneyplan 2010-02-16 2499
937 [2010/02/12] 우리말) 설날에 예법에 맞는 세배 해보세요 id: moneyplan 2010-02-12 2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