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10/16] 우리말) 공공언어는 쉬워야 한다

조회 수 2931 추천 수 101 2009.10.19 11:34:39
오늘은 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인 방송사회자 정재환 님의 글을 소개합니다.


안녕하세요.

정말 왜 이렇게 살아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아침 일찍 일터에 나와 이제야 책상에 앉았네요.
무슨 영화를 누리겠다고...

오늘은 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이자 방송사회자인 정재환 님의 글을 소개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공공언어는 쉬워야 한다!
불필요한 외래어·외국어 남발… 우리말 순수성 잃고 더 어려워

라디오 뉴스를 들었다. 소득 수준에 따라 부동산대출액을 제한하는 DTI, 즉 총부채상환비율 규제가 은행권에서 제2금융권으로 확대 시행된다고 한다. 잘 들어보니 소득을 기준으로 부동산을 구입할 때 대출받을 수 있는 금액을 제한한다는 얘기인 것 같다. 문제는 '총부채상환비율'이라고 하면 되는데 DTI라는 말을 꼭 앞에 갖다 붙인다는 점이다.
LTV는 만기 10년 이하 또는 만기 10년 초과ㆍ담보가액 6억원 초과 아파트에 대해 현행 60%이내인 LTV를 50%이내로 강화한단다. 역시 문제는 LTV이다. LTV란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해줄 때 담보물의 가격에 대비하여 인정해주는 금액의 비율을 말한다. 즉 '주택담보대출인정비율'이다. 이것을 50%로 강화한다는 것은 앞으로는 돈을 덜 빌려주겠다는 얘기이다.
글쓴이가 하고 싶은 얘기는 총부채상환비율 규제 확대나 주택담보대출인정비율을 강화하는 것이 옳다든가 그르다든가 하는 얘기가 아니다. 그런 문제에는 관심도 없고 아는 것도 없고 주장할 것도 없다.
문제는 뉴스를 전하는 기자의 보도 태도이다. DTI라고 먼저 말하고 나서 즉 총부채상환비율 규제가 확대된다고 말하는 방식은 옳지 않다. DTI로 운을 뗄 필요 없이 그냥 총부채상환비율 규제가 확대된다고 하면 되고, LTV를 언급할 것 없이 주택담보대출인정비율이라고 하면 된다.
총부채상환비율과 주택담보대출인정비율이라는 말을 줄여 쓰고 싶은 심리가 작동했을 수도 있다. 그런 것이라면 '총상비'라든가 '대출인비' 하는 식으로 약어를 만들어 써야 한다. 그런데 이 두 말은 약어를 만들기 어려울 것 같다. '총상비', '대출인비'라고 했을 때 그게 무슨 뜻인지 알 수 있을까? 그래서 어쩔 수 없이 DTI와 LTV를 쓰는 것일까? 하지만 DTI와 LTV는 더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DTI'라고 하고 다시 '즉 총부채상환비율'이라고 말하는 식의 보도 태도는 말하는 시간을 절약하는 것도 아니고 바람직하지도 않다. 불필요한 외래어 남발은 우리말의 순수성을 해칠 뿐만 아니라 우리말을 점점 어렵게 만든다. 다소 복잡하고 장황한 설명이 됐지만 좀 길어도 그냥 총부채상환비율과 주택담보대출인정비율이라고 해야 쉽다. 방송 뉴스뿐만 아니라 신문 보도도 마찬가지다. DTI와 LTV는 이제 파지 속으로 들어가야 한다.
국립국어원에서는 공공언어의 바람직한 상을 정립하기 위해 여러 가지 사업을 펼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우리말 다듬기인데, 일상에서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는 외국어와 외래어를 쉬운 우리말로 바꾸는 작업이다. 뒤늦게 그런 걸 왜 하느냐고 힐난하는 분도 있고 이미 외국어와 외래어가 퍼질 대로 다 퍼졌는데 다듬은 말이 보급이 되겠느냐고 걱정하는 분도 있다. 하지만 하지 않는 것보다 백번 낫다. 또한 언중은 우리말 사용의 주체로서 국립국어원의 노고에 격려하고 협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신문과 방송 등 언론의 협력이다. 네티즌이라는 말이 널리 퍼졌었지만 누리꾼을 방송과 신문에서 보급한 것처럼 핫이슈 대신 '주요쟁점'을, 팝업창 대신 알림창을, 멘토 대신 인생길잡이를, 가십거리 대신 입방아거리를 쓰기 바란다.
563돌 한글날 경축사를 통해 정운찬 총리는 우리말글을 지키고 가꿔나가는데 정부도 온 힘을 다하겠다면서 공공기관의 잘못된 언어사용부터 바로잡겠다고 약속했다. 공공기관의 잘못된 언어사용에는 그랜드 바겐, 원샷딜, 녹색IT, 잡 셰어링, 시장 프렌들리 같은 말도 포함될 것이다. 과연 정 총리가 약속을 지킬 수 있을까?

<이 글은 '경인일보-수요광장' 에 실렸습니다.>


정재환(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 / 방송사회자)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딴죽]

안녕하세요.

봄비가 오네요. ^^*

일을 하다보면 남에게 부탁을 해야 할 때가 많습니다.
어찌보면 쉽게 해 줄 수도 있는데,
꼭 딴죽을 거는 사람이 있습니다.
참 밉죠.
그래서 저는 남이 무슨 부탁을 하면 되도록이면 그자리에서 바로 들어드립니다.
그자리에서 들어드리지 않고 나중으로 미루면 거의 들어드리지 못합니다.
그래서 이왕 해 줄거라면 그자리에서 바로 해줍니다.
딴죽걸지 않고 시원하게......

오늘은 '딴죽' 이야기를 해 볼게요.
'딴죽'은 "씨름이나 태껸에서, 발로 상대편의 다리를 옆으로 치거나 끌어당겨 넘어뜨리는 기술"을 뜻합니다.
이런 뜻이 발전해서
"딴전을 부리며 어기는 것"을 딴죽이라고 합니다.
아직 사전에는 올라있지 않은 낱말입니다.
이와 비슷한 '딴지'도 사전에 오르지 않은 낱말입니다.

내친김에,
앞에서 '씨름이나 태껸'이라고 했는데요.
흔히 '택견'이라고 하는 우리 고유 무술은 '태껸'이 맞습니다.
'택견'이 아닙니다.

우리말123


이 글을 보시고 임기현 님이 다신 댓글입니다.
안녕하세요. 좋은 메일 잘 받아보고 있습니다. 이 번 메일 내용이 딴죽에 관한 것인데, 제가 부족한 실력이지만 택견을 수련하고 있기 때문에 반가워서 이렇게 메일을 보냅니다. 본문에서 딴죽을 발로 상대편의 다리를 옆으로 치거나 끌어당겨 넘어뜨리는 기술이라고 하셨는데, 실제로 딴죽은 발로 강하게 찬다기보다는 상대가 빈틈을 보이거나, 아니면 움직일 때 무게중심이 이동한 순간에 슬쩍 다리를 걸거나 차는 것을 말합니다. 딴죽을 잘 이용하면 큰 힘을 안 들이고도 덩치가 큰 선수를 쓰러트리는 것도 가능합니다. 또한 국어사전에는 택견이 아니라 태껸으로 올라와 있지만 수련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흔히 택견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각종 택견 관련 협회에서도 태껸이라는 단어 대신 택견이라는 단어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아마 시간이 좀 더 지나면 택견도 그냥 표준어화되지 않을까 하네요. 봄비 내리는 저녁 즐거운 시간 되시구요. 앞으로도 좋은 메일 기대하겠습니다. (2007-03-02 18:46
:2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933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5034
856 [2009/10/20] 우리말) '가차없다'와 '가차 없다' id: moneyplan 2009-10-20 3045
855 [2009/10/19] 우리말) 가차없다 id: moneyplan 2009-10-19 3086
» [2009/10/16] 우리말) 공공언어는 쉬워야 한다 id: moneyplan 2009-10-19 2931
853 [2009/10/15] 우리말) 도세 id: moneyplan 2009-10-15 2593
852 [2009/10/14] 우리말) 노총 id: moneyplan 2009-10-14 3218
851 [2009/10/13] 우리말) 반죽과 변죽 id: moneyplan 2009-10-13 3136
850 [2009/10/12] 우리말) 살살이와 살사리 id: moneyplan 2009-10-12 2563
849 [2009/10/09] 우리말) 코스모스와 살사리 id: moneyplan 2009-10-09 2761
848 [2009/10/08] 우리말) 씁쓸하다 id: moneyplan 2009-10-08 3137
847 [2009/10/07] 우리말) 알맹이와 알갱이 id: moneyplan 2009-10-07 2825
846 [2009/10/06] 우리말) 내숭 id: moneyplan 2009-10-06 5917
845 [2009/10/05] 우리말) 얼토당토않다 id: moneyplan 2009-10-06 2830
844 [2009/10/01] 우리말) 기쁨과 행복이 가득한 한가위로 보내시길 빕니다 id: moneyplan 2009-10-01 3108
843 [2009/09/30] 우리말) 해쌀과 햅쌀 id: moneyplan 2009-09-30 2801
842 [2009/09/29] 우리말) 햇감자와 해땅콩 id: moneyplan 2009-09-29 2647
841 [2009/09/28] 우리말) 주말에 본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09-28 3128
840 [2009/09/25] 우리말) 대중요법과 대증요법 id: moneyplan 2009-09-25 2909
839 [2009/09/24] 우리말) 옛날과 예전 id: moneyplan 2009-09-24 2819
838 [2009/09/23] 우리말) 신경 끄다 id: moneyplan 2009-09-23 2892
837 [2009/09/22]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9-22 2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