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몇 년 전 한가위때 보낸 편지를 붙입니다. ^^*


오늘까지만 일터에 나오고 내일 새벽에 고향으로 갑니다. ^^*
우리 겨레의 3대 명절은 설, 단오, 한가위입니다.
그 가운데에서도 '한가위'가 가장 큰 명절이죠.
오죽하면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늘 한가위만 같아라."라고 할까요.

추석, 한가위, 중추절, 가배절 따위로 부르는 팔월 보름.
오늘은 한가위의 뿌리를 볼게요.
뭐 깊게 생각할 것도 말 것도 없습니다.
"크다"라는 뜻의 '한'과 "가운데"라는 뜻의 '가위'가 합쳐진 낱말로
8월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이라는 뜻입니다.

어떤 분은
'가위'는 '가배'에서 온 말이라고도 합니다.
'가ㅂ.(아래아)ㅣ'가 '가외'로 되고 다시 '가위'로 바뀐 거죠.
'가위'는 신라 때의 길쌈놀이(베 짜기)인 '가배(嘉俳)'에서 왔다고 합니다.
지금도 표준국어사전에 '가위'를 "추석"으로 풀어놨습니다.

'중추절'은
가을을 초추(初秋), 중추(仲秋), 종추(終秋)로 나눈 데 그 뿌리가 있습니다.

'추석'은
예기의 조춘일 추석월(朝春日 秋夕月)에서 나온 것이라는 설과
중국의 중추, 추중, 칠석, 월석 가운데에
'중추'의 '추(秋)'와 '월석'의 '석(夕)'을 따서 '추석(秋夕)이라고 한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어떤 게 맞는 건지는 모르지만,
누가 뭐래도 한가위라면 마음부터 푸짐해집니다.

고향 잘 다녀오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예전에 보낸 편지를 보시고 어떤분이 이런 댓글을 다셨습니다.

어떤 사람이 얘기했는지 모르겠지만, ‘한가위’의 ‘가위’는 ‘가배(嘉俳)’에서 온 말이 아닙니다. ‘嘉’나 ‘俳’에는 ‘길쌈’이나 ‘베 짜기’라는 뜻이 없지요. <동아 백년옥편>을 찾아보았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931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5014
856 [2009/10/20] 우리말) '가차없다'와 '가차 없다' id: moneyplan 2009-10-20 3045
855 [2009/10/19] 우리말) 가차없다 id: moneyplan 2009-10-19 3086
854 [2009/10/16] 우리말) 공공언어는 쉬워야 한다 id: moneyplan 2009-10-19 2929
853 [2009/10/15] 우리말) 도세 id: moneyplan 2009-10-15 2591
852 [2009/10/14] 우리말) 노총 id: moneyplan 2009-10-14 3214
851 [2009/10/13] 우리말) 반죽과 변죽 id: moneyplan 2009-10-13 3133
850 [2009/10/12] 우리말) 살살이와 살사리 id: moneyplan 2009-10-12 2561
849 [2009/10/09] 우리말) 코스모스와 살사리 id: moneyplan 2009-10-09 2759
848 [2009/10/08] 우리말) 씁쓸하다 id: moneyplan 2009-10-08 3135
847 [2009/10/07] 우리말) 알맹이와 알갱이 id: moneyplan 2009-10-07 2820
846 [2009/10/06] 우리말) 내숭 id: moneyplan 2009-10-06 5915
845 [2009/10/05] 우리말) 얼토당토않다 id: moneyplan 2009-10-06 2828
» [2009/10/01] 우리말) 기쁨과 행복이 가득한 한가위로 보내시길 빕니다 id: moneyplan 2009-10-01 3105
843 [2009/09/30] 우리말) 해쌀과 햅쌀 id: moneyplan 2009-09-30 2798
842 [2009/09/29] 우리말) 햇감자와 해땅콩 id: moneyplan 2009-09-29 2646
841 [2009/09/28] 우리말) 주말에 본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09-28 3128
840 [2009/09/25] 우리말) 대중요법과 대증요법 id: moneyplan 2009-09-25 2908
839 [2009/09/24] 우리말) 옛날과 예전 id: moneyplan 2009-09-24 2818
838 [2009/09/23] 우리말) 신경 끄다 id: moneyplan 2009-09-23 2891
837 [2009/09/22]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9-22 2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