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6/30] 우리말) 머물다와 머무르다

조회 수 2754 추천 수 102 2009.06.30 08:48:27
우리말에서는 홀소리 씨끝 앞에서는 준말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곧, 어떤 낱말 뒤에 홀소리 씨끝이 오면 준말을 쓸 수 없습니다.

따라서,
머물러, 머물렀다는 쓸 수 있지만,
머물어, 머물었다는 쓸 수 없습니다.
서루르다/서둘다, 서투르다/서툴다, 가지다/갖다도 마찬가지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이 6월 말입니다. 오늘 날짜로 퇴직하시는 분들이 계시네요.
그 바람에 저도 이번에 다른 실로 가게 되었습니다.
연구소로 돌아와서 15일 정도 있으면서 제 나름대로 앞날 계획을 세워 놨는데...
그걸 좀 뒤로 미뤄야 할 것 같습니다.
당장 내일부터 다른 부서에서 일하라네요. 쩝...
제가 전생에 죄를 많이 짓기는 많이 지었나 봅니다.
본청에서 3년을 기획업무만 했는데, 연구소에 돌아와서도 또 기획실로 가라니...

잠시 기획실에 머무르다 돌아오겠습니다. '잠시'는 "짧은 시간"인데, 저에게는 한 2년 정도 될 것 같습니다.

'머물다'는 말이 있습니다. '머무르다'의 준말입니다.
'머물르다'는
"도중에 멈추거나 일시적으로 어떤 곳에 묵다."는 뜻과
"더 나아가지 못하고 일정한 수준이나 범위에 그치다."는 뜻이 있습니다.

여기까지는 다 아는 것이고요. ^^*
머무르다의 준말인 머물다에 홀소리 씨끝(모음 어미)이 올 때가 문제입니다.
우리말에서는 홀소리 씨끝 앞에서는 준말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곧, 어떤 낱말 뒤에 홀소리 씨끝이 오면 준말을 쓸 수 없습니다.

따라서,
머물러, 머물렀다는 쓸 수 있지만,
머물어, 머물었다는 쓸 수 없습니다.
서루르다/서둘다, 서투르다/서툴다, 가지다/갖다도 마찬가지입니다.

좀 헷갈리신가요?
제가 2년 정도 기획실에 '머물러야' 하지만 제 꿈이 거기서 '머무르지'는 않을 겁니다. ^^*
(쥐뿔도 없으면서 말은 좀 거창한가요?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포장도로와 흙길]


어제는 온 식구가 횡성에 다녀왔습니다.
한우고기 좀 먹을까 해서 갔는데, 한우는 못 먹고 더덕만 많이 먹고 왔습니다. ^^*


봉황이 울었다는 봉명리라는 곳에서 잤는데 비포장도로로 한참 들어가야 마을이 나오더군요.
오랜만에 달려보는 비포장도로였습니다.


포장(鋪裝)은
"길바닥에 돌과 모래 따위를 깔고 그 위에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따위로 덮어 길을 단단하게 다져 꾸미는 일."입니다.
그래서 그렇게 꾸민 길을 '포장도로'라고 합니다.

그럼 포장 되지 않은, 꾸미지 않은 길은 뭐라고 하죠?
아시는 것처럼 '비포장도로(非鋪裝道路)'라고 합니다.

'비포장'보다는 '흙길'이 낫지 않나요?
근데 안타깝게도 흙길은 사전에 오르지 않았습니다.
포장, 포장도로, 비포장도로와 함께
'길'과 '포장길'만 올라 있습니다.
안타깝습니다.

이런 멋진 '길'을 두고 '도로(道路, どうろ[도우로])'라는 일본어투 말을 더 많이 쓰는 우리입니다.
어떤 책에 보니 '도로'는 땅에만 있고,
'길'은 하늘과 땅, 심지어는 바다에도 있는 게 길이라고
도로와 길의 쓰임을 갈랐더군요.

다음에 사전 만들 때는 '도로'를 빼고 '길'만 올랐으면 좋겠습니다.
'포장'을 뺄 수 없다면 '흙길'도 같이 올렸으면 좋겠습니다.

이번 주도 열심히 일해야겠죠?
그래야 주말에 또 놀러 가죠.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506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0677
» [2009/06/30] 우리말) 머물다와 머무르다 id: moneyplan 2009-06-30 2754
775 [2009/06/29] 우리말) 꿰맞추다 id: moneyplan 2009-06-29 2628
774 [2009/06/26] 우리말) 실수 몇 개 id: moneyplan 2009-06-26 2436
773 [2009/06/25] 우리말) 배참 id: moneyplan 2009-06-25 2652
772 [2009/06/24] 우리말) 짝꿍과 맞짱 id: moneyplan 2009-06-24 2611
771 [2009/06/23] 우리말) 까칠하다와 거칫하다 id: moneyplan 2009-06-23 3096
770 [2009/06/22] 우리말) 조카와 조카딸 id: moneyplan 2009-06-22 3389
769 [2009/06/19] 우리말) 오사바사하다 id: moneyplan 2009-06-19 2579
768 [2009/06/18] 우리말) 걸판지다와 거방지다 id: moneyplan 2009-06-19 3053
767 [2009/06/17] 우리말) 제비집 id: moneyplan 2009-06-17 2465
766 [2009/06/16]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6-16 2992
765 [2009/06/15] 우리말) 음식 맛 id: moneyplan 2009-06-15 2577
764 [2009/06/12] 우리말) 처신과 채신 id: moneyplan 2009-06-12 2669
763 [2009/06/11] 우리말) 주책과 주착, 채비와 차비 id: moneyplan 2009-06-11 3021
762 [2009/06/10] 우리말) 불임과 난임 id: moneyplan 2009-06-10 2749
761 [2009/06/09] 우리말) 처, 아내, 지어미, 마누라, 옆지기 id: moneyplan 2009-06-09 2934
760 [2009/06/08] 우리말) 정확과 적확 id: moneyplan 2009-06-08 2670
759 [2009/06/05] 우리말) 어부인이 아니라 그냥 부인입니다. id: moneyplan 2009-06-05 3143
758 [2009/06/04] 우리말) 피로야 제발 가라... id: moneyplan 2009-06-04 3134
757 [2009/06/03] 우리말) 생각과 生覺 id: moneyplan 2009-06-03 2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