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6/24] 우리말) 짝꿍과 맞짱

조회 수 2382 추천 수 93 2009.06.24 08:36:08
짝꿍은 몇 년 전까지는 '짝궁'이 표준말이었습니다.
그러나 맞춤법 규정에 '말의 본래 의미가 사라진 말은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는 규정에 따라
'짝궁'이 아니라 '짝꿍'으로 적는 게 바릅니다.


안녕하세요.

새로운 일터로 온 지 이제 겨우 10일 남짓 되었는데,
옛 일터가 무척 그립네요.
같이 손발 맞추면서 일했던 짝꿍도 보고 싶고...
이승돈 박사! 나 없어도 잘 살아? 나는 날마다 네가 보고 싶은데, 너는 나 안 보고 싶어?

일을 할 때 "짝을 이루는 동료"를 짝꿍이라고 합니다.
뜻이 맞거나 매우 친한 사람을 이르는 말이기도 합니다.
10여 일 전까지 제 짝꿍이 이승돈 박사였습니다.

짝꿍은 몇 년 전까지는 '짝궁'이 표준말이었습니다.
그러나 맞춤법 규정에 '말의 본래 의미가 사라진 말은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는 규정에 따라
'짝궁'이 아니라 '짝꿍'으로 적는 게 바릅니다.

말 나온 김에 하나 더 하죠.
흔히 일대일로 맞서 싸우는 것을 속되게 이를 때 '맞짱'이라고 합니다.
맞짱 뜨다나 맞짱 까다고 하죠.
이 맞짱도 '맞장'이 아니라 '맞짱'이 표준말입니다.
1988년 표준국어대사전을 만들 때는 표제어가 아니었으나 언제부터인가 인터넷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표준말로 올라 있습니다.
이 또한 '말의 본래 의미가 사라진 말은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는 규정에 따라
'맞장'이 아니라 '맞짱'이라 써야 바릅니다.

내 짱꿍 이 박사!
보고 싶다 친구야...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비거스렁이]

주말 잘 보내셨나요?
저는 전북에서 놀다왔습니다. ^^*

오늘 아침 무척 쌀쌀하죠?
주말에 비가 내렸고,
그 뒤에 이렇게 바람이 불고 기온이 낮아졌네요.
바로 이런 현상을 나타내는 우리말이 있습니다.
우리말 편지에서 몇 번 소개한
'비거스렁이'라는 이름씨가 바로 그 낱말입니다.
"비가 갠 뒤에 바람이 불고 기온이 낮아지는 현상"으로
비가 그치고 난 뒤, 비거스렁이를 하느라고 바람이 몹시 매서웠다처럼 씁니다.

이런 좋은 낱말을 아침 뉴스에서 들으면 얼마나 좋을까요?
날씨가 쌀쌀해질 것 같으니 옷을 잘 챙겨 입으시라는 말씀보다는
비거스렁이 할 것 같으니 옷을 잘 챙겨 입으시라는 말씀이 더 멋지지 않나요?

고맙습니다.

이번 주도 부지런히 일하고 주말에는 열심히 놀아야죠?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30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020
776 [2009/06/30] 우리말) 머물다와 머무르다 id: moneyplan 2009-06-30 2588
775 [2009/06/29] 우리말) 꿰맞추다 id: moneyplan 2009-06-29 2338
774 [2009/06/26] 우리말) 실수 몇 개 id: moneyplan 2009-06-26 2268
773 [2009/06/25] 우리말) 배참 id: moneyplan 2009-06-25 2441
» [2009/06/24] 우리말) 짝꿍과 맞짱 id: moneyplan 2009-06-24 2382
771 [2009/06/23] 우리말) 까칠하다와 거칫하다 id: moneyplan 2009-06-23 2930
770 [2009/06/22] 우리말) 조카와 조카딸 id: moneyplan 2009-06-22 3198
769 [2009/06/19] 우리말) 오사바사하다 id: moneyplan 2009-06-19 2326
768 [2009/06/18] 우리말) 걸판지다와 거방지다 id: moneyplan 2009-06-19 2901
767 [2009/06/17] 우리말) 제비집 id: moneyplan 2009-06-17 2218
766 [2009/06/16]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6-16 2810
765 [2009/06/15] 우리말) 음식 맛 id: moneyplan 2009-06-15 2322
764 [2009/06/12] 우리말) 처신과 채신 id: moneyplan 2009-06-12 2353
763 [2009/06/11] 우리말) 주책과 주착, 채비와 차비 id: moneyplan 2009-06-11 2809
762 [2009/06/10] 우리말) 불임과 난임 id: moneyplan 2009-06-10 2373
761 [2009/06/09] 우리말) 처, 아내, 지어미, 마누라, 옆지기 id: moneyplan 2009-06-09 2760
760 [2009/06/08] 우리말) 정확과 적확 id: moneyplan 2009-06-08 2505
759 [2009/06/05] 우리말) 어부인이 아니라 그냥 부인입니다. id: moneyplan 2009-06-05 2954
758 [2009/06/04] 우리말) 피로야 제발 가라... id: moneyplan 2009-06-04 2893
757 [2009/06/03] 우리말) 생각과 生覺 id: moneyplan 2009-06-03 2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