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5/14] 우리말) 촌지...

조회 수 2796 추천 수 85 2009.05.14 09:23:49
오늘 우리말 편지는 정운복 선생님의 글로 갈음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어젯밤에 집에 사람들을 초대하여 전쟁을 좀 치렀더니 지금까지 정신이 없네요.
남들이 그러더군요, 요즘에도 집으로 사람들을 초대하는 간 큰 남자가 있냐고...

오늘 우리말 편지는 정운복 선생님의 글로 갈음하겠습니다.
정운복 선생님의 누리집은http://cafe.daum.net/pulibmail 입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촌지를 받았습니다]


안녕하세요?
오월이네요..
라일락 향기 가득하고, 장미의 꿈이 영그는
참 좋은 계절입니다.
달력을 펼쳐보면 기념일이 굵은 활자로 촘촘히 박혀있는 것도
오월의 특징입니다.


요즘 수업시간에 종종 촌지를 받습니다.
촌지(寸志)라는 표현은 본래의 취지와는 달리 좀 억울한 누명을 쓰고있는 단어지요.
그래서 제가 촌지를 받았다고 하면
악덕교사이거나 아님 교육자적 자질이 약에 쓸려해도 없는
어쩌면 이 사회에 불필요한 잉여인간이라고 볼지도 모릅니다.


촌지의 사전적 풀이는 이렇습니다.
"정성을 드러내기 위하여 주는 돈이나 마음이 담긴 작은 선물"
비슷한 말 : 촌의(寸意)·촌정(寸情)
물건의 값어치는 고하간에
감사의 념이 깊으면 촌지이고
무언가를 주고 눈꼽만큼이라도 자신의 이득을 취하려고 했다면
이는 뇌물로 보는 것이 옳지 않을까요?


요즘 수업에 들어가면
교탁위에 사탕 두 개, 몽쉘 하나, 커피 한 캔, 자기들이 좋아하는 과자류.....
이런 것들이 종종 올라와 있습니다.
아이들이 준비한 촌지이지요.


예전 스승의 날때
시골 아이들이 산나물을 뜯어다 이쁘게 포장해서
선생님께 선물한 것을 본일이 있습니다.
어찌보면 감사할 수 있는 대상에게 감사를 표할 수 있다는 것은
우리가 가진 소중한 정신문화의 하나일텐데요.
작은 감사마저도 눈치보며, 할수 없는 현실이 우리를 슬프게합니다.


100억을 꿀꺽한 공무원과 10만원 촌지를 받은 교사가
같은죄로 동일시되는 사회입니다.
교사에게 유난히 도덕적인 것을 요구하는 것은
사회의 리더이며 이 시대에 마지막 남은 양심이기 때문이 아닐까요?


요란하지 않게 마음으로 함께할 수 있는.....
비록 작더라도 소중한 느낌으로 할께할 수 있는.....
우리가 되었으면 하는 소망을 담아봅니다.


스승의 날을 며칠 앞두고....


정운복 올림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푹 고은 게 아니라 푹 곤]

안녕하세요.

날씨가 참 좋네요.
기분 좋은 토요일 아침입니다.

아침에 텔레비전을 보는데 제 병이 또 도지네요.
8:19 SBS에서 일본사람이 하는 말을 번역해서 자막으로 보내면서 '맛있는 것 같아요'라고 했습니다.
제가 듣기에는 일본어로 'おいしいです'라고 했는데 왜 '맛있어요'라고 하지 않고 '맛있는 것 같아요'라고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같아요'는 뭔가를 추측할 때 하는 말이지, 자기의 느낌이나 감정을 이야기할 때 하는 말이 아닙니다.
맛있으면 맛있는 거지 맛있는 거 같아요가 뭔가요?

8:25 MBC에서 '푹 고은 장어'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고기나 뼈 따위를 무르거나 진액이 빠지도록 끓는 물에 푹 삶다."는 뜻의 낱말은 '고다'이고,
이의 관형형이 '고은'이 아니라 '곤'입니다.
'푹 곤 장어'라고 해야 맞습니다.

곧이어,
'장어 지리'가 나왔습니다.
세상에...
아직도 지리라는 낱말을 쓰나요?
ちり는 일본  냄비 요리의 하나입니다.
생선·두부·채소 따위를 냄비에 끓여서 초간장에 찍어 먹는다고 하네요.
이 낱말은 양념하지 않은 채로 끓였다는 뜻으로 국립국어원에서'백숙'으로 다듬었습니다.
그러나 좀 어색하죠?
그래서 어떤 분은 매운탕과 상대되는 뜻으로 맑은탕이나 싱건탕을 쓰자고 말씀하셨습니다.
백숙, 맑은탕, 싱건탕... 뭘 쓰든 지리보다는 낫습니다.
방송이 이렇게 정신을 못 차리고 있으니 여기저기서 욕을 듣죠.

저도 문제입니다.
남들 잘못은 이렇게 꼬집으면서 막상 제가 틀릴 때도 잦습니다.
어제, 그제 내드린 문제의 답을 말씀드리면서
'구죽'이 답인데 '구적'이라고 편지에 썼습니다.
잘 아시는 것처럼 우리말편지에서도 가끔, 아니 자주 실수하고요. ^^*

주말 잘 보내세요. ^^*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884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4526
756 [2009/06/02] 우리말) 죽음과 서거 id: moneyplan 2009-06-02 3268
755 [2009/06/01] 우리말) 안녕과 앞날 id: moneyplan 2009-06-01 2499
754 [2009/05/25] 우리말) 조문의 뜻풀이 id: moneyplan 2009-05-26 2678
753 [2009/05/25] 우리말) 조문과 추모 id: moneyplan 2009-05-25 2505
752 [2009/05/22] 우리말) 가리산지리산 id: moneyplan 2009-05-22 2736
751 [2009/05/21] 우리말) 이모씨 id: moneyplan 2009-05-21 2783
750 [2009/05/20] 우리말) 김과 푸서리 id: moneyplan 2009-05-20 2801
749 [2009/05/19] 우리말) 넙치와 광어 id: moneyplan 2009-05-19 2656
748 [2009/05/18] 우리말) 준말과 줄어든 말 id: moneyplan 2009-05-18 3056
747 [2009/05/16] 우리말) '아이'의 준말은 '얘'가 아니라 '애'입니다. id: moneyplan 2009-05-18 2790
746 [2009/05/15] 우리말) 프로와 아마추어 id: moneyplan 2009-05-15 2817
» [2009/05/14] 우리말) 촌지... id: moneyplan 2009-05-14 2796
744 [2009/05/13] 우리말) 얼락녹을락 id: moneyplan 2009-05-13 3086
743 [2009/05/12]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5-12 2698
742 [2009/05/11] 우리말) 얼르다와 어르다 id: moneyplan 2009-05-11 2790
741 [2009/05/06] 우리말) 삼희성과 줄탁동시 id: moneyplan 2009-05-06 2785
740 [2009/05/04] 우리말) 동무와 벗 id: moneyplan 2009-05-06 3217
739 [2009/04/30] 우리말) 예전에 보낸 편지로... id: moneyplan 2009-05-06 2749
738 [2009/04/29] 우리말) 구구단 id: moneyplan 2009-04-29 2473
737 [2009/04/28] 우리말) 팔순... id: moneyplan 2009-04-28 3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