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5/11] 우리말) 얼르다와 어르다

조회 수 2789 추천 수 87 2009.05.11 09:33:55
'얼르다'는 낱말은 없습니다. '어르다'가 맞습니다.
쓰임이 '얼러', '어르니'처럼 되니까 많은 분이 헷갈리시나 봅니다.
따라서,
그는 우는 아이를 '얼러' 보았다는 맞고,
'대표직 자리를 내놓으라고 얼르기도 하고'는 '대표직 자리를 내놓으라고 어르기도 하고'로 써야 바릅니다.



안녕하세요.

주말 잘 보내셨나요?
오랜만에, 나흘 만에 편지를 보내니 글을 쓰는 손길이 조금 어색하네요.
실은 이런 게 두려워 되도록 거르지 않고 편지를 쓰려고 합니다.
하루만 쉬어도 다음에 편지 쓰기가 귀찮아지거든요. 저는 저를 조금 압니다. ^^*

어젯밤 연속극 천추태후에서 잔망스럽다는 낱말이 나왔습니다.
천추태후가 중전에게
"잔망스럽던 제 얘기는 잊어주십시오."라고 말했습니다.
'잔망스럽다'는 "보기에 태도나 행동이 자질구레하고 가벼운 데가 있다."는 뜻입니다.
멋진 우리말이라서 소개합니다.

오늘 아침 국민일보에 '동 이름이 뭐길래'라는 꼭지의 기사가 나왔습니다.
'까닭'을 나타내는 어미는 '-기에'가 표준형입니다.
'-길래'를 '-기에'의 변이형태로 보기도 하지만 현대 문법에서는 '길래'가 아니라 '기에'를 표준으로 봅니다.
'사랑이 뭐길래'가 아니라 '사랑이 뭐기에'가 맞고,
'동 이름이 뭐길래'가 아니라 '동 이름이 뭐기에'가 맞습니다.


지난 주말에는 구례에 다녀왔습니다.
애들과 기차로 다녀왔는데 워낙 먼 거리다 보니 애들은 주니가 나는지 지루함을 견디기 힘들어하더군요.
(주니 : 몹시 지루함을 느끼는 싫증)

아내가 기차에 있는 노래방도 데리고 가고,
과자를 사주면서 달래기도 하고 어르기도 하면서 잘 다녀왔습니다.

흔히 어떤 일을 하도록 사람을 구슬리는 것을 두고 '얼르다'고 합니다.
그는 우는 아이를 얼러 보았다, 그는 대표직 자리를 내놓으라고 얼르기도 하고 협박하기도 했다처럼 쓰시는데요.
실은 '얼르다'는 낱말은 없습니다. '어르다'가 맞습니다.
쓰임이 '얼러', '어르니'처럼 되니까 많은 분이 헷갈리시나 봅니다.
따라서,
그는 우는 아이를 '얼러' 보았다는 맞고,
'대표직 자리를 내놓으라고 얼르기도 하고'는 '대표직 자리를 내놓으라고 어르기도 하고'로 써야 바릅니다.
애들이 어리다 보니 어르며 먼 길을 다녀오기가 무척 힘들었습니다. ^^*

내일은 오랜만에 문제를 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지난주, 이번 주, 다음 주]

안녕하세요.

주말 잘 쉬셨나요?

지난주에 잘 쉬셨어야, 이번주에 열심히 일하실 수 있고, 그래야 다음주에 또 노실 수 있는데...^^*

우리말에서 띄어쓰기가 어렵다는 분이 참 많으십니다.
제가 생각해도 어렵습니다.
원칙이 있기는 하지만 예외가 많아서 그러지 싶습니다.

앞에서 지난주, 이번주, 다음주를 썼는데요.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지난주'는 붙여 쓰고, '이번 주'와 '다음 주'는 띄어 써야 합니다.
'지난주'만 한 단어로 보고 사전에 올렸으므로 그 낱말은 붙여 쓰고,
'이번 주'와 '다음 주'는 한 단어로 보지 않아 사전에 올리지 않았으므로 띄어 써야 합니다.
쉽게 받아들이실 수 있나요?

한글학회에서 만든 우리말큰사전을 뒤져보면,
'지난주'와 '다음주'는 한 낱말로 봐서 사전에 올렸습니다. 붙여 써야 하는 거죠.
그러나 '이번 주'는 한 낱말로 보지 않았습니다. 띄어 써야 합니다.
이것은 받아들이실 수 있나요?

띄어쓰기 이야기할 때,
한 단어로 인정받아 사전에 올라 있으면 붙여 쓰고 그렇지 않으면 띄어 쓰라고 합니다.
저도 그렇게 말씀드립니다.
그럼, 띄어쓰기를 잘하려면 사전을 다 외워야 하나요? 그래요?

소나무 잎인 '솔잎'은 붙여 쓰고,
단풍나무 잎인 '단풍잎'도 붙여 쓰는데,
은행나무 잎인 '은행 잎'은 왜 띄어 쓰죠?
학자들이 사전에 올리지 않아서 띄어 써야 한다고요?

그래서 '어제저녁'은 붙여 쓰면서
'오늘 저녁'과 '내일 저녁'은 띄어 쓰나요? 그래요?
누가 시원하게 말씀 좀 해 주세요~~~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882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4521
756 [2009/06/02] 우리말) 죽음과 서거 id: moneyplan 2009-06-02 3267
755 [2009/06/01] 우리말) 안녕과 앞날 id: moneyplan 2009-06-01 2498
754 [2009/05/25] 우리말) 조문의 뜻풀이 id: moneyplan 2009-05-26 2678
753 [2009/05/25] 우리말) 조문과 추모 id: moneyplan 2009-05-25 2505
752 [2009/05/22] 우리말) 가리산지리산 id: moneyplan 2009-05-22 2736
751 [2009/05/21] 우리말) 이모씨 id: moneyplan 2009-05-21 2783
750 [2009/05/20] 우리말) 김과 푸서리 id: moneyplan 2009-05-20 2801
749 [2009/05/19] 우리말) 넙치와 광어 id: moneyplan 2009-05-19 2656
748 [2009/05/18] 우리말) 준말과 줄어든 말 id: moneyplan 2009-05-18 3056
747 [2009/05/16] 우리말) '아이'의 준말은 '얘'가 아니라 '애'입니다. id: moneyplan 2009-05-18 2790
746 [2009/05/15] 우리말) 프로와 아마추어 id: moneyplan 2009-05-15 2817
745 [2009/05/14] 우리말) 촌지... id: moneyplan 2009-05-14 2796
744 [2009/05/13] 우리말) 얼락녹을락 id: moneyplan 2009-05-13 3086
743 [2009/05/12]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5-12 2698
» [2009/05/11] 우리말) 얼르다와 어르다 id: moneyplan 2009-05-11 2789
741 [2009/05/06] 우리말) 삼희성과 줄탁동시 id: moneyplan 2009-05-06 2785
740 [2009/05/04] 우리말) 동무와 벗 id: moneyplan 2009-05-06 3217
739 [2009/04/30] 우리말) 예전에 보낸 편지로... id: moneyplan 2009-05-06 2749
738 [2009/04/29] 우리말) 구구단 id: moneyplan 2009-04-29 2473
737 [2009/04/28] 우리말) 팔순... id: moneyplan 2009-04-28 3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