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4/06] 우리말) 로켓과 로케트

조회 수 2458 추천 수 104 2009.04.06 10:17:21
오늘 이야기는 정치 이야기가 아닙니다.
rocket을 우리말로 적을 때 '로켓'으로 적어야 하는지 '로케트'로 적어야 하는지를 이야기하는 겁니다.


안녕하십니까?

어제 북한에서 로켓을 쐈네요.

오늘 이야기는 정치 이야기가 아닙니다.
rocket을 우리말로 적을 때 '로켓'으로 적어야 하는지 '로케트'로 적어야 하는지를 이야기하는 겁니다.

먼저 우리는 로켓이라 적고 북한은 로케트라고 적습니다.
우리는 짧은 모음 다음의 어말 무성 파열음([p], [t], [k])은 받침으로 적는다는 규정에 따라
로봇(robot), 로켓(rocket), 라켓(racket)으로 씁니다.

좀더 들어가 보면,
외래어 표기에서 영어의 표기는 그 단어의 철자가 아닌 발음에 따라 적습니다.
그 발음을 국제음성기호에 맞춘 한글대조표에 따라 적습니다.
우리 맞춤법에 짧은 모음 다음의 어말 무성 파열음([p], [t], [k])은 받침으로 적는다는 규정이 있습니다.
보기를 들어보면,
'robot'의 '-bot'에 있는 'o'는 짧은 모음으로 발음되기 때문에
그 뒤에 오는 무성 파열음으로 발음되는 자음 't'를 받침으로 적으라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서 'robot'의 't'는 '으'를 붙여 '로보트'와 같이 적는 것이 아니라,
'로봇'과 같이 받침에 적는 것입니다.
(관련 규정 : <외래어 표기법> 제3장 표기 세칙, 제1절 영어의 표기, 제1항)
로켓과 라켓도 같습니다.

다시 말씀드립니다.
오늘 이야기는 정치 이야기가 아닙니다.
rocket을 우리말로 적을 때 '로켓'으로 적어야 하는지 '로케트'로 적어야 하는지를 이야기하는 겁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귀 이야기]

안녕하세요.

주말 잘 보내셨죠?
지난번에 낸 문제 답은 '텡쇠'입니다.
답을 보내주신 분께 오늘 선물을 보내드리겠습니다.

오늘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귀에서 무슨 소리가 나더군요.
아마도 귀에 때가 많이 끼었나 봅니다. ^^*

흔히,
귓구멍 속에 낀 때를 보고 귓밥이라고 합니다. 귓밥 판다고 하죠.
그러나 그것은 귓밥이 아니라 '귀지'가 맞습니다.

'귓밥'은
"귓바퀴의 아래쪽에 붙어 있는 살."을 뜻합니다.
그 살을 파버리면 안 되겠죠. ^^*

우리가 보는 귀,
연한 뼈로 쭈그러져 있으며,
밖에서 들려오는 소리를 귓구멍으로 들어가기 쉽게 하는 부분을 '귓바퀴'라고 합니다.
그 귓바퀴의 뒤쪽을 귓등이라 하지만, 그 앞쪽을 귓배라고 하지는 않습니다.
귀의 가장자리는 '귓가'나 '귓전'이라고 합니다.
귀의 바깥쪽으로,
귓바퀴와 바깥귀길로 이루어져 있어 고막과 가운데귀를 보호하며, 음향을 받아 귀청에 전하는 부분은 '바깥귀'입니다.
"귓구멍 어귀로부터 고막에 이르는 'S' 자 모양의 관"은 '바깥귀길'이라고 합니다.
귓문은 귓구멍의 바깥쪽으로 열려 있는 곳이고,
귀나 그 언저리에 젖꼭지 모양으로 볼록 나온 군살은 귀젖이라고 합니다.
고막이라고 하는 '귀청'은 "귓구멍 안쪽에 있는 막"입니다.

좀 많은가요? ^^*

월요일 아침부터 좀 웃고 가죠.
사람 몸에는 젖이 세 가지가 있습니다.
"목구멍의 안쪽 뒤 끝에 위에서부터 아래로 내민 둥그스름한 살"은 '목젖'이고,
앞에서 말한 "귀나 그 언저리에 젖꼭지 모양으로 볼록 나온 군살"은 '귀젖'이고,
나머지 하나는 잘 아는 진짜 젖(?)입니다.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웃으면 복이온다잖아요.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38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105
736 [2009/04/27] 우리말) 삼천리강산 id: moneyplan 2009-04-27 2423
735 [2009/04/24] 우리말) 탈크와 탤크, 그리고 식약청 답변 id: moneyplan 2009-04-24 2287
734 [2009/04/21] 우리말) 밥힘과 밥심 id: moneyplan 2009-04-24 3204
733 [2009/04/20] 우리말) 탈크와 탤크 id: moneyplan 2009-04-20 3068
732 [2009/04/17] 우리말) 끌끌하다와 깔깔하다 id: moneyplan 2009-04-17 2682
731 [2009/04/16]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04-16 2291
730 [2009/04/15] 우리말) 수화와 손짓말 id: moneyplan 2009-04-15 2488
729 [2009/04/14] 우리말) 어정잡이 id: moneyplan 2009-04-14 2405
728 [2009/04/13] 우리말) 헛으로와 허투루 id: moneyplan 2009-04-13 6970
727 [2009/04/10] 우리말) 파렴치와 몰염치 id: moneyplan 2009-04-10 2352
726 [2009/04/09] 우리말) 만두 사리 id: moneyplan 2009-04-10 2925
725 [2009/04/08] 우리말) 해님과 햇님 id: moneyplan 2009-04-08 2366
724 [2009/04/07] 우리말) 속는 셈 치다 id: moneyplan 2009-04-07 3290
» [2009/04/06] 우리말) 로켓과 로케트 id: moneyplan 2009-04-06 2458
722 [2009/04/03] 우리말) 한자 읽기 id: moneyplan 2009-04-03 2707
721 [2009/04/02] 우리말) 예전 편지만 붙입니다. id: moneyplan 2009-04-02 2481
720 [2009/04/01] 우리말) 밖에 id: moneyplan 2009-04-01 2361
719 [2009/03/31] 우리말) 꾀와 꽤 id: moneyplan 2009-03-31 5660
718 [2009/03/30] 우리말) 서머하다 id: moneyplan 2009-03-30 2345
717 [2009/03/27] 우리말) 오늘은 예전에 보낸 편지로... id: moneyplan 2009-03-27 2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