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1/19] 우리말) 엉터리 자막 몇 개

조회 수 3199 추천 수 62 2009.01.19 11:24:37
오늘도 주말에 본 텔레비전에서 찾은 엉터리 자막 몇 개 소개할게요.


안녕하세요.

오늘도 주말에 본 텔레비전에서 찾은 엉터리 자막 몇 개 소개할게요.

금요일 밤 10:46, MBC에서 '엑기스'라고 했습니다.
뽑아내다는 뜻의 extract를 일본말 투로 소리를 낸겁니다.
'진액'으로 다듬어서 쓰라고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나와 있습니다.

토요일 아침 8:24, KBS1에서 '오케바리'라고 했습니다.
오케이(OK)를 일본어투로 읽은 것이라고도 하고,
'결정했어'라는 뜻의 일본말 お決(おきまり, 오키마리)에서 왔다고도 합니다.
'좋아'나 '아주 좋아'라고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토요일 아침 8:30, KBS2에서 '땡땡이 무늬'라고 했습니다.
땡땡(ててん)은 점점(点点)의 일본소리로,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모양, 물방울이 떨어진 모양"이라는 뜻입니다.
우리말이 아닙니다.
여기에 어울리는 우리말은,
'물방울무늬'나, '점박이 무늬'입니다.

토요일 아침 8:51, MBC에서 인터뷰하면서 출연자가 자기 남편을 '아빠'라고 했습니다.
인터뷰하신 분이 잘못하신 것이지만, 방송국에서는 그 말을 내보내지 않거나, 인터뷰를 다시 하는 게 옳다고 봅니다.

토요일 저녁 7:05, KBS2에서 '잉꼬부부'라고 했습니다.
잉꼬는 鸚哥를 일본에서 いんこ라 쓰고[잉고]라 읽는 데서 왔습니다.
'원앙 부부'라고 하는 게 좋습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도 잉꼬부부를 '원앙 부부'로 다듬어서 쓰라고 나와 있습니다.

토요일 저녁 7:47, SBS에서 '제 3탄'이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샘씨(수사) 앞에 붙어 "그 숫자에 해당하는 차례"를 뜻하는 '제(第)'는 앞가지(접두사)이니 다음에 오는 낱말과 붙여써야 바릅니다.

일요일 아침 7:46, MBC에서 '뇌두'라고 했습니다.
"인삼, 도라지, 더덕 따위의 뿌리에서 싹이 나오는 대가리 부분"은 노두(蘆頭)입니다.

일요일 아침 8:39, MBC에서 '깜짝 놀랬잖아'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놀랐잖아'가 맞습니다.

일요일 아침 8:46, MBC에서 '피로회복'이라는 말을 했는데, "원기회복과 피로회복에 좋다."고 말했습니다.
원기회복과 피로회복은 정 반대의 말인데 어떻게 같이 좋을 수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오늘 편지를 쓰면서 궁금한 게 하나 있습니다.
방송국에는 문서편집기인 hwp하나도 없나 봅니다.
hwp에서 글을 쓰다 보면 엉터리 맞춤법은 거의 다 빨간 줄이 나오는데...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 입니다.







[몹쓸/못쓸/못 쓸]

안녕하세요.

또 비가오네요. 제발...

이런 와중에 강원도 수해지역에서,
말리려고 내 놓은 살림을 가져가는 사람이 있다는군요.
정말 해도 너무합니다.
그런 몹쓸 짓을 하는 나쁜 사람을 혼내줄 방법 없나요?

남에게 고약한 말이나 행동을 할 경우
흔히 "못쓸 말을 했다" "못쓸 짓을 했다" 등과 같이 '못쓸'이라고 하는데요.
이런 경우 '못쓸'은 '몹쓸'이라고 해야 맞습니다.

오늘은,
'몹쓸, 못쓸, 못 쓸'을 갈라볼게요.

먼저, '몹쓸'은,
"악독하고 고약한"이라는 뜻으로,
몹쓸 것, 몹쓸 놈, 몹쓸 말, 몹쓸 병, 몹쓸 사람, 몹쓸 짓,
술에 취해 아이에게 몹쓸 소리를 마구 해대고 말았다,
사랑이란 몹쓸 병에 걸렸다처럼 씁니다.

'못쓰다'는,
(주로 '못쓰게' 꼴로 쓰여)"얼굴이나 몸이 축나다"는 뜻입니다.
얼굴이 못쓰게 상하다, 그는 병으로 하루하루 못쓰게 돼 갔다처럼 쓰죠.
또 다른 뜻으로는,
(주로 '-으면', '-어서'와 함께 쓰여)
"옳지 않다. 또는 바람직한 상태가 아니다."는 뜻입니다.
거짓말을 하면 못써, 무엇이든 지나치면 못쓴다, 그는 너무 게을러서 못쓰겠다처럼 쓰죠.

따라서,
수해지역에서 말리려고 내 놓은 살림을 가져간 나쁜 사람들은,
못쓸 행동을 한 게 아니라,
몹쓸 행동은 한 것이고,
그런 사람은,
못쓸 사람이 아니라,
몹쓸 사람입니다.

나간 김에 조금 더 나가보면,
'못쓰다'와 '못 쓰다'의 다른점도 아셔야 합니다.

'못 쓰다'는,
'쓰다'에 부정문을 만드는 부사 '못'이 온 것으로,
냉장고를 못 쓰게 되었다, 못 쓰는 물건은 버려라처럼,
"사용하지 못하다"는 뜻입니다.

정리하면,
'몹쓸'은, "악독하고 고약한"이라는 뜻이고,
'못쓰다'는 "얼굴이나 몸이 축나다"는 뜻이며,
'못 쓰다'는 "(물건을) 사용하지 못하다"는 뜻입니다.

가르실 수 있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758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3225
676 [2009/01/30] 우리말) 예탐과 여탐 id: moneyplan 2009-01-30 2587
675 [2009/01/29] 우리말) 높임말 id: moneyplan 2009-01-29 2638
674 [2009/01/28] 우리말) 시난고난 id: moneyplan 2009-01-28 2813
673 [2009/01/23] 우리말) 어영부영 id: moneyplan 2009-01-23 3027
672 [2009/01/22] 우리말) 띠동갑 id: moneyplan 2009-01-22 2795
671 [2009/01/21] 우리말) 뚱딴지 id: moneyplan 2009-01-21 2768
670 [2009/01/20] 우리말) 쾨쾨하다와 쾌쾌하다 id: moneyplan 2009-01-20 2971
» [2009/01/19] 우리말) 엉터리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01-19 3199
668 [2009/01/16] 우리말) 한올지다 id: moneyplan 2009-01-16 4474
667 [2009/01/15] 우리말) 풋낯과 풋인사 id: moneyplan 2009-01-15 3015
666 [2009/01/14] 우리말) 짜집기와 짜깁기 id: moneyplan 2009-01-14 2639
665 [2009/01/13]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1-13 2750
664 [2009/01/12]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01-12 2821
663 [2009/01/10] 우리말) 어제 낸 문제 답은 워낭입니다 id: moneyplan 2009-01-10 2753
662 [2009/01/09]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1-09 2461
661 [2009/01/08] 우리말) 정한수와 정화수 id: moneyplan 2009-01-08 2725
660 [2009/01/07] 우리말) 흐지부지 [1] id: moneyplan 2009-01-07 2455
659 [2009/01/06] 우리말) 올해와 올여름 id: moneyplan 2009-01-06 2776
658 [2009/01/05] 우리말) 올겨울과 이번 겨울 id: moneyplan 2009-01-05 2839
657 [2009/01/02] 우리말) 고드름장아찌 id: moneyplan 2009-01-02 2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