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1/12]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조회 수 2847 추천 수 96 2009.01.12 11:16:23
나이가 많지 않은 어린이나 젖먹이는 '아기'이고 아기의 줄임말이 '애'입니다.
'애기'라는 낱말은 대한민국 국어사전에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주말 잘 보내셨나요?
저는 지난 토요일 화천에 다녀왔습니다.
9시에 산천에 잡는데 가지 온도가 영하 15도이더군요.
그곳에서 애들과 재밌게 놀다 왔습니다. ^^*

아침에 뉴스를 들으니,
올겨울 들어 가장 추운 날씨에 강추위라는 말이 많이 나오네요.
여러분은 올겨울과 이번 겨울을 가르실 수 있고, 강추위가 무슨 뜻인지도 다 아시죠?
우리말 사랑은 관심이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하루에 하나씩 함께 익혀가자고요. ^^*

어제 일요일 아침에 집에서 늦잠자면서 잠자리에서 텔레비전을 켰더니 역시나 엉터리 자막이 쏟아지더군요.

8:08, MBC에서 '애기'라고 이야기 했습니다.
나이가 많지 않은 어린이나 젖먹이는 '아기'이고 아기의 줄임말이 '애'입니다.
'애기'라는 낱말은 대한민국 국어사전에 없습니다.

8:57, MBC에서 '제 2단계'와 '제 3단계'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수사 앞에 붙어 '그 숫자에 해당하는 차례'를 의미하는 '제(第)'는 앞가지(접두사)이므로 뒷말과 붙여써야 바릅니다.
제2단계, 제3단계라고 해야 합니다.

9:09, MBC에서 '이 자리를 빌어서'라고 말하고 자막도 그렇게 나왔습니다.
'빌다'와 '빌리다'는 뜻이 다릅니다.
빌다는 잘못을 용서하여 달라고 호소하다나 바라는 바를 이루게 하여 달라고 신이나 사람, 사물 따위에 간청하다는 뜻이고,
빌리다는 "남의 물건이나 돈 따위를 나중에 도로 돌려주거나 대가를 갚기로 하고 얼마 동안 쓰다."는 뜻과
"일정한 형식이나 이론, 또는 남의 말이나 글 따위를 취하여 따르다."는 뜻이 있습니다.
성인의 말씀을 빌려 설교하다, 그는 수필이라는 형식을 빌려 자기의 속 이야기를 풀어 갔다, 신문에서는 이 사건을 고위 관리들의 말을 빌려 보도했다처럼 씁니다.
따라서 '이 자리를 빌어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도
따라서 '이 자리를 빌려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라고 써야 바릅니다.

오늘 아침 7:46, SBS에서 외국사람이 "Very cold"하자 이를 '많이 추워요'라고 번역해서 자막에 내 보냈습니다.
추위나 더위의 정도를 나타내는 어찌씨(부사)는 '상당히' 나 '꽤'를 써야 바릅니다.

어제 바람이 무척 심하게 불더군요. 그래서 더 추웠나 봅니다.
이 바람과 관련하여 내일도 문제를 내겠습니다.
곧 선물이 올 테니 있을 때 많이 나눠드려야죠. ^^*
내일은 칼바람과 관련된 문제를 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 입니다.






[매조지하다 ==>> 매조지다]

이제 비가 그쳤네요.
힘없는 우리가
자연 앞에 감히 맞설 수 없기에 어쩔 수 없이 당하는 천재지만,
뒷정리와 마무리를 잘해 다음에는 이런 큰 피해가 없도록 잘 매조져야겠습니다.

오늘은 '매조지다'를 소개드릴게요.
가끔은 들어보시고, 쓰시는 분도 계시는데요.
잘못 쓰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의 끝을 단단히 단속하여 마무리하다"는 뜻의 낱말은,
명사 '매조지'입니다.
이 낱말의 동사형은,
'매조지하다'가 아니라 '매조지다'죠.
따라서,
'매조지니, 매조지어'처럼 활용하므로,
'매조지하니, 매조지하여'로 쓰면 틀립니다.

명사 뒤에 '-하다'가 아닌 '-다'가 붙어 동사가 되는 꼴의 말은,
누비다, 빗다, 신다, 품다 따위가 있습니다.
전국을 누비고다녔다고 해야지,
전국을 누비하고다녔다고 하면 말이 안 되잖아요.
임을 품어야지, 품하면 안 되고,
머리를 빗고 나가야지, 머리를 빗하고 나가면 안 되겠죠?

가끔 신문에 나는,
'마무리 아무개를 등판시켜 경기를 매조지했다'나
'성공적으로 첫 등판을 매조지했다'는 틀린겁니다.
경기를 매조졌다, 등판을 매조졌다고 해야 맞습니다.

'삼가다'도 비슷한 경우입니다.
그 기본형이,
'삼가하다'가 아니라 '삼가다'이므로,
'담배를 삼가해주세요.'는 틀리고,
'담배를 삼가주세요.'가 맞는 거죠.

아무쪼록,
이번 피해를 잘 매조지어, << 동사 쓰임
(매조지를 단단히 하여,) << 명사 쓰임
아픈 사람들의 시름을 달래고,
다시는 이런 큰 피해가 없도록 대비를 잘 해야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802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3661
676 [2009/01/30] 우리말) 예탐과 여탐 id: moneyplan 2009-01-30 2607
675 [2009/01/29] 우리말) 높임말 id: moneyplan 2009-01-29 2655
674 [2009/01/28] 우리말) 시난고난 id: moneyplan 2009-01-28 2829
673 [2009/01/23] 우리말) 어영부영 id: moneyplan 2009-01-23 3041
672 [2009/01/22] 우리말) 띠동갑 id: moneyplan 2009-01-22 2814
671 [2009/01/21] 우리말) 뚱딴지 id: moneyplan 2009-01-21 2786
670 [2009/01/20] 우리말) 쾨쾨하다와 쾌쾌하다 id: moneyplan 2009-01-20 2984
669 [2009/01/19] 우리말) 엉터리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01-19 3211
668 [2009/01/16] 우리말) 한올지다 id: moneyplan 2009-01-16 4478
667 [2009/01/15] 우리말) 풋낯과 풋인사 id: moneyplan 2009-01-15 3032
666 [2009/01/14] 우리말) 짜집기와 짜깁기 id: moneyplan 2009-01-14 2654
665 [2009/01/13]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1-13 2762
» [2009/01/12]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01-12 2847
663 [2009/01/10] 우리말) 어제 낸 문제 답은 워낭입니다 id: moneyplan 2009-01-10 2764
662 [2009/01/09]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1-09 2475
661 [2009/01/08] 우리말) 정한수와 정화수 id: moneyplan 2009-01-08 2733
660 [2009/01/07] 우리말) 흐지부지 [1] id: moneyplan 2009-01-07 2467
659 [2009/01/06] 우리말) 올해와 올여름 id: moneyplan 2009-01-06 2788
658 [2009/01/05] 우리말) 올겨울과 이번 겨울 id: moneyplan 2009-01-05 2856
657 [2009/01/02] 우리말) 고드름장아찌 id: moneyplan 2009-01-02 2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