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낸 문제 답은 '워낭'입니다.
문제를 맞히신 분께 갈피표를 보내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낸 문제 답은 '워낭'입니다.
문제를 맞히신 분께 갈피표를 보내드리겠습니다.
실은 이번에 갈피표 천 개를 주문했는데 아직 받지 못했습니다. 다음 주 초에 갈피표가 오면 바로 보내드리겠습니다.
이번에 만든 것까지 갈피표를 모두 4천 개나 만들었습니다. 그런데도 아직 갈피표 구경 못하신 분이 계시죠?
되도록 자주 문제를 내서 선물을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제 주머니 사정이 허락하는 한... ^^*

오늘은 토요일입니다.
우리말 편지가 아닌 쓸데없는 이야기나 좀 할게요.

1. 갈피표를 제 돈으로 만드느냐고 물으시는 분이 많으십니다.
  예, 제 용돈으로 만듭니다. 어느 누구의 도움도 받지 않고 제 용돈 모아서 만듭니다.

2. 저는 오늘 화천산천어축제에 갑니다. '축제'라는 낱말은 맘에 안 들지만 애들에게는 재밌는 추억이 될 것 같아 지금 막 떠나려던 참입니다.

3. 그래도 우리말편지인데 우리말 이야기는 좀 하고 마무리해야겠죠?  ^^*
- 제가 가장 좋아하는 우리말은? 마중물(펌프에서 물이 잘 나오지 아니할 때 물을 끌어 올리기 위하여 위에서 붓는 물)
  여러분의 마음속 깊은 곳에 있는 우리말을 사랑하는 뜨거운 마음을 밖으로 끄집어내는 마중물이 되고 싶습니다.
- 사전에 없는 말 가운데 꼭 살려 쓰고 싶은 말은? 살사리꽃(코스모스꽃)
  가을바람에 살랑거리는 꽃이 떠오르지 않나요? ^^*
- 없어져서 안타까운 낱말은? 새한마높
  동서남북에 해당하는 우리말이 새한마높입니다.
  동풍은 샛바람이고, 서풍은 하늬바람이며, 남풍은 마파람, 북동풍은 높새바람입니다.
- 사전에서 빼버리고 싶은 낱말은? 낭만
  낭만은 영어 romance를 일본 사람들이 소리 나는 대로 '浪漫'이라고 쓰고, 'ろうまん[로우망]'이라고 읽습니다.
  그걸 가져다 우리가 '낭만'이라고 하는 겁니다.
- 사람 이름으로 쓰기에 좋은 낱말은? 윤슬
  "햇빛이나 달빛에 비치어 반짝이는 잔물결"이라는 뜻으로 뜻도 좋고, 부르기도 좋은 것 같아 추천합니다.  
- 이 낱말만 생각하면 눈물이 난다. 그 낱말은? 치사랑
  내리사랑은 손윗사람이 손아랫사람을 사랑하는 것이고, 치사랑은 손아랫사람이 손윗사람을 사랑하는 것입니다.
  아무 조건 없이 제가 내리사랑을 주시는 어머니가 생각나고, 하지 못하는 치사랑이 생각하서 안타까운 마음에 눈시울이 뜨거워집니다.
- 싫어하는 낱말은? 걸태질
  "염치나 체면을 차리지 않고 재물 따위를 마구 긁어모으는 짓"이라는 뜻으로 뜻도 더럽고 소리도 더러워서 싫어합니다.

이제 정리하고 화천에나 가야겠네요.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 입니다.






[저는 바사기입니다]

제가 요즘 제정신이 아닌가 봅니다.
이번 비로 넋이 나간 사람은 따로 있는데,
제가 왜 이러는지 모르겠습니다.

강수량 단위 'mm'를 'ml'라고 하지 않나,
'연평균'을 '년평균'이라고 하지 않아,
급기야 어제는,
'숟가락'을 '숫가락'이라고 하고...

머리는 못 따라가는데,
많은 일을 처리하다 보니 이렇게 어리바리, 어리어리하고 있습니다.
바로 이런 저를 두고 하는 말이 있습니다.
바보, 멍청이......
'사람과 쪽박은 있는 대로 쓴다'는데...저는 어디에서 쓰일 수 있을지...

오늘은 저 같은 사람을 두고 하는 우리말을 소개드립니다.
이것으로 요즘 저의 잘못을 조금이나마 대신하고자합니다.

바보, 멍청이를 뜻하는 순 우리말은,
개돼지 : 미련하고 못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내초 : 은어로, '바보'를 이르는 말
득보기 : 몹시 못난 사람을 이르는 말
맹꽁이 : 야무지지 못하고 말이나 하는 짓이 답답한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맹추 : 똑똑하지 못하고 흐리멍덩한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머저리 : 어리보기
먹통 : '멍청이'를 놀림조로 이르는 말
멀건이 : 정신이 흐리멍덩한 사람
멍청이 : 아둔하고 어리석은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멍추 : 기억력이 부족하고 매우 흐리멍덩한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멍텅구리 : 멍청이
못난이 : 못나고 어리석은 사람
바보 : 지능이 부족하여 정상적으로 판단하지 못하는 사람
바사기 : 사물에 어두워 아는 것이 없고 똑똑하지 못한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밥통 : 밥만 축내고 제구실도 못하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방퉁이 : '바보'를 낮잡아 이르는 말
백치 : 천치
부기 : 세상사에 어둡고 사람의 마음을 모르는 어리석은 사람
북숭이 : 부기
쑥 : 너무 순진하거나 어리석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아둔망태 : ‘아둔패기’의 잘못
아둔패기 : 아둔한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어리보기 : 말이나 행동이 다부지지 못하고 어리석은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얼간이 : 됨됨이가 변변하지 못하고 덜된 사람
얼뜨기 : 겁이 많고 어리석으며 다부지지 못하여 어수룩하고 얼빠져 보이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인숭무레기 : 어리석어 사리를 분별할 능력이 없는 사람
제웅 : 분수를 모르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째마리 : 사람이나 물건 가운데서 가장 못된 찌꺼기
칠뜨기 : '칠삭둥이'를 낮잡아 이르는 말
칠삭둥이(七朔-) : 조금 모자라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칠푼이 : 칠삭둥이
팔삭동이(八朔-) : ‘팔삭둥이’의 잘못
팔삭둥이 : 똑똑하지 못한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가 있습니다.

한자로는,
돈어(豚魚) : 미련하고 못생긴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등상(等像) : 등신(等神)
등신(等神) : 몹시 어리석은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만황씨(萬黃氏) : 못나고 어리석은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목우인(木愚人) : 아무 재주나 능력이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반병신(半病身) : 반편이
반편이(半偏-) : 지능이 보통 사람보다 모자라는 사람
병신(病身) : 모자라는 행동을 하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상우(上愚) : 어리석지는 않으나 한쪽으로 치우친 의견을 가져 미련함을 면하지 못하는 사람
숙맥(菽麥) : 숙맥불변
숙맥불변(菽麥不辨) : 사리 분별을 못하는 모자라고 어리석은 사람을 이르는 말
우물(愚物) ; 어리석은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우부(愚夫) : 어리석은 남자
우인(愚人) : 어리석은 사람
우자(愚者) : 어리석은 자.
주우(朱愚) : 바보. 지혜나 꾀가 없고 어리석음
죽반승(粥飯僧) : 죽과 밥만 많이 먹는 중이라는 뜻으로, 무능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천치(天癡) : 백치
치인(癡人) ; 어리석고 못난 사람
팔불용(八不用) : 팔불출
팔불출(八不出) : 몹시 어리석은 사람을 이르는 말
팔불취(八不取) : 팔불출
따위가 있습니다.

오늘은 저에 대해서 너무 많이 아시네요.

우리말123

보태기)
'병신'은,
"신체의 어느 부분이 온전하지 못한 사람"이라는 뜻과,
"모자라는 행동을 하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어느 부분을 갖추지 못한 물건"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오늘 편지는,
신체 일부분이 온전치 못한 분을 깔보려고 보낸 게 아니라,
'바보'와 같은 뜻도 있다는 것을 보이려고 보낸 겁니다.
절대 몸이 불편하신 분을 얕잡아 보고 보낸 게 아니라는 것을 말씀드립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770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3369
676 [2009/01/30] 우리말) 예탐과 여탐 id: moneyplan 2009-01-30 2593
675 [2009/01/29] 우리말) 높임말 id: moneyplan 2009-01-29 2642
674 [2009/01/28] 우리말) 시난고난 id: moneyplan 2009-01-28 2819
673 [2009/01/23] 우리말) 어영부영 id: moneyplan 2009-01-23 3032
672 [2009/01/22] 우리말) 띠동갑 id: moneyplan 2009-01-22 2802
671 [2009/01/21] 우리말) 뚱딴지 id: moneyplan 2009-01-21 2780
670 [2009/01/20] 우리말) 쾨쾨하다와 쾌쾌하다 id: moneyplan 2009-01-20 2979
669 [2009/01/19] 우리말) 엉터리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01-19 3202
668 [2009/01/16] 우리말) 한올지다 id: moneyplan 2009-01-16 4474
667 [2009/01/15] 우리말) 풋낯과 풋인사 id: moneyplan 2009-01-15 3023
666 [2009/01/14] 우리말) 짜집기와 짜깁기 id: moneyplan 2009-01-14 2643
665 [2009/01/13]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1-13 2756
664 [2009/01/12]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01-12 2838
» [2009/01/10] 우리말) 어제 낸 문제 답은 워낭입니다 id: moneyplan 2009-01-10 2754
662 [2009/01/09]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1-09 2462
661 [2009/01/08] 우리말) 정한수와 정화수 id: moneyplan 2009-01-08 2726
660 [2009/01/07] 우리말) 흐지부지 [1] id: moneyplan 2009-01-07 2458
659 [2009/01/06] 우리말) 올해와 올여름 id: moneyplan 2009-01-06 2776
658 [2009/01/05] 우리말) 올겨울과 이번 겨울 id: moneyplan 2009-01-05 2851
657 [2009/01/02] 우리말) 고드름장아찌 id: moneyplan 2009-01-02 2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