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1/07] 우리말) 안스럽다와 안쓰럽다

조회 수 4338 추천 수 175 2008.11.07 11:38:08
'안쓰럽다'는 낱말이 있습니다.
"손아랫사람이나 약자의 딱한 형편이 마음에 언짢고 가엾다."는 뜻입니다.
흔히 안스럽다로 잘못 쓰기도 하지만,
안쓰럽다는 '안 스럽다'가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오늘 아침도 여기저기서 터지는 폭탄 제거하느라 이제야 자리에 앉았습니다.
왜 이렇게 사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래도 어제는 오랜만에 10시에 퇴근했습니다. 출근한 날 퇴근한 게 몇 달만인지 모르겠습니다.
그 시간에만 퇴근해도 여유가 있더군요. 무엇보다도 식구들이 아직 안 자고 있잖아요. ^^*
어제는 10시 넘어서 아내와 애들 손잡고 경기 도청 뒤에 있는 팔달산에 올라 안개 낀 화성을 걸었습니다.
바스락거리는 낙엽도 밟고, 나무 뒤에 숨어 "나 잡아 봐라~"라고 장난도 치면서 놀았습니다.
집에 돌아와서는 애들과 밤늦게까지 깔깔거리고 장난치며 놀다 늦게 잠자리에 들었습니다.
비록 새벽에 잠들었지만 아침에 상쾌하게 일어났습니다.

저는 기분이 좋아 벌떡 일어났지만 애들은 늦게 자서 그런지 못 일어나더군요.
어쩔 수 없이 애들을 깨워 해롱대는 채 차로 같이 나올 때는 무척 안쓰럽습니다.

'안쓰럽다'는 낱말이 있습니다.
"손아랫사람이나 약자의 딱한 형편이 마음에 언짢고 가엾다."는 뜻입니다.
흔히 안스럽다로 잘못 쓰기도 하지만,
안쓰럽다는 '안 스럽다'가 아닙니다.
'안쓰럽다' 자체가 하나의 낱말입니다.
복스럽다나 우스꽝스럽다처럼 어떤 낱말에 '-스럽다'가 붙은 게 아닙니다.
따라서 '안쓰럽다'고 쓰시는 게 바릅니다.

애들 이야기 쓰다 보니 애들이 보고 싶네요.
오늘도 일찍 들어가서 애들과 놀 수 있기를 빕니다.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어제 편지를 보시고 여러분이 댓글을 주셨습니다.
여러분의 뜻에 따라 될 수 있으면 편지 보내는 시간을 일정하게 맞추겠습니다.
그렇게 며칠 해 보다 제가 너무 힘들면 다시 말씀드릴게요.
편지를 쓰고 예약해 두면 힘들다기보다는 좀 딱딱할 것 같습니다. ^^*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주기/주년]

이번 주말에 고향에 갑니다.
내일이 돌아가신 아버지 제사거든요.

당신이 타고나신 복을 당신이 누리지 않으시고 자식들에게 다 주고 먼저 가신 아버지입니다.
참 깨끗하신 선비셨죠.
저만 그렇게 보는 것이 아니라 고향 마을 어르신들이 그렇게 말씀하십니다.
그런 아버지의 자식으로,
아버지가 남겨주신 복을 저희 자식들이 잘 누리고 있습니다.
그 고마운 마음을 깊게 간직하고자 저는 지금도 제 지갑에 부모님 사진을 가지고 다닙니다.

오늘은 아버지를 생각하면서 '주기'와 '주년'의 차이를 설명드릴게요.

'주기(周忌/週忌)'는,
"사람이 죽은 뒤 그 날짜가 해마다 돌아오는 횟수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내일이 바로 아버지의 십이 주기가 되는 날입니다.

'주년(周年/週年)'은,
"일 년을 단위로 돌아오는 돌을 세는 단위"입니다.
'동학 농민 운동 1백 주년, 결혼 오십 주년'처럼 쓸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주기'는 죽은 사람의 제사에만 쓸 수 있는 낱말이므로,
'결혼 5주기'라는 말은 얼토당토않은 말이고,
'결혼 5주년'이라고 쓰는 게 맞습니다.
당연히 회사 창립 10주기가 아니라, 회사 창립 10주년이 맞죠.

고향 잘 다녀올게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893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4639
616 [2008/11/10] 우리말) 농촌진흥청에 놀러오세요. ^^* id: moneyplan 2008-11-10 3013
615 [2008/11/08] 우리말) 제가 상을 받았습니다 ^^* id: moneyplan 2008-11-10 2601
» [2008/11/07] 우리말) 안스럽다와 안쓰럽다 id: moneyplan 2008-11-07 4338
613 [2008/11/06] 우리말) 관용구란? id: moneyplan 2008-11-06 5761
612 [2008/11/05] 우리말) 반보기 id: moneyplan 2008-11-05 3186
611 [2008/11/04] 우리말) 사춤 id: moneyplan 2008-11-04 3372
610 [2008/11/03] 우리말) 박물관에 다녀왔습니다 id: moneyplan 2008-11-03 3213
609 [2008/11/01] 우리말) 잊혀진 계절이 아니라 잊힌 계절 id: moneyplan 2008-11-03 3431
608 [2008/10/31] 우리말) 권커니 잣거니 id: moneyplan 2008-10-31 3317
607 [2008/10/30] 우리말) 어제 편지에 덧붙입니다 id: moneyplan 2008-10-30 2797
606 [2008/10/29] 우리말) 아다리 id: moneyplan 2008-10-29 3336
605 [2008/10/28] 우리말) 명함 만들기 id: moneyplan 2008-10-28 3299
604 [2008/10/27] 우리말) 말 줄이기 id: moneyplan 2008-10-27 2843
603 [2008/10/24] 우리말) 아침결 id: moneyplan 2008-10-24 3342
602 [2008/10/23] 우리말) 타래송곳 id: moneyplan 2008-10-23 2760
601 [2008/10/22]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0-22 3747
600 [2008/10/21] 우리말) 쌀 직불금 id: moneyplan 2008-10-21 2869
599 [2008/10/20] 우리말) 하고하다와 허구하다 id: moneyplan 2008-10-20 3456
598 [2008/10/17] 우리말) 옴니암니 id: moneyplan 2008-10-17 3433
597 [2008/10/16] 우리말) 면죄부 id: moneyplan 2008-10-16 3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