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0/31] 우리말) 권커니 잣거니

조회 수 3322 추천 수 149 2008.10.31 09:14:27
어쨌든
'권커니 잣거니'와 '권커니 잡거니'는 표준말입니다.


안녕하세요.

단비가 내리네요.
단비는 "꼭 필요한 때 알맞게 내리는 비"입니다.
우리 경제, 우리 삶에도 단비가 내리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

어제는 오랜만에 옛 동료를 만나 저녁에 한 잔 했습니다.
인사로 자리를 옮긴 지 거의 달포 만에 마련한 환송회 자리였습니다.
반가운 얼굴을 마주 보며 권커니 잣거니하다보니 시간가는 줄 모르겠더군요.

술을 남에게 권하면서 자기도 받아 마시며 계속하여 먹는 모양을 뜻할 때
권커니 잣거니라고 합니다.
권커니는 권하거니에서 왔을 것이고, 잣거니는 아마도 작(酌)에서 온 말 같습니다.
이 말이 조금 바꿔 '권커니 잡거니'라고도 합니다.
뒤에 오는 잡거니는 술잔을 잡다에서 온 것 같습니다.
어쨌든
'권커니 잣거니'와 '권커니 잡거니'는 표준말입니다.

그러나
권커니 작커니, 권커니 자커니, 권커니 잣커니는 바르지 않습니다.

사람이 말을 만들고
그 말을 자주 쓰면 사전에 올라 표준말로 대접을 받습니다.
그러나 자주 쓰는 말이라고 모두 표준말인 것은 아닙니다.
또한, 언제나 표준말만 쓰면서 살 수도 없지 싶습니다.

어제 같은 날
옛 동료와 만나 권커니 잣커니할 때는 '소주'보다는 '쐬주'가 더 어울리거든요. ^^*
비록 쐬주가 표준말은 아니지만...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충돌/추돌]

어젯밤에 차를 몰고 퇴근하는데 유난히 차가 밀리더군요.
앞차 꽁무니를 따라 슬슬 가다 보니,
차 서너 대가 추돌했더군요.
다행히 사람이 다친 것 같지는 않았습니다.

오늘은 추돌과 충돌을 설명해 드릴게요.

다 아시는 것처럼,
'충돌'은,
"서로 맞부딪치거나 맞섬"이라는 뜻이고,
'추돌'은,
"자동차나 기차 따위가 뒤에서 들이받음."이라는 뜻입니다.

'충돌(衝突)'은 찌를 충(衝) 자와 갑자기 돌(突) 자를 쓰고,
'추돌(追突) 은 쫓을 추(追) 자와 갑자기 돌(突) 자를 씁니다.

따라서,
'충돌'은 이 차는 가고 저 차는 오면서 서로 맞부딪치는 것이고,
'추돌'은 이 차와 저 차가 같은 방향으로 가면서 뒤에 가는 차가 앞에 가는 차 꽁무니를 들이받은 것을 말합니다.

어제 제가 본 교통사고는 '추돌'이었습니다.
앞차가 갑자기 멈추니까 뒷 차가 미처 멈추지 못하고 들이받은 거죠.

차를 몰고 다니시거나,
차를 타고 다니시는 모든 분들 차조심하시길 빕니다.
문명의 이기가 때로는 문명이 흉기도 될 수 있거든요.

오늘도 많이 웃는 하루 보내시길 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903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4750
616 [2008/11/10] 우리말) 농촌진흥청에 놀러오세요. ^^* id: moneyplan 2008-11-10 3017
615 [2008/11/08] 우리말) 제가 상을 받았습니다 ^^* id: moneyplan 2008-11-10 2612
614 [2008/11/07] 우리말) 안스럽다와 안쓰럽다 id: moneyplan 2008-11-07 4345
613 [2008/11/06] 우리말) 관용구란? id: moneyplan 2008-11-06 5770
612 [2008/11/05] 우리말) 반보기 id: moneyplan 2008-11-05 3195
611 [2008/11/04] 우리말) 사춤 id: moneyplan 2008-11-04 3376
610 [2008/11/03] 우리말) 박물관에 다녀왔습니다 id: moneyplan 2008-11-03 3221
609 [2008/11/01] 우리말) 잊혀진 계절이 아니라 잊힌 계절 id: moneyplan 2008-11-03 3438
» [2008/10/31] 우리말) 권커니 잣거니 id: moneyplan 2008-10-31 3322
607 [2008/10/30] 우리말) 어제 편지에 덧붙입니다 id: moneyplan 2008-10-30 2803
606 [2008/10/29] 우리말) 아다리 id: moneyplan 2008-10-29 3340
605 [2008/10/28] 우리말) 명함 만들기 id: moneyplan 2008-10-28 3304
604 [2008/10/27] 우리말) 말 줄이기 id: moneyplan 2008-10-27 2851
603 [2008/10/24] 우리말) 아침결 id: moneyplan 2008-10-24 3344
602 [2008/10/23] 우리말) 타래송곳 id: moneyplan 2008-10-23 2762
601 [2008/10/22]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0-22 3750
600 [2008/10/21] 우리말) 쌀 직불금 id: moneyplan 2008-10-21 2872
599 [2008/10/20] 우리말) 하고하다와 허구하다 id: moneyplan 2008-10-20 3460
598 [2008/10/17] 우리말) 옴니암니 id: moneyplan 2008-10-17 3436
597 [2008/10/16] 우리말) 면죄부 id: moneyplan 2008-10-16 3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