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0/28] 우리말) 명함 만들기

조회 수 3299 추천 수 172 2008.10.28 08:43:41
어문규정에 이상한 규정도 많고, 이해 못할 곳도 있지만,
다 우리말과 글을 아끼고 사랑하자는 뜻에서 만들었다면,
관심을 두고 따르는 게 바르지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경남 창원시 사림동에 사시는 허ㅈㅁ 님,
선물이 되돌아 왔네요. 주소를 다시 알려주십시오.

요즘 제 일터는 조직 이름이 바뀌어 명함을 새로 만드는 분이 많으시네요.
제 명함도 새로 만들고 있습니다. ^^*
오늘은 명함에서 흔히 틀리는 것 몇 가지 알아볼게요.

먼저,
이름 쓸 때는 성과 이름을 붙입니다. 성제훈이나 홍길동처럼 씁니다.

다음은 영어 명함입니다.
이것부터 틀렸네요. 영어 명함이 아니라 로마자 명함입니다.
제 이름을 영어로 쓰면 Richard Sung이나 뭐 이런 게 되어야 할 겁니다.
제 이름 성제훈을 Sung Jehun으로 쓰는 것은 영어로 쓰는 게 아니라 로마자로 쓰는 겁니다.
제 영어 이름은 없습니다. ^^*

로마자로 쓸 때
Je Hun Sung
Je Hun, Sung
Je-Hun, Sung
J. H. Sung
J. H., Sung
J-H, Sung
JH, Sung
Sung, Je Hun
Sung, Je-Hun
Sung Je Hun
으로 쓰는 것은 틀립니다.
성이 앞에 오고, 성과 이름을 띄어 쓰되 이름 두 자는 붙여 써야 합니다.
따라서 제 이름 성제훈을 로마자로 쓰면 Sung Jehun이라 써야 바릅니다.

주소를 쓸 때도 조심할 게 있습니다.
수원시를 로마자로 쓰면 Suwon-si라고 씁니다. 행정구역 단위와 이름은 띄어 쓰고 그 앞에 붙임표(-)를 넣습니다.
경기도는 Kyeongkido가 아니라 Gyeonggi-do라고 씁니다.

이런 것은 로마자표기법에 나옵니다.

우리말은 공기와 같다고 생각합니다.
맑은 공기를 마셔야 건강하듯,
깨끗하고 고운 우리말을 써야 제 정신과 넋도 건강해지리라 믿습니다.

우리말과 글을 함부로 쓰기에는 너무 아깝지 않나요?
함부로 쓰지 못하게 관련 규정을 만들어 뒀는데, 왜 그 규정을 무시하고 쓰는지 모르겠습니다.
물론 어문규정에도 문제는 많습니다.
특히나,
맞춤법에는 성과 이름을 붙이게 되어 있지만, 한글학회는 성과 이름을 띄어서 씁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제 이름을 '성제훈'이라 하고, 한글학회에서는 제 이름을 '성 제훈'이라 씁니다.
국립국어원과 한글학회가 이렇게 따로 놀면 우리 같은 사람은 어딜 따라야 하죠?

어문규정에 이상한 규정도 많고, 이해 못할 곳도 있지만,
다 우리말과 글을 아끼고 사랑하자는 뜻에서 만들었다면,
관심을 두고 따르는 게 바르지 싶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독농가 >> 모범농가/우수농가]

아시는 것처럼 저는 농업 관련 일을 하는데요.
일을 하다 보면 농업 용어에 일본어투 말이 참 많이 보입니다.

'독농가'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저는 처음 이 낱말을 보고,
혼자서 농사를 짓는 獨농가로 생각을 했습니다.
혼자서 농사짓기 힘드니까 정부에서 독농가 지원을 많이 생각하나보다......

나중에 알고 보니,
'독농가'는 篤農家더군요.
도타울 독 자를 써서 모범 농가라는 뜻이죠.

일본어 사전을 보니, '독농가'는 없고, '독농'만 있는데,
とくのう[도꾸노우]로 "독실한 농사꾼"이라고 나와 있더군요.

이런 일본말을 왜 쓰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냥 "농사를 열심히 짓는 착실한 사람. 또는 그런 집"을 '모범 농가'나 '우수 농가'라고 하면 누가 잡아갈까요?
아니면, 관공서의 권위가 떨어질까요?
그것도 아니면, 남들이 모를까 봐 그렇게 멋진(?) 일본말로 국민을 배려하는 것일까요?
제발 관공서부터 일본말을 쓰지 말아야 합니다.

우리가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이런 일본말이나 쓰고 있으니,
일본者(여기에 쓴 者는 놈 자 자 입니다.)들이 우리를 헤프게 보고 심심하면 독도를 자기 땅이라고 나대죠.
어제는 뭐 독도 주변을 측량한다면서 설치고...

보태기)
국립국어원 표준대사전을 보면,
'독농가'를 '모범 농가'로 바꾸고 비슷한 낱말로 '근농가'와 '역농가'를 들어놨습니다.
'근농가'를 보니, "농사를 부지런히 짓는 집안. 또는 그런 사람"라 풀어놓고, 비슷한 낱말로 '독농가'와 '역농가'를 들어놨습니다.
독농가는 일본어투 말이니 '모범 농가'로 바꿔서 쓰거나,
'근농가'나 '역농가'로 쓰라는 말이겠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896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4667
616 [2008/11/10] 우리말) 농촌진흥청에 놀러오세요. ^^* id: moneyplan 2008-11-10 3014
615 [2008/11/08] 우리말) 제가 상을 받았습니다 ^^* id: moneyplan 2008-11-10 2601
614 [2008/11/07] 우리말) 안스럽다와 안쓰럽다 id: moneyplan 2008-11-07 4339
613 [2008/11/06] 우리말) 관용구란? id: moneyplan 2008-11-06 5762
612 [2008/11/05] 우리말) 반보기 id: moneyplan 2008-11-05 3186
611 [2008/11/04] 우리말) 사춤 id: moneyplan 2008-11-04 3372
610 [2008/11/03] 우리말) 박물관에 다녀왔습니다 id: moneyplan 2008-11-03 3215
609 [2008/11/01] 우리말) 잊혀진 계절이 아니라 잊힌 계절 id: moneyplan 2008-11-03 3431
608 [2008/10/31] 우리말) 권커니 잣거니 id: moneyplan 2008-10-31 3317
607 [2008/10/30] 우리말) 어제 편지에 덧붙입니다 id: moneyplan 2008-10-30 2797
606 [2008/10/29] 우리말) 아다리 id: moneyplan 2008-10-29 3336
» [2008/10/28] 우리말) 명함 만들기 id: moneyplan 2008-10-28 3299
604 [2008/10/27] 우리말) 말 줄이기 id: moneyplan 2008-10-27 2843
603 [2008/10/24] 우리말) 아침결 id: moneyplan 2008-10-24 3342
602 [2008/10/23] 우리말) 타래송곳 id: moneyplan 2008-10-23 2761
601 [2008/10/22]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0-22 3747
600 [2008/10/21] 우리말) 쌀 직불금 id: moneyplan 2008-10-21 2869
599 [2008/10/20] 우리말) 하고하다와 허구하다 id: moneyplan 2008-10-20 3456
598 [2008/10/17] 우리말) 옴니암니 id: moneyplan 2008-10-17 3433
597 [2008/10/16] 우리말) 면죄부 id: moneyplan 2008-10-16 3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