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0/21] 우리말) 쌀 직불금

조회 수 2876 추천 수 115 2008.10.21 20:59:06
그런 "염치나 체면을 차리지 않고 재물 따위를 마구 긁어모으는 짓"을 '걸태질'이라고 합니다.
낱말에서 나오는 느낌이 벌써 더럽네요. ^^*
여기서 나온 낱말이
걸터듬다, 걸터먹다, 걸터들이다 따위입니다.
모두 염치나 체면 차리지 못하고 이것저것 닥치는 대로 휘몰아 긁어모은다는 뜻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댓글을 다신 분이 많으시네요.
왜 그런지 봤더니 '거 밤 한 톨 좀 줘 봐' 답을 맞히시느라 그런 거네요. ^^*

우리말 편지는 하루에 두 편을 보냅니다.
앞에 있는 것은 그날 아침에 쓴 편지이고,
아래에 붙인 편지는 예전, 곧, 3-4년 전에 보낸 편지를 복습 삼아 보내드리는 것입니다.
어제 보낸 거 쌀 한 톨 좀 줘 봐...이것도 3년 전에 보낸 겁니다.

오늘 이야기입니다.
요즘 쌀 직불금으로 나라가 시끄럽네요.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을 많이 가지고 부자로 떵떵거리고 사는 것을 뭐랄 수는 없습니다.
비록 배가 아프기는 하지만, 떳떳하게 번 돈이라면 누가 뭐라고 하겠습니까.

그러나
억지로 다른 사람 몫을 뺏거나, 염치없이 이것저것 닥치는 대로 거둬들이는 것은 문제입니다.
그런 "염치나 체면을 차리지 않고 재물 따위를 마구 긁어모으는 짓"을 '걸태질'이라고 합니다.
낱말에서 나오는 느낌이 벌써 더럽네요. ^^*
여기서 나온 낱말이
걸터듬다, 걸터먹다, 걸터들이다 따위입니다.
모두 염치나 체면 차리지 못하고 이것저것 닥치는 대로 휘몰아 긁어모은다는 뜻입니다.

쌀 직불금 그게 몇 푼이나 된다고 그걸 받아먹는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쌀 직불금은 얼마 되지도 않습니다.
비록 농민들에게는 큰돈이지만, 가진 자들에게는 푼돈입니다.
근데 그걸 뺏어 간다고요?
아흔아홉 석 가진 사람이 한 석 가진 사람보고 내놓으라고 한다는 것과 무엇이 다른지 모르겠습니다.
그래 봐야 흙으로 돌아갈 때는 너나 나나 똑같이 한 평인데...
수의에는 호주머니가 없다는 것을 왜 모르는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알기에는
받는 것보다 주는 게 더 큰 기쁨입니다.
저는 그것을 느낍니다.
그 기쁨을 또 느끼고자 내일은 문제를 내서 선물을 드리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오구탕]

벌써 금요일입니다.
지지난 주에는 전남 해남, 구례를 다녀왔고,
지난 주에는 충남 아산을 다녀왔고,
내일은 강원도 횡성에 갑니다.
주말에 친구들과 놀러가기로 했거든요.
오랜만에 친한 사람들과 재밌게 놀 수 있겠네요.

오늘은 좋은 우리말 하나 소개해 드릴게요.

'오구탕'이 뭔지 아세요?
설렁탕, 갈비탕, 보신탕은 알아도 '오구탕'은 처음 들어보시죠?
설렁탕에서 탕(湯)은 '국'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지만,
오구탕은 이런 국과 아무 관계가 없는 순 우리말입니다.

오구탕은,
'매우 요란스럽게 떠드는 짓'을 말합니다.
날이 훤할 때까지 그 조그만 방 속에서 오구탕을 치는 통에...처럼 씁니다.

아마도 이번 주말에 친구들과 제가 오구탕을 치며 놀 것 같습니다.

주말 잘 보내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918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4877
616 [2008/11/10] 우리말) 농촌진흥청에 놀러오세요. ^^* id: moneyplan 2008-11-10 3019
615 [2008/11/08] 우리말) 제가 상을 받았습니다 ^^* id: moneyplan 2008-11-10 2615
614 [2008/11/07] 우리말) 안스럽다와 안쓰럽다 id: moneyplan 2008-11-07 4345
613 [2008/11/06] 우리말) 관용구란? id: moneyplan 2008-11-06 5771
612 [2008/11/05] 우리말) 반보기 id: moneyplan 2008-11-05 3197
611 [2008/11/04] 우리말) 사춤 id: moneyplan 2008-11-04 3383
610 [2008/11/03] 우리말) 박물관에 다녀왔습니다 id: moneyplan 2008-11-03 3226
609 [2008/11/01] 우리말) 잊혀진 계절이 아니라 잊힌 계절 id: moneyplan 2008-11-03 3441
608 [2008/10/31] 우리말) 권커니 잣거니 id: moneyplan 2008-10-31 3327
607 [2008/10/30] 우리말) 어제 편지에 덧붙입니다 id: moneyplan 2008-10-30 2808
606 [2008/10/29] 우리말) 아다리 id: moneyplan 2008-10-29 3345
605 [2008/10/28] 우리말) 명함 만들기 id: moneyplan 2008-10-28 3307
604 [2008/10/27] 우리말) 말 줄이기 id: moneyplan 2008-10-27 2858
603 [2008/10/24] 우리말) 아침결 id: moneyplan 2008-10-24 3347
602 [2008/10/23] 우리말) 타래송곳 id: moneyplan 2008-10-23 2764
601 [2008/10/22]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0-22 3756
» [2008/10/21] 우리말) 쌀 직불금 id: moneyplan 2008-10-21 2876
599 [2008/10/20] 우리말) 하고하다와 허구하다 id: moneyplan 2008-10-20 3463
598 [2008/10/17] 우리말) 옴니암니 id: moneyplan 2008-10-17 3439
597 [2008/10/16] 우리말) 면죄부 id: moneyplan 2008-10-16 3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