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4/07] 우리말) 꽃보라

조회 수 2960 추천 수 129 2008.04.07 08:17:46
'꽃보라'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보라'가 "잘게 부스러지거나 한꺼번에 많이 가루처럼 흩어지는 눈이나 물 따위"를 뜻해
'눈보라'는 "바람에 불리어 휘몰아쳐 날리는 눈을 뜻하고",
'물보라'는 "물결이 바위 따위에 부딪쳐 사방으로 흩어지는 잔 물방울"을 뜻합니다.
'꽃보라'는 당연히
"떨어져서 바람에 날리는 많은 꽃잎"을 뜻합니다.


안녕하세요.

주말 잘 보내셨어요?

저는 고향에 가서 작년에 이장한 아버지 산소에 나무를 몇 그루 심고 왔습니다.
나무를 심고 나서는 고추밭에 비닐도 덮었습니다.
오랜만에 홀로 계시는 어머니와 둘이서 삽을 들고 손을 맞추니 기분이 참 좋더군요.
옆에서는 흐드러지게 핀 꽃잎이 날리고...

'꽃보라'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보라'가 "잘게 부스러지거나 한꺼번에 많이 가루처럼 흩어지는 눈이나 물 따위"를 뜻해
'눈보라'는 "바람에 불리어 휘몰아쳐 날리는 눈을 뜻하고",
'물보라'는 "물결이 바위 따위에 부딪쳐 사방으로 흩어지는 잔 물방울"을 뜻합니다.
'꽃보라'는 당연히
"떨어져서 바람에 날리는 많은 꽃잎"을 뜻합니다.

어제는 고작 나무 몇 그루 심고 왔지만,
돌아가신 아버지를 생각하며
아버지가 누워계시고, 나중에 어머니도 함께 누우실 곳에 어머니가 좋아하시는 꽃으로 꽃동산을 만들어 드리고 싶습니다.
'꽃동산'은 "꽃이 많이 피어 있는 동산. 아름다운 꽃으로 덮인 동산"입니다.
화원(花園) 보다는 '꽃동산'이 더 멋있지 않나요?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윤중로 벚꽃 축제]

사무실 앞에 있는 벚나무가 꽃망울을 터뜨리기 시작했네요.
오늘은 벚꽃 이야기를 해 볼게요.
진해 벚꽃이 활짝 피었으니, 이제 곧 여의도 '윤중로 벚꽃 축제'를 한다는 말이 나오겠네요.

<제가 대충 아는 내용>
1. 벚꽃의 원산지는 일본이 아니라 우리나라와 대만이다.
2. 지금 일본의 벚꽃은 제주도에서 자라난 토종 왕벚꽃을 가져가서 개량한 것이다.
3. 우리나라 꽃이 무궁화라는 것은 대통령령으로 나와있지만, 일본 나라꽃이 벚꽃이라는 것은 일본 법률에 없다.
(따라서 아름다운 벚꽃을 보고 일본 나라꽃이라는 이유로 억지로 싫어하거나 미워하실 필요는 없으실듯...)

<제가 확실히 아는 내용>
'윤중로'는 여의도 국회의사당 뒤편에 있는 둑길입니다.
윤중로(輪中路)는 윤중제(輪中堤)에서 온 말입니다.
'제'는 방죽 제(堤) 자 이므로 윤중제는 윤중방죽이라는 말이 되겠죠.
이제 윤중을 알아보죠.
우리나라 국어사전에는 '윤중'이라는 말이 없습니다.
일본사전을 보죠.
輪中은 わじゅう[와쥬우]로 '에도시대 물난리를 막기 위하여 하나 또는 여러 마을이 둑으로 싸여 물막이 협동체를 이룬 것'이라고 나와있군요.
輪中堤를 찾아보니, わじゅうてい[와쥬떼이]로 '강 가운데 있는 섬 주위를 둘러싸게 축조한 제방'이라고 나와있네요.

이렇게 윤중은 우리말이 아닙니다. 일본말입니다.
그걸 가져다 우리는 '윤중'이라고 그냥 읽은 겁니다.
거기에 길을 내 놓고 윤중로(輪中路)라 하고...

제가 알기에,
산에서 내려오는 강어귀에 마을이 있거나 하여 강물이 불면 그 물에 마을이 잠기므로 마을 둘레에 둑을 쌓아 물을 막는데,
그 둑이 바로 '방죽'입니다.

따라서,
여의도 국회의사당 뒤편에 있는 둑길은 '방죽'에 난 '길'입니다.
일본말인 윤중로가 아니죠.
제가 알기에는, 1986년 서울시가 윤중제를 '여의방죽'으로 고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거기에 있는 길은 윤중로가 아니라 여의방죽길이겠죠.
그런데 왜 방송에서는 여전히 여의방죽이나 여의방죽길, 여의둑길로 안 쓰고 윤중로를 쓰는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아는 낱말 몇 개를 소개합니다.
방죽 : 물이 밀려들어 오는 것을 막기 위하여 쌓은 둑.
둑 : 높은 길을 내려고 쌓은 언덕.
둔치 : 물가의 언덕.
섬둑 : 섬의 둘레를 둘러쌓은 둑.

보태기)
1. 저는 우리나라를 사랑합니다. 오늘 편지의 주제는 벚꽃을 사랑하고, 벚꽃을 보고 즐기자는 것도 아니요, 그렇다고 벚꽃을 즐기지 말지는 것도 아닙니다. 다만, '윤중'이나 '윤중로'를 쓰지 말자는 겁니다.

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윤중제(輪中堤)가 실려있는데,
'강섬의 둘레를 둘러서 쌓은 제방.'이라 풀어놓고, '둘레 둑', '섬둑'으로 다듬었습니다.

3. 벚꽃 축제에서,
축제(祝祭, しゅくさい[슉사이])도 일본어투 말입니다.
'기쁜 일이 있을 때에 음식을 차려 놓고 여러 사람이 모여 즐기는 일'은 '잔치'입니다.

4. 어제 인터넷 뉴스에서 보니,
우리나라 대단위 벚꽃 나무들이 일본의 교묘한 문화침탈의 일환으로 심어졌다는 기사가 있었습니다.
http://www.segye.com/Service5/ShellView.asp?TreeID=1258&PCode=0007&DataID=20060403155300016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520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90832
476 [2008/04/19] 우리말) 미스킴과 라일락 id: moneyplan 2008-04-21 2755
475 [2008/04/18] 우리말) 눈시울과 가선 id: moneyplan 2008-04-21 2605
474 [2008/04/17] 우리말) 눈가에 생긴 잔주름 id: moneyplan 2008-04-18 3165
473 [2008/04/16]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04-16 2932
472 [2008/04/15] 우리말) 헛가래질과 헹가래 id: moneyplan 2008-04-15 2711
471 [2008/04/14] 우리말) 화무는 십일홍이요, 달도 차면 기우나니라 id: moneyplan 2008-04-14 7480
470 [2008/04/11] 우리말) 하기 마련이다와 하게 마련이다 id: moneyplan 2008-04-13 2752
469 [2008/04/10] 우리말) 곰바지런한 국회의원 id: moneyplan 2008-04-10 2581
468 [2008/04/08] 우리말) 꽃소식과 꽃소금 id: moneyplan 2008-04-10 3169
» [2008/04/07] 우리말) 꽃보라 id: moneyplan 2008-04-07 2960
466 [2008/04/04] 우리말) 알음장과 알림장 id: moneyplan 2008-04-06 2436
465 [2008/04/02] 우리말) 축제와 축전, 그리고 잔치 id: moneyplan 2008-04-03 3390
464 [2008/04/03] 우리말) 쎄쎄쎄, 아침바람 찬바람에 id: moneyplan 2008-04-03 3043
463 [2008/04/01] 우리말) 인삿말이 아니라 인사말 id: moneyplan 2008-04-01 2786
462 [2008/03/31] 우리말) 틀린 말 몇 개 id: moneyplan 2008-03-31 2984
461 [2008/03/28] 우리말) 만날 뗑그렁 id: moneyplan 2008-03-30 2632
460 [2008/03/27] 우리말) 짓북새를 놓으며 짓먹다 id: moneyplan 2008-03-27 3814
459 [2008/03/26] 우리말) 삐끼와 여리꾼 id: moneyplan 2008-03-26 3233
458 [2008/03/25] 우리말) 막서고 뒵드는 부집 id: moneyplan 2008-03-25 2816
457 [2008/03/24] 우리말) 삶과 죽음 그리고 죽살이 id: moneyplan 2008-03-25 25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