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1/23] 우리말) 빗밑이 재다

조회 수 3413 추천 수 73 2007.11.23 09:11:13
'빗밑'이라는 낱말도 있습니다.
"비가 그치어 날이 개는 속도"를 뜻합니다.
빗밑이 재다처럼 쓰죠.


안녕하세요.

소설 추위는 빚내서라도 한다는데,
오늘은 소설이 빚을 내지 않았나 봅니다. ^^*
추위가 한풀 꺾인 것 같죠?
오늘 비가 오는 곳도 많지만 다음 주 중반까지는 비교적 포근한 날씨가 이어진다고 합니다.

얼마 전에 '비거스렁이'라는 낱말을 소개해 드렸습니다.
"비가 갠 끝에 바람이 불고 기온이 낮아지는 현상."입니다.

'빗밑'이라는 낱말도 있습니다.
"비가 그치어 날이 개는 속도"를 뜻합니다.
빗밑이 재다처럼 쓰죠.
'재다'가 "동작이 재빠르다."는 그림씨(형용사)니까,
빗밑이 재다고 하면 비가 그치어 날이 개는 속도가 빠르다는 뜻이 됩니다.
이럴 때 '빗밑이 가볍다'고도 합니다.
"오던 비가 그치고 날이 개는 속도가 빠르다."는 뜻이죠.

반대는 '빗밑이 무겁다'고 합니다.
'무겁다'에 "동작이 느리고 둔하다."는 뜻이 있으므로,
빗밑이 무겁다고 하면,
오던 비가 그치고 날이 개는 속도가 느리다는 뜻이 됩니다.

오던 비가 개면서부터 아주 멎을 때까지의 과정을 이렇게 나타낼 수도 있는 우리말이 참 멋지지 않나요?

'빗밑'과 비슷한 낱말이 '비끝'입니다.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비끝'이 없지만,
한글학회에서 만든 우리말큰사전에는 '빗밑'과 같은 뜻의 낱말로 '비끝'을 올렸습니다.

저는 내일 새벽에 고향에 갑니다. 시제를 모셔야 하거든요.
오늘 저녁에 가야 하는데,
아무래도 일을 일찍 끝내기는 어려울 것 같아
내일 아침 일찍 가기로 했습니다.

그나저나 비가 많이 내리지 않아야 할텐데...

주말 즐겁게 보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반나절은 몇 시간?]

식목일인 어제 큰불이 났습니다.
왜 매년 식목일마다 큰불이 나는지...
식목일을 연목일(燃木日)로 불러야 할 판입니다. 쩝...

어제 난 그 산불로 양양에 있는 낙산사가 불탔는데요.
제가 그곳으로 신혼여행을 갔던 터라.......
가슴이 더 에이네요.

그 낙산사가 불탄 소식을 방송에서 전하면서,
“...때문에 반나절 만에 전소됐습니다.”라는 말을 하더군요.
반나절...
한나절도 아닌 반나절...
도대체 반나절이 몇 시간이기에 반나절 만에 불탔다고 저리 호들갑일까?
분명 짧은 시간에 다 탔음을 강조하는 것 같은데......

반나절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한나절을 알아야 합니다.
한나절은 “하루 낮의 반(半)”입니다.
따라서 시간으로 따지면 하루 낮(12시간)의 반인 6시간이죠.

그 한나절의 반이 반나절이므로
시간으로 따지면,
6시간의 반인 3시간이라는 말이죠.

따라서,
3시간 만에 절이 다 타버렸다는 의미가 됩니다.
실제 몇 시간 동안 탔는지는 모르지만,
짧은 시간에 천년고찰이 다 탔다는 것을 강조하는 데는
아주 적절한 표현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처음으로 방송에서 나온 말을 칭찬하네요.

그렇지만 틀린 것도 있습니다.
“...때문에 반나절 만에 전소됐습니다.”에서,
‘전소됐습니다’보다는 ‘전소했습니다’가 더 낫습니다.
명사에 ‘하다’가 붙어서 자동사가 되는 말은 ‘되다’를 붙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최근에 이런 명사에 ‘되다’를 붙여 쓸 때가 많은데
이는 영어의 번역문이 일반화하면서 생긴 현상입니다.

오후에는 비가 좀 온다는데,
많이 좀 와서 강원도 불을 끄고,
전국적인 건조주의보도 해제하면 좋겠네요.

지금 오는 비가 저 같은 농사꾼에게는 별로지만...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보태기)
한나절의 반인 반나절과 같은 뜻의 낱말로 ‘한켯’도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40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115
376 [2007/11/29] 우리말) 노털과 노틀 id: moneyplan 2007-11-29 3194
375 [2007/11/28]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7-11-28 2692
374 [2007/11/27] 우리말) 괴팍한 성질 id: moneyplan 2007-11-27 2677
373 [2007/11/26] 우리말) 드러눕다 id: moneyplan 2007-11-26 2912
» [2007/11/23] 우리말) 빗밑이 재다 id: moneyplan 2007-11-23 3413
371 [2007/11/22] 우리말) 날떠퀴 id: moneyplan 2007-11-22 3554
370 [2007/11/21] 우리말) 편지에서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7-11-21 2712
369 [2007/11/20] 우리말) 낙엽은 진 잎으로... id: moneyplan 2007-11-20 2855
368 [2007/11/19] 우리말) 보람 id: moneyplan 2007-11-19 2504
367 [2007/11/16] 우리말) 에두르다 id: moneyplan 2007-11-17 3356
366 [2007/11/15] 우리말) 비리와 비위 id: moneyplan 2007-11-15 2916
365 [2007/11/14] 우리말) 커닝 종이쪽지 id: moneyplan 2007-11-14 2607
364 [2007/11/13] 우리말) 알밤(문제를 냈습니다 ^^*) id: moneyplan 2007-11-13 2477
363 [2007/11/12] 우리말) 꽃내음 풀내음 id: moneyplan 2007-11-12 2990
362 [2007/11/10] 우리말) 베스트 셀러 id: moneyplan 2007-11-12 2702
361 [2007/11/09] 우리말) 두껍다와 두텁다 id: moneyplan 2007-11-09 2996
360 [2007/11/08] 우리말) 영어 교육 id: moneyplan 2007-11-08 3008
359 [2007/11/07] 우리말) 명사는 이름씨입니다 id: moneyplan 2007-11-07 3210
358 [2007/11/06] 우리말) 할는지와 할런지 id: moneyplan 2007-11-07 5671
357 [2007/11/06] 우리말) 옷깃을 스치면 인연? id: moneyplan 2007-11-06 27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