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1/05] 우리말) 안다니와 안다미로

조회 수 3269 추천 수 84 2007.11.05 12:32:05
우리말에
'또바기'라는 어찌씨가 있습니다.
"언제나 한결같이 꼭 그렇게"라는 뜻이죠.
토요일에 저희 집에 오신 분들이 바로 그런 분들입니다.
자기가 또바기라고 생각하시면 언제든지 저희 집에 오셔도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해적에게 잡혀있던 우리나라 사람들이 풀려났네요. 참 다행입니다.

주말 잘 보내셨나요?
저는 오랜만에 맘 편한 주말을 보냈습니다.
제가 연구소에서 본청으로 온 뒤 처음으로 토요일 하루를 온 종일 애들과 함께 보냈습니다.
그 기분을 이어 저녁에는 맘 맞는 동료 식구를 집으로 불러 좋은 시간을 나눴습니다.

제가 싫어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안다니'입니다.
"무엇이든지 잘 아는 체하는 사람"을 안다니라고 합니다.

이렇게 제가 싫어하는 사람이 몇 있지만,
제가 좋아하는 사람은 참 많습니다.

먼저,
가슴이 따뜻한 사람을 좋아합니다.
나보다 남을 먼저 생각하고,
내 것을 남과 나눌 줄 아는 사람을 좋아합니다.

우리말에
'또바기'라는 어찌씨가 있습니다.
"언제나 한결같이 꼭 그렇게"라는 뜻이죠.
토요일에 저희 집에 오신 분들이 바로 그런 분들입니다.
자기가 또바기라고 생각하시면 언제든지 저희 집에 오셔도 좋습니다. ^^*

'안다니'와 비슷한 '안다미로'라는 어찌씨가 있습니다.
"담은 것이 그릇에 넘치도록 많이"라는 뜻입니다.

저는 가슴이 따뜻한 또바기와 한 잔 할 때 이렇게 외칩니다.
"안다미로!"라고... ^^*

월요일입니다. 힘차게 시작합시다.
저도 이번 주도 열심히 살고,
주말에는 강릉에 가서 또바기들과 안다미로를 외칠 생각입니다.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여기 다지기 좀 주세요~!]

벌써 경칩이네요.
개구리가 나오다가 하얀 눈을 보고 다시 들어가버리지나 않을지...

어제는 싱그러운 봄을 맞아 입맛을 돋우고자(돋구고자가 아닌 이유는 아시죠?)
도가니탕을 먹으러 갔습니다.
소 무릎의 종지뼈와 거기에 붙은 고깃덩이로 탕을 끓인 게 도가니탕인데요.
하얀 국물이 일품이죠.

도가니탕을 먹을 때는 밑반찬이 많지 않아도 됩니다.
그냥 깍두기 하나면 되죠.
그러나 그 옆에 꼭 ‘다진 양념’이 있어야 합니다.
그 다진 양념을 지금도
‘다대기’라고 하는 분이 계십니다.

‘다대기’는 일본에서 온 말입니다.
일본 양념의 하나로 끓는 간장이나 소금물에 마늘, 생강 따위를 다져 넣고 고춧가루를 뿌려 끓인 다음, 기름을 쳐서 볶은 것으로, 얼큰한 맛을 낼 때 씁니다.
이 ‘다대기’를 국립국어원에서
‘다짐’, ‘다진 양념’으로 바꿔 쓰도록 한 적이 있는데요.
이것도 좀 이상합니다.
‘다짐’은 “누르거나 밟거나 쳐서 단단하게 하다”라는 뜻의 ‘다지다’의 명사형이기도 하지만,
보통은 “마음이나 뜻을 굳게 가다듬어 정함”을 말하기 때문입니다.
일본어투 말을 다듬을 때는 좀더 많이 고민을 해야 하는데...

일본에서 온 ‘다대기’에 해당하는 좋은 우리말이 버젓이 있습니다.
‘다지기’가 바로 그겁니다.
“고기, 채소, 양념감 따위를 여러 번 칼질하여 잘게 만드는 일”을 말하기도 하고,
“파, 고추, 마늘 따위를 함께 섞어 다진 양념”을 말하기도 합니다.
‘설렁탕에 다지기를 풀다.’처럼 활용하면 되죠.

좋은 우리말을 두고 왜 억지로 순화용어를 만드는지 모르겠어요.
일본말 다대기를 대신할 말을 찾으면서,
순 우리말인 ‘다지기’를 버리고
‘다짐’, ‘다진 양념’을 쓰라고 하는 멍청한 짓이 어디 있을까요?

근데 그런 게 또 있습니다.
고속도로를 달리다 보면,
차로 오른편에 비상 차량이 달리는 길이 있죠?
그 길을 뭐라고 하죠?
일본에서는 ‘노견(路肩, ろかた[로가따])’이라고 합니? ?  
영어로는 ‘road shoulder’죠.
길 어깨라는 뜻으로...
이것을 우리말로 바꾼답시고 국어학자들이 ‘어깨 길’로 만들었어요.
이런 환장할 일이 있나!
순 우리말 ‘갓길’이 있는데,
이런 것은 버리고 일본말을 그대로 번역한 ‘어깨 길’이라뇨?
제가 보기에 우리나라 국어학자들 아직 멀었습니다.

짧은 제 생각이지만,
학문은 현실과 동떨어진 채 존재할 수 없습니다.
국어학자 아닌 국어학자 할아비라도 아름다운 우리말을 살릴 생각을 하지 못한다면
절대로 존경받을 수 없을 겁니다.
오히려 우리글을 망치는 장본인으로 낙인찍힐 겁니다.
글을 쓰다 보니 좀 격해졌네요.

주말 잘 보내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53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240
» [2007/11/05] 우리말) 안다니와 안다미로 id: moneyplan 2007-11-05 3269
355 [2007/11/03] 우리말) 푹 고은 게 아니라 푹 곤 id: moneyplan 2007-11-05 3296
354 [2007/11/02] 우리말) 강추위와 强추위 id: moneyplan 2007-11-02 3189
353 [2007/11/01] 우리말) 문제입니다. 바닷가에 쌓인 굴 껍데기를 뭐라고 하죠? id: moneyplan 2007-11-01 3744
352 [2007/10/31] 우리말) 가시버시 id: moneyplan 2007-10-31 2509
351 [2007/10/30] 우리말) 가리산지리산 id: moneyplan 2007-10-30 2717
350 [2007/10/29] 우리말) 비거스렁이 id: moneyplan 2007-10-29 3422
349 [2007/10/27] 우리말) 오늘은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7-10-27 3331
348 [2007/10/26] 우리말) 구리다 id: moneyplan 2007-10-26 2646
347 [2007/10/25] 우리말) 여덟 시 삼 분 id: moneyplan 2007-10-25 3043
346 [2007/10/24] 우리말) 등소평과 덩 샤오핑 id: moneyplan 2007-10-24 3795
345 [2007/10/23] 우리말) 도저를 살려 쓰자고요? id: moneyplan 2007-10-23 2829
344 [2007/10/22] 우리말) 포장도로와 흙길 id: moneyplan 2007-10-22 2846
343 [2007/10/19] 우리말) 구설과 구설수 id: moneyplan 2007-10-19 3079
342 [2007/10/18] 우리말) 누룽지와 눌은밥 id: moneyplan 2007-10-18 3048
341 [2007/10/17] 우리말) 가풀막지다 id: moneyplan 2007-10-17 3254
340 [2007/10/16] 우리말) 발쇠 id: moneyplan 2007-10-16 2553
339 [2007/10/15] 우리말) 지난주, 이번 주, 다음 주 id: moneyplan 2007-10-15 7057
338 [2007/10/12] 우리말) 짬짜미 id: moneyplan 2007-10-13 2601
337 [2007/10/11] 우리말) 부리나케, 부랴부랴 id: moneyplan 2007-10-11 2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