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0/05] 우리말) 저는 개으릅니다

조회 수 3598 추천 수 152 2007.10.05 12:42:24
저는 지금도 헷갈립니다.
제가 게으른건지 개으른건지...^^*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침부터 햇살이 좋네요.

저는 가끔 반신욕을 합니다.
마땅히 운동할 시간이 없어서 고민하던 차에 아침에 조금 일찍 일어나 반신욕을 했더니 참 좋더군요.
다만, 제가 좀 개을러 그게 힘들죠.
어제처럼 손목운동을 좀 많이 했을 때도 힘들고...

제 개으름을 떨치고자 오늘은 개으르다를 알아볼게요.

여기까지 보시고,
어 이 친구 오늘 또 실수했군. '개으르다'가 아니라 '게으르다'인데...
라고 생각하시는 분도 계실 겁니다.
그렇죠? ^^*

지금 옆에 국어사전 있으면 '개으르다'는 찾아보세요. 그리고 바로 '게으르다'도 찾아보세요.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표준국어대사전에는
'개으르다'는 그림씨로 "움직이거나 일하기를 싫어하는 성미나 버릇이 있다."로 풀었고,
'게으르다'도 그림씨로 "행동이 느리고 움직이거나 일하기를 싫어하는 성미나 버릇이 있다."로 풀었습니다.

우리말 큰사전에는
'개으르다'는 "얄밉게 게으르다"로 풀었고,
'게으르다'는 "할 일에 움직이기를 싫어하는 성미나 버릇이 있다"로 풀었습니다.
뭐 다른 게 있나요?

제가 보기에는 그게 그거 같습니다.
어떤 학자는 그 둘의 다른 점을 이렇게 보셨네요.
"'게으르다'는 보기 싫을 정도지만 '개으르다'는 그래도 봐 줄 만한 정도다."라고...

게으르다는 뜻의 한자말은,
나만하다 : 懶慢
나타하다 : 懶惰
나태하다 : 懶怠
소타하다 : 疎惰
타태하다 : 惰怠
태만하다 : 怠慢
태타하다 : 怠惰
태홀하다 : 怠忽
해완하다 : 懈緩
해타하다 : 懈惰
해태하다 : 懈怠
이 있습니다.

왠지 제 이야기 같아서...... ^^*

저는 지금도 헷갈립니다.
제가 게으른건지 개으른건지...^^*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3년 전에 보낸 겁니다. 요즘 이야기가 아닙니다. ^^*


[임신부, 임산부]

혹시 담배 피우세요?
저는 조금 전에도 출근하자마자 습관적으로 그 탁한 공기를 목구멍 속으로 꾸역꾸역 밀어 넣고 왔습니다.
끊긴 끊어야 하는데...

담뱃갑에 보면 경고 문구가 있죠.
“흡연은 폐암 등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며, 특히 임신부와 청소년의 건강에 해롭습니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예전과 다른 낱말이 하나 있습니다.
몇 년 전에는 ‘임산부’라고 썼었는데 요즘은 ‘임신부’라고 씁니다.
왜 그렇게 바꿨을까요?

임산부는 임부와 산부를 합친 말로 애를 밴 사람과 애를 갓 낳은 사람을 동시에 일컫는 말입니다.
근데 담뱃갑에 있는 경고 문구는 애 밴 여자가 담배를 피우면 태아에게도 해롭다는 의미로 넣은 것이므로,
임부는 해당되지만 산부에게는 해당이 안 되겠죠.
왜냐면, 산부는 이미 애를 낳고 뱃속에 애가 없으니까요.
그래서 몇 년 전부터 ‘임산부’라고 안 쓰고 ‘임신부’라고 씁니다.  

약 사용설명서에도 ‘임산부’와 ‘임신부’를 정확하게 구별해서 씁니다. 당연한 소리지만...

‘임신부’하니까 또 다른 게 생각나네요.
흔히 임신한 사람을 보고,
“홀몸도 아닌데 조심하세요.”라고 말합니다.
근데 여기 홀몸이 잘못 쓰였습니다.

홀몸은 부모형제가 없는 고아나 아직 결혼하지 않은 사람을 말합니다.
즉, ‘홀’은 ‘짝’에 대립해 ‘홀아비’ ‘홀시어미’ 따위로 쓰죠.
“사고로 아내를 잃고 홀몸이 되었다.”처럼 씁니다.
따라서,
임신한 여자를 보고,
“홀몸도 아닌데...”라고 하면 결혼도 하기 전에 애를 밴 영 거시기한 사람이라는 말이 돼버립니다.  
홀몸과 헷갈리는 말로 ‘홑몸’이 있습니다.
‘홑’은 ‘겹’에 대립하는 말로,
딸린 사람이 없는 혼자의 몸이나, 결혼한 후 아직 아기를 갖지 않는 몸을 말합니다.
따라서, 임신한 사람에게는
“홑몸도 아닌데 조심하세요.”라고 ‘홑몸’을 써야 합니다.

제 오늘 왜 이렇게 애 밴 사람 이야기를 주절거리며 너스레를 떠느냐면,
ㅋㅋㅋ
실은 제 아내가 둘째를 뱃거든요.
‘임신부’가 되고
‘홑몸이 아닌 상태’가 된 거죠.
이번에는 눈물 콧물 별로 안 흘리고 잘 만들었어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747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93063
336 [2007/10/10] 우리말) 한 수 위를 뜻하는 낱말은? id: moneyplan 2007-10-10 3790
335 [2007/10/09] 우리말) 어린것이 깜찍스럽다는 뜻의 낱말은? id: moneyplan 2007-10-09 5398
334 [2007/10/08] 우리말) 손대기 id: moneyplan 2007-10-08 3869
333 [2007/10/07] 우리말) '중'은 '가운데'라고 쓰는 게 더 좋습니다 id: moneyplan 2007-10-08 3212
332 [2007/10/06] 우리말) 2007년 우리말 지킴이와 헤살꾼 id: moneyplan 2007-10-08 3490
» [2007/10/05] 우리말) 저는 개으릅니다 id: moneyplan 2007-10-05 3598
330 [2007/10/04] 우리말) 사열했다와 사열 받다 id: moneyplan 2007-10-05 3121
329 [2007/10/02] 우리말) 청설모가 아니라 청서 id: moneyplan 2007-10-02 2767
328 [2007/10/01] 우리말) 전어 이야기 id: moneyplan 2007-10-01 3008
327 [2007/09/29] 우리말) '고향 방문을 환영합니다.'에서 틀린 곳이 있습니다. 어딜까요? id: moneyplan 2007-10-01 2869
326 [2007/09/28] 우리말) 고바위에 오르다? id: moneyplan 2007-09-28 2988
325 [2007/09/27] 우리말) 가없는 사랑 id: moneyplan 2007-09-27 3063
324 [2007/09/20] 우리말) 추석과 중추절 id: moneyplan 2007-09-21 3201
323 [2007/09/20] 우리말) 기울이다와 기우리다 id: moneyplan 2007-09-20 8958
322 [2007/09/19] 우리말) 포도와 클러스터 id: moneyplan 2007-09-19 2889
321 [2007/09/18] 우리말) 저는 선물을 받지 않습니다 ^^* id: moneyplan 2007-09-18 2713
320 [2007/09/17] 우리말) 철 따라 한 목 한 목 무리로 나오는 모양 id: moneyplan 2007-09-17 2865
319 [2007/09/15] 우리말) 우리말 몇 개 id: moneyplan 2007-09-17 3754
318 [2007/09/14] 우리말) 노래지다와 누레지다 id: moneyplan 2007-09-14 3848
317 [2007/09/13] 우리말) 노란 단풍 id: moneyplan 2007-09-13 3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