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9/01] 우리말) 지킴이 인사말

조회 수 2735 추천 수 61 2007.09.03 09:14:46
안녕하세요.

토요일에는 우리말편지를 보내지 않거나,
우리말과 별 상관이 없는 제 이야기를 보내드립니다.

어제는 아내와 함께 한글학회에 다녀왔습니다.
아는 사람이 아무도 없는 곳에서 상을 받는다는 게 참 쑥스럽더군요.
뒤풀이 뒤에는 애들과 함께 청계천에 들러 맘껏 뛰놀다 늦게 집에 돌아왔습니다.

오늘은 어제 지킴이가 되고 나서 제가 드렸던 인사말을 소개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방금 우리 말글 지킴이가 된 성제훈입니다.
저는 농촌진흥청에서 일하고 있는데요. 국립국어원에 학예연구사가 있듯이, 저는 농촌진흥청에서 일하는 농업연구사입니다.
어찌 보면 국어, 우리말과 전혀 상관이 없는 것 같은 제가 우리 말글 지킴이가 되었습니다.

몇 년 전에 어떤 배우가 상을 받으면서 "감독님과 배우들이 잘 차려놓은 밥상에서 저는 맛있게 먹기만 했는데, 이런 큰 상을 받게 되었다"라고 말했습니다.
지금 제가 딱 그 꼴입니다. 제가 아침마다 편지를 보내기는 하지만, 국어학자들이 만든 문법을 책에서 따오고, 문법에 맞게 쓴 보기를 사전에서 따와서 편지를 씁니다.
다만, 편지에 제 식구 이야기나 일터이야기를 버무려 보낼 뿐입니다. 그러니 남들이 잘 차려놓은 밥상에서 제가 맛있게 먹은 것뿐이죠.

또, 시상 자리에서 자주 듣는 말이, 별로 한 것도 없는데 이렇게 큰 상을 주셔서 고맙습니다. 더 열심히 하라는 뜻으로 알고 고맙게 받겠습니다... 뭐 이런 말입니다.
이 말도 지금 저에게 딱 어울리는 말입니다. 농업연구자가 농업기술이나 농업 상식을 다른 사람에게 쉽게 알리고자 우리말 공부를 시작했고, 그것을 주위 분들과 나누고 있을 뿐인데 이런 큰 상을 주셨습니다.
그러니 별로 한 것도 없는데 큰 상을 받았고, 앞으로도 꾸준히 하라는 격려와 다독거림일 수밖에요. 고맙습니다.

요즘을 흔히 정보화 사회라고 합니다. 몇 십 년 전에는 산업화 사회라고 했죠. 그러나 이것은 고작 100년 전입니다. 그 이전에는 농경 사회였습니다.
우리 조상도 수천수만 년 농사를 지으면서 살았습니다. 그래서 농업에는 우리 선조의 얼과 넋이 녹아 있습니다. 농업의 중요성을 꼭 먹을거리를 만드는 데서만 찾으면 안 됩니다. 우리 문화의 보물창고가 바로 농업입니다.
마침 제가 농업을 하고 있기에, 농업 속에 서려 있는 우리 조상의 숨결과 얼, 넋을 찾아 다른 사람들과 함께 나누겠습니다. 앞으로도 꾸준히 우리말 편지를 보내면서 우리말, 우리글, 우리 문화를 찾아 알리는데 힘쓰겠습니다.

끝으로, 오늘 이 자리는, 저에게 큰 영광이자 기쁨이지만, 한편 무척 부담스럽기도 합니다.
부담은 사 랑하는 제 아내와 함께 짊어져 반으로 나누고, 기쁨은 제 아들딸과 함께 나눠 몇 배로 뻥튀기 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504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90658
316 [2007/09/12] 우리말) 섞사귐 id: moneyplan 2007-09-13 2888
315 [2007/09/12] 우리말) 선선한 가을입니다 id: moneyplan 2007-09-12 2986
314 [2007/09/11] 우리말) 서슬이 시퍼렇다 id: moneyplan 2007-09-11 4200
313 [2007/09/10] 우리말) 파란하늘 id: moneyplan 2007-09-10 3043
312 [2007/09/08] 우리말) 한글문화연대 id: moneyplan 2007-09-10 2794
311 [2007/09/07] 우리말) 내외빈 id: moneyplan 2007-09-07 3531
310 [2007/09/06] 우리말) 지킴이와 지기의 반대말 id: moneyplan 2007-09-06 5518
309 [2007/09/05] 우리말) 지킴이와 지기 id: moneyplan 2007-09-05 3529
308 [2007/09/04] 우리말) 상가, 상갓집, 상가집 id: moneyplan 2007-09-04 10206
307 [2007/09/03] 우리말) 선글라스 맨 id: moneyplan 2007-09-03 2891
» [2007/09/01] 우리말) 지킴이 인사말 id: moneyplan 2007-09-03 2735
305 [2007/08/30] 우리말) 지킴이와 지키미 id: moneyplan 2007-08-31 7914
304 [2007/08/30] 우리말) 알토란 id: moneyplan 2007-08-30 3570
303 [2007/08/29] 우리말) 건들건들 id: moneyplan 2007-08-29 3011
302 [2007/08/28] 우리말) 길 따라 좁고 길게 만든 꽃밭을 뭐라고 할까요? id: moneyplan 2007-08-28 3582
301 [2007/08/27] 우리말) 밀월여행 id: moneyplan 2007-08-27 3024
300 [2007/08/25] 우리말) 새롱대다, 강동거리다, 들마 id: moneyplan 2007-08-27 3210
299 [2007/08/24] 우리말) 허니문베이비의 순 우리말은? [1] id: moneyplan 2007-08-24 7043
298 [2007/08/23] 우리말) 갖바치 내일 모레 id: moneyplan 2007-08-23 4254
297 [2007/08/22] 우리말) 갈말 id: moneyplan 2007-08-22 30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