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문제를 내겠습니다.

아침에 제가 본 것처럼
건물, 담 밑, 길 따위의 경계선을 따라 좁고 길게 만든 꽃밭을 뭐라고 하는지를 맞히시는 겁니다.
아파트 담벼락을 따라 만들어 놓은 ??꽃밭에 채송화를 심었다처럼 씁니다.


안녕하세요.

궁금한 게 있습니다.
왜 새벽 네 시까지 택시 삯을 더 받죠?
세 시로 당기면 안 되나요?
그게 아까워서...^^*

아침에 버스를 기다리다 보니 옆에 꽃길이 있더군요.
코스모스가 아닌 살사리 꽃이 곱게 피어있었습니다.

우리말 가운데 꽃밭을 나타내는 게 있습니다.
'양탄자꽃밭'은
"마당이나 잔디밭 가운데에 키 작은 꽃을 심어 아름다운 무늬를 이루게 하는 꽃밭."이고,
'올림꽃밭'은
"가운데에는 키가 큰 꽃나무를 심고 둘레에는 차차로 작은 꽃나무를 심어 사방에서 볼 수 있도록 둥글거나 모나게 만든 꽃밭"입니다.

오늘도 문제를 내겠습니다.

아침에 제가 본 것처럼
건물, 담 밑, 길 따위의 경계선을 따라 좁고 길게 만든 꽃밭을 뭐라고 하는지를 맞히시는 겁니다.
아파트 담벼락을 따라 만들어 놓은 ??꽃밭에 채송화를 심었다처럼 씁니다.

오늘은 큰 맘 먹고 백 분께 선물을 드리겠습니다.
한 분께 넉넉하게 선물을 드리는 것보다
비록 작고 적지만 많은 분께 선물을 나눠드리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 선물은 우리말 갈피표입니다.
답을 보내주시면서 주소도 같이 보내주세요.
모두 백 분께 갈피표 하나씩 보내드리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납골당이 아니라 봉안당]

아직도 손이 떨리는 것 같습니다.
주말에 고향에 가서 벌초하고 왔거든요.
저 혼자 해야 하는 14봉 중에 8봉만 하고 왔습니다.
나머지는 다음에 하려고...너무 힘들어서...
빨리 한 곳으로 모셔야 하는데...

1년 전입니다.
2005년 5월 말, 산업자원부 산하 기술표준원이라는 곳에서,
"유골을 모셔 두는 곳"을
'납골당'이라고 하지 말고 '봉안당'이라고 하자고 한 적이 있습니다.
납골당(納骨堂, のうこつどう[노우고츠도우])은 일본에서 들어온 말이거든요.

산업자원부에서 권하는 봉안당은?
실은 이 봉안도 奉安(ほう-あん, [보우앙])이라는 일본어에서 왔습니다.

제 생각에 산업자원부에서 납골당 대신 봉안당을 권하는 까닭은,
납골은 "'뼈를 거두어들인다"는 뜻이지만,
봉안은 받들 봉(奉) 자와 편안할 안(安) 자를 써서,
"신성한 어떤 존재를 안전하고 편안하게 모신다"는 뜻이 있으므로,
고인을 공경하고 모신다는 뜻으로 그렇게 한 것 같습니다.

그러나 앞에서 본 것처럼 둘 다 일본어에서 왔습니다.
국가기관, 그것도 대한민국 표준을 만드는 기관에서
'납골당'을 다듬는답시고 '봉안당'이라고 만들었습니다.
이왕 다듬을 것, 다듬을 때 정성을 더 들여 순우리말로 다듬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국민 세금으로 그런 일 하는 거 아닌가요?

국립국어원에서는 납골이나 봉안 모두 아직 다듬지 않았지만,
곧 다듬을 겁니다. 그렇죠? 믿어도 되죠?

저희 어머니 소원이,
"나 죽기 전에 납골당에 조상님을 모시는 것"인데,
언제 기회를 봐서, 아니 병원에서 정신 좀 차리시면,
'납골당'과 '봉안당', 그리고 우리말에 대해 꼼꼼하게 설명드려야겠네요.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479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90450
316 [2007/09/12] 우리말) 섞사귐 id: moneyplan 2007-09-13 2878
315 [2007/09/12] 우리말) 선선한 가을입니다 id: moneyplan 2007-09-12 2978
314 [2007/09/11] 우리말) 서슬이 시퍼렇다 id: moneyplan 2007-09-11 4194
313 [2007/09/10] 우리말) 파란하늘 id: moneyplan 2007-09-10 3041
312 [2007/09/08] 우리말) 한글문화연대 id: moneyplan 2007-09-10 2787
311 [2007/09/07] 우리말) 내외빈 id: moneyplan 2007-09-07 3529
310 [2007/09/06] 우리말) 지킴이와 지기의 반대말 id: moneyplan 2007-09-06 5514
309 [2007/09/05] 우리말) 지킴이와 지기 id: moneyplan 2007-09-05 3526
308 [2007/09/04] 우리말) 상가, 상갓집, 상가집 id: moneyplan 2007-09-04 10205
307 [2007/09/03] 우리말) 선글라스 맨 id: moneyplan 2007-09-03 2886
306 [2007/09/01] 우리말) 지킴이 인사말 id: moneyplan 2007-09-03 2728
305 [2007/08/30] 우리말) 지킴이와 지키미 id: moneyplan 2007-08-31 7912
304 [2007/08/30] 우리말) 알토란 id: moneyplan 2007-08-30 3569
303 [2007/08/29] 우리말) 건들건들 id: moneyplan 2007-08-29 3007
» [2007/08/28] 우리말) 길 따라 좁고 길게 만든 꽃밭을 뭐라고 할까요? id: moneyplan 2007-08-28 3576
301 [2007/08/27] 우리말) 밀월여행 id: moneyplan 2007-08-27 3023
300 [2007/08/25] 우리말) 새롱대다, 강동거리다, 들마 id: moneyplan 2007-08-27 3202
299 [2007/08/24] 우리말) 허니문베이비의 순 우리말은? [1] id: moneyplan 2007-08-24 7040
298 [2007/08/23] 우리말) 갖바치 내일 모레 id: moneyplan 2007-08-23 4252
297 [2007/08/22] 우리말) 갈말 id: moneyplan 2007-08-22 3046